목차
1.들어가는 말
1)연구목적 및 의의
2)연구방법
2.연구결과
인터뷰 내용
3.맺음말
1)비교검토
2)소감
1)연구목적 및 의의
2)연구방법
2.연구결과
인터뷰 내용
3.맺음말
1)비교검토
2)소감
본문내용
한 대안적 활동에 몰두해야만 노년기에 초래되는 역할상실에 부작용을 최소화 시키고 긍정적 자아 개념을 가지며 높은 사기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본다. 조** 할아버지의 경우는 직업역할상실로 통해 사회에서 어느 정도 이탈된 상태이다. 할아버지의 경우엔 퇴직이후 주요 활동반경이 아파트단지 내의 노인정에 국한되어 매우 협소한 상태인데 만남을 가지는 주류가 대부분이 같은 연령대의 노인층으로 타 연령층과의 교류가 매우 단절된 상태를 보인다. 원불교를 믿는 종교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현재 배우자의 병환으로 인해 종교생활 마저 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어서 타 연령층과의 교류의 장에서 벗어난 상태에 있다. 중년층과 거의 비슷한 심리적, 사회적 욕구가 그대로 지속되고 있으나 다른 직종에 비해 빠른 퇴직으로 인하여 역할 상실감을 경험하면서 자발적으로 역할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대안적 역할을 찾지 못해 더욱 큰 상실감을 겪고 있다.
지속이론은 노년기의 활동은 과거의 스타일에 따라 다르다는 것인데 이것은 과거의 행동, 사고방식 등이 노후에 계속 지속된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조** 할아버지의 경우 퇴직 이전의 직장이 많은 활동을 필요로 하는 경찰직이어서 은퇴 후에도 노인정에서 리더로써의 역할을 담당하며 다른 노인들과 다르게 매우 자발적이고 활동적인 생활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노년층에서는 그 연령층 특유의 하위문화인 노년 문화가 점차 형성, 발전되고 있다는 것이 노년문화이론의 골자이다. 노년하위문화의 형성에는 2가지 조건이 있는데 노인들 간의 친화력과 타 연령층과의 제한적 상호작용이 그것이다. 할머니들의 경우 배우자 사별이라는 공통의 역할 변화와 만성질환의 공통의 이해 관심, 여성이 교육기회에서 배제되었던 역사적 경험 등의 공유가 노인들 간의 친화력 조건을 만족시키고 자식 없이 홀로 지낸다는 공통점과 타 연령층과의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교회에서 조차 주류층이 노인층이라는 조건으로 인해 특유의 노년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3. 소감
면담을 시작하기 전 노인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가지고 면담을 실시하였지만 우리의 기대와는 달리 매우 비협조적이었으며 젊은 사람에 대한 비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상황이 정 반대로 흘러가 매우 당황하였다.
이번 면담을 통해 노인들이 처해있는 상황과 노인들이 안고 있는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면담을 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마땅히 대접받고 존경과 공경이 대상이 되어야하는 노인들의 삶이 얼마나 힘들고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는지 알 수 있었으며 사회적 차원에서의 실질적인 대책과 국가정책 차원에서의 노인에 대한 복지증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꼈다. 또한 이와 함께 노인세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발상의 전환이 요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한다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이고 민감할 수 있는 부분의 이야기까지 해주신 가호 주공아파트 할아버지와 할머니께 감사드린다.
지속이론은 노년기의 활동은 과거의 스타일에 따라 다르다는 것인데 이것은 과거의 행동, 사고방식 등이 노후에 계속 지속된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조** 할아버지의 경우 퇴직 이전의 직장이 많은 활동을 필요로 하는 경찰직이어서 은퇴 후에도 노인정에서 리더로써의 역할을 담당하며 다른 노인들과 다르게 매우 자발적이고 활동적인 생활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노년층에서는 그 연령층 특유의 하위문화인 노년 문화가 점차 형성, 발전되고 있다는 것이 노년문화이론의 골자이다. 노년하위문화의 형성에는 2가지 조건이 있는데 노인들 간의 친화력과 타 연령층과의 제한적 상호작용이 그것이다. 할머니들의 경우 배우자 사별이라는 공통의 역할 변화와 만성질환의 공통의 이해 관심, 여성이 교육기회에서 배제되었던 역사적 경험 등의 공유가 노인들 간의 친화력 조건을 만족시키고 자식 없이 홀로 지낸다는 공통점과 타 연령층과의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교회에서 조차 주류층이 노인층이라는 조건으로 인해 특유의 노년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3. 소감
면담을 시작하기 전 노인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가지고 면담을 실시하였지만 우리의 기대와는 달리 매우 비협조적이었으며 젊은 사람에 대한 비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상황이 정 반대로 흘러가 매우 당황하였다.
이번 면담을 통해 노인들이 처해있는 상황과 노인들이 안고 있는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면담을 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마땅히 대접받고 존경과 공경이 대상이 되어야하는 노인들의 삶이 얼마나 힘들고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는지 알 수 있었으며 사회적 차원에서의 실질적인 대책과 국가정책 차원에서의 노인에 대한 복지증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꼈다. 또한 이와 함께 노인세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발상의 전환이 요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한다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이고 민감할 수 있는 부분의 이야기까지 해주신 가호 주공아파트 할아버지와 할머니께 감사드린다.
추천자료
중국 경제 발전 과정에서 본 샤오캉(小康)의 의미
한국 경제 성장 과정
사회과 7차 교육과정 분석과 경제 교과서 분석
일제에 의한 식민지경제체제로의 재편 과정
환경개선 경제적 유인제도의 발전과정과 개선방향
환경개선을 위한 경제적 유인제도의 발전과정과 개선방향
[분석] 미국 대외 경제정책 변화 과정과 원인
경제순환모델(경기순환과정)
경제학의 변천 과정
일본 메이지유신(明治維新) 기원 및 특징, 유래, 발생배경, 과정,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
GCF 유치과정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
세계화의 전개과정 (경제부문, 사회 ․ 환경부문, 문화부문)
한국 경제 발전 과정
[경제학과] 고대상업발전과정, 고대사회의 상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