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사회화 과정에 관한 주요접근 방법
3. 사회도덕성 발달 연구의 방법
4. 도덕성의 발달
5. 사회적 개념의 발달
6. 사회적 행동의 발달
7. 자아 개념, 애착, 충동조절의 발달
8. 종합과 논의
2. 사회화 과정에 관한 주요접근 방법
3. 사회도덕성 발달 연구의 방법
4. 도덕성의 발달
5. 사회적 개념의 발달
6. 사회적 행동의 발달
7. 자아 개념, 애착, 충동조절의 발달
8. 종합과 논의
본문내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다.
c. 사고와 행동
사고와 감정의 관계와 함께 사고와 행동의 관계에 대해서도 보다 역동적인 설명이 요구되고 있는 듯하다. 특히 인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도덕 발달 이론에서는 도덕적 판단이나 사고와 행동과의 계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것이다. 도덕성 발달의 준이 도덕적 행동과 일관성이 없다면 그 설명력은 매우 약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인지발달 이론의 입장은 비교적 분명하다. 즉, 도덕적 판단 능력이 행동의 결정에 가장 깊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도덕적 판단의 발달 수준 이외의 요인들, 즉 성격적 특성, 상황적 조건, 감정적 태도, 개인적인 위험과 손실의 정도 등이 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에 작용하고 있음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책을 읽는 동안 아이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 내 자신이 얼마나 무지했는지를 깨달았다. 우리는 보통 한 아이를 겉으로 보이는 외모, 말투, 행동, 어떤 사건에 대한 반응과 같은 상투적인 것으로만 평가하고 결론지어 버린다. 그것이 얼마나 잘못된 판단의 기준이며, 한 아이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그 나이까지 성장해오면서 겪어온 발달과정을 한순간에 무시해버리는 무지한 행동임을 알고 반성했다. 그냥 부모님이 키워주시는 대로 자라왔다고 생각했었는데, 내 내면에는 자신도 몰랐던 많은 요인들이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이루고 발달해 지금의 나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있게 해주었다. 시간이 사람을 아이에서 어른으로 자라게 해준다는 단순함을 버리고, 부모의 역할이 그리고 아이가 자라면서 겪게되는 발달과정에 많은 것들이 존재함을 늘 염두하며 나중에 태어날 아이에게는 그 자신이 얼마나 소중하고 가치 있는지를 느끼게 하며 키우고 싶다.
아이의 도덕성과 사회성의 발달에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부분에 큰 공감을 느낀다. 주위에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나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에서 일하는 친구들을 만나면 쉽게 그 말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다. 부모는 아이의 거울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아이에게도 어렸을 때부터 도덕성이나 사회성이 성립되긴 하지만, 어른에 비하면 미성숙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아이는 주위의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의 행동이나 생각을 금방 익히고 따라하기도 한다. 특히 가장 가까이에 있고 많은 시간을 보내는 부모의 역할은 다른 어느 요인보다도 큰 영향을 끼친다. 아이에게 올바른 도덕성과 사회성을 심어 주기 위해서는 부모 스스로가 자신의 도덕성과 사회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특히 이유 없는 범죄가 늘어나고 자신들만의 이기적인 생각에 쉽게 이혼하는 부모의 수가 많아지는 요즘에는 더욱 그런 것 같다. 두 집 걸러 한 아이를 낳고, 아이 없이 부부만의 생활을 즐기며 살려는 딩크족이 점점 늘어난다는 걱정에, 아이를 셋 이상 나면 생활비를 보조해주고, 남자의 정관수술비를 지원해준다는 정책보다는 수능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고도 큰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아이들을 바라보며, 그들에게 본보기가 된 어른들의 모습을 한 번쯤은 되돌아 볼 수 있는 강좌나 센터를 개설하는 건 어떨까 싶다. 문득 왜 어른들은 도덕책에서 배운 대로 행동하지 않느냐고 물었던 초등학생의 질문이 생각난다.
어린이의 사회도덕성 발달에 대한 시대적인 논의와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살펴보았지만, 어린이의 사회도덕성 발달에 대한 이해는 고정 불변적인 의미로 정의 될 수 없고, 사회적 구조의 변화, 사상의 변화, 기타 여러 사회 구성원의 의식의 변화로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어린이의 사회도덕성 발달의 언급은 변화하는 사회세계에 대한 이해와 함께 계속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c. 사고와 행동
사고와 감정의 관계와 함께 사고와 행동의 관계에 대해서도 보다 역동적인 설명이 요구되고 있는 듯하다. 특히 인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도덕 발달 이론에서는 도덕적 판단이나 사고와 행동과의 계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것이다. 도덕성 발달의 준이 도덕적 행동과 일관성이 없다면 그 설명력은 매우 약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인지발달 이론의 입장은 비교적 분명하다. 즉, 도덕적 판단 능력이 행동의 결정에 가장 깊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도덕적 판단의 발달 수준 이외의 요인들, 즉 성격적 특성, 상황적 조건, 감정적 태도, 개인적인 위험과 손실의 정도 등이 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에 작용하고 있음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책을 읽는 동안 아이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 내 자신이 얼마나 무지했는지를 깨달았다. 우리는 보통 한 아이를 겉으로 보이는 외모, 말투, 행동, 어떤 사건에 대한 반응과 같은 상투적인 것으로만 평가하고 결론지어 버린다. 그것이 얼마나 잘못된 판단의 기준이며, 한 아이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그 나이까지 성장해오면서 겪어온 발달과정을 한순간에 무시해버리는 무지한 행동임을 알고 반성했다. 그냥 부모님이 키워주시는 대로 자라왔다고 생각했었는데, 내 내면에는 자신도 몰랐던 많은 요인들이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이루고 발달해 지금의 나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있게 해주었다. 시간이 사람을 아이에서 어른으로 자라게 해준다는 단순함을 버리고, 부모의 역할이 그리고 아이가 자라면서 겪게되는 발달과정에 많은 것들이 존재함을 늘 염두하며 나중에 태어날 아이에게는 그 자신이 얼마나 소중하고 가치 있는지를 느끼게 하며 키우고 싶다.
아이의 도덕성과 사회성의 발달에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부분에 큰 공감을 느낀다. 주위에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나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에서 일하는 친구들을 만나면 쉽게 그 말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다. 부모는 아이의 거울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아이에게도 어렸을 때부터 도덕성이나 사회성이 성립되긴 하지만, 어른에 비하면 미성숙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아이는 주위의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의 행동이나 생각을 금방 익히고 따라하기도 한다. 특히 가장 가까이에 있고 많은 시간을 보내는 부모의 역할은 다른 어느 요인보다도 큰 영향을 끼친다. 아이에게 올바른 도덕성과 사회성을 심어 주기 위해서는 부모 스스로가 자신의 도덕성과 사회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특히 이유 없는 범죄가 늘어나고 자신들만의 이기적인 생각에 쉽게 이혼하는 부모의 수가 많아지는 요즘에는 더욱 그런 것 같다. 두 집 걸러 한 아이를 낳고, 아이 없이 부부만의 생활을 즐기며 살려는 딩크족이 점점 늘어난다는 걱정에, 아이를 셋 이상 나면 생활비를 보조해주고, 남자의 정관수술비를 지원해준다는 정책보다는 수능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고도 큰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아이들을 바라보며, 그들에게 본보기가 된 어른들의 모습을 한 번쯤은 되돌아 볼 수 있는 강좌나 센터를 개설하는 건 어떨까 싶다. 문득 왜 어른들은 도덕책에서 배운 대로 행동하지 않느냐고 물었던 초등학생의 질문이 생각난다.
어린이의 사회도덕성 발달에 대한 시대적인 논의와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살펴보았지만, 어린이의 사회도덕성 발달에 대한 이해는 고정 불변적인 의미로 정의 될 수 없고, 사회적 구조의 변화, 사상의 변화, 기타 여러 사회 구성원의 의식의 변화로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어린이의 사회도덕성 발달의 언급은 변화하는 사회세계에 대한 이해와 함께 계속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도시행정적 입장에서 바라본 Brassed off 감상문
[우수평가자료]인텔리전스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핵심내용분석과 느낀 점을 중심으로.
춤극 '가야' 감상문
[SF영화]아일랜드+케이팩스+맨프럼어스 영화감상문
[올해최신A+자료] 도가니 영화감상문과 장애여성의 성폭력문제에 관한 고찰[도가니 영화비평]...
[독후감][독서감상문][심리학 도서] 조용한 마음의 혁명을 읽고
교토식경영을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콜럼버스가 바꾼 세계>에 대한 감상문
[다큐 줄거리, 감상문] 불편한 진실
집이 사람을 공격한다. 감상문.(새집 증후군)
[EBS 지식채널 e 감상문] <햄버거 커넥션> 빵+야채+소스+고기=햄버거?, 햄버거 한 개의 무서...
『전태일 평전』 독서감상문 _ 조영래 저
<레크리에이션활동지도 2017년>패치 아담스 영화 감상문 / 최근 활동 및 동향 조사 청소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