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부 통과의례(通過儀禮)의 의미
1. 출생과 성장에 관한 의례
2. 혼인에 관한 의례
3.죽음에 관한 의례
제 2부 세시풍속의 의미
제 3부 자주 쓰는 속담의 유래와 의미
제4부 잊혀져 가는 옛날 이야기의 의미
제5부 민속적인 삶 속에서
이 책을 읽고서······.
1. 출생과 성장에 관한 의례
2. 혼인에 관한 의례
3.죽음에 관한 의례
제 2부 세시풍속의 의미
제 3부 자주 쓰는 속담의 유래와 의미
제4부 잊혀져 가는 옛날 이야기의 의미
제5부 민속적인 삶 속에서
이 책을 읽고서······.
본문내용
이야기 함으로 청빈한 삶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혼(魂)쥐 이야기
한 부인이 바느질을 하고 있는데, 남편 콧구멍에서 쥐새끼가 나와 들랑날랑 하였고, 그 쥐를 따라 가보니 금덩이가 있어 잘 살았다는 이야기다. 잠자는 사람의 몸에서 영혼이 빠져 나온다고 하는 생각은 이이야기 외의 민속적인 사실에도 나타난다. 쥐는 바로 남편의 영혼의 상징인 것이다.
심마니와 이무기
착한 심마니를 돕고, 악한 심마니는 벌주는 이무기를 통해 착한 사람은 복 받고 나쁜 사람은 벌받는다는 민중의식을 표현하였다.
해인사의 불을 끈 김복선
평소에는 남의 종으로써 살다가 해인사에 불이 나자 이인의로서의 능력을 발휘하여 그 불을 끈 김복선의 이야기이다. 아랫사람은 윗사람보다 나은 점이 있더라도 윗사람을 무시하지 않아야 함과 윗사람은 아랫사람이 지닌 능력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재치있는 학동과 훈장
가벼운 거짓말을 한 훈장과 이를 꼬집는 학동의 재치있는 말과 행동을 통하여 남을 가르치는 사람의 행동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일깨워 주고 있다. 자기 중심의 이기심을 버리고 진실하게 사는 것이 가장 올바른 삶의 태도라는 조상들의 생각이 이 이야기 속에 들어 있다 하겠다.
설화 속에서 만나는 호랑이
호랑이는 인간에게 위협적이 존재이자 쉽게 손댈 수 없는 영물로 여겨진다. 그래서 설화 속에서 호랑이는 악역을 맡기도 하지만 성스러운 동물로써 인간에게 도움을 주곤 한다.
제5부 민속적인 삶 속에서
다시 찾은 설날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세배드리기, 어린아이들에게 설빔해 주기, 민속놀이등을 통해 우리의 미풍 양속을 가꾸기도록 권유하는 글
착한 뱀이 되기를
설화와 민간신앙에 나타나는 뱀의 모습은 우리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착한 뱀은 사람을 돕는 협조자의 모습이지만 나쁜 뱀은 간교하고 앙심을 품으면 복수를 하는 무서운 존재이다.
말해의 소망사상
우리 민속에서 말은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정월 첫 午日을 上午日, '말날'이라 하는데, 옛날에는 이날 말에게 성찬을 주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최대의 추석 명절을 맞으며
추석은 그 해에 난 햇곡식, 햇과일을 대하며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조상님의 은덕에 감사하는 추수감사절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추석에는 항상 풍요롭고 넉넉하다. 이럴 때일수록 친족들과 정을 나누고 민속놀이를 즐겨야 한다는 내용.
이 책을 읽고서 .
우리는 점점 민속적인 삶 속에서 나가고 있다. 전통 명절보다는 어디서 온지 뿌리도 모르는 발렌타인 데이 같은 이상한 이벤트에 휘말리고 있다. 우리 민속은 어디에 간 걸까? 서양 옷을 입고 서양 집에 살며 서양의 명절에 서양인처럼 즐기고 있으니 우리가 어느 나라 사람인지 알 수가 없다 .
우리나라에는 뿌리 깊은 민속이 있고, 하루하루를 우리 민속과 민족 속에서 살아갈 수 도 있는 것인데, 우리는 그러한 삶을 너무 오랫동안 잊고 있다.
이 책 속에서 잠깐 동안이나, 또 조금만이나, 옛날의 민속의 향기를 느낄 수 있었다.
혼(魂)쥐 이야기
한 부인이 바느질을 하고 있는데, 남편 콧구멍에서 쥐새끼가 나와 들랑날랑 하였고, 그 쥐를 따라 가보니 금덩이가 있어 잘 살았다는 이야기다. 잠자는 사람의 몸에서 영혼이 빠져 나온다고 하는 생각은 이이야기 외의 민속적인 사실에도 나타난다. 쥐는 바로 남편의 영혼의 상징인 것이다.
심마니와 이무기
착한 심마니를 돕고, 악한 심마니는 벌주는 이무기를 통해 착한 사람은 복 받고 나쁜 사람은 벌받는다는 민중의식을 표현하였다.
해인사의 불을 끈 김복선
평소에는 남의 종으로써 살다가 해인사에 불이 나자 이인의로서의 능력을 발휘하여 그 불을 끈 김복선의 이야기이다. 아랫사람은 윗사람보다 나은 점이 있더라도 윗사람을 무시하지 않아야 함과 윗사람은 아랫사람이 지닌 능력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재치있는 학동과 훈장
가벼운 거짓말을 한 훈장과 이를 꼬집는 학동의 재치있는 말과 행동을 통하여 남을 가르치는 사람의 행동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일깨워 주고 있다. 자기 중심의 이기심을 버리고 진실하게 사는 것이 가장 올바른 삶의 태도라는 조상들의 생각이 이 이야기 속에 들어 있다 하겠다.
설화 속에서 만나는 호랑이
호랑이는 인간에게 위협적이 존재이자 쉽게 손댈 수 없는 영물로 여겨진다. 그래서 설화 속에서 호랑이는 악역을 맡기도 하지만 성스러운 동물로써 인간에게 도움을 주곤 한다.
제5부 민속적인 삶 속에서
다시 찾은 설날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세배드리기, 어린아이들에게 설빔해 주기, 민속놀이등을 통해 우리의 미풍 양속을 가꾸기도록 권유하는 글
착한 뱀이 되기를
설화와 민간신앙에 나타나는 뱀의 모습은 우리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착한 뱀은 사람을 돕는 협조자의 모습이지만 나쁜 뱀은 간교하고 앙심을 품으면 복수를 하는 무서운 존재이다.
말해의 소망사상
우리 민속에서 말은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정월 첫 午日을 上午日, '말날'이라 하는데, 옛날에는 이날 말에게 성찬을 주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최대의 추석 명절을 맞으며
추석은 그 해에 난 햇곡식, 햇과일을 대하며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조상님의 은덕에 감사하는 추수감사절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추석에는 항상 풍요롭고 넉넉하다. 이럴 때일수록 친족들과 정을 나누고 민속놀이를 즐겨야 한다는 내용.
이 책을 읽고서 .
우리는 점점 민속적인 삶 속에서 나가고 있다. 전통 명절보다는 어디서 온지 뿌리도 모르는 발렌타인 데이 같은 이상한 이벤트에 휘말리고 있다. 우리 민속은 어디에 간 걸까? 서양 옷을 입고 서양 집에 살며 서양의 명절에 서양인처럼 즐기고 있으니 우리가 어느 나라 사람인지 알 수가 없다 .
우리나라에는 뿌리 깊은 민속이 있고, 하루하루를 우리 민속과 민족 속에서 살아갈 수 도 있는 것인데, 우리는 그러한 삶을 너무 오랫동안 잊고 있다.
이 책 속에서 잠깐 동안이나, 또 조금만이나, 옛날의 민속의 향기를 느낄 수 있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부유한 노예 <서평>
『 죽음으로 가까이 나가는 삶 』- 죽음의 철학적 고찰
세계화의 이중적 의미 유기제적 세계체제하에서의 제3세계의 위치 실천적 대안
통일시대 청소년상 정립과 관련한 청소년단체의 의미와 역할
죽음의 의미
[서평] 이것이 인간인가-프리모 레비
[삶의 질 제고]삶의 질의 개념, 삶의 질의 영향요인, 삶의 질의 수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
여가문화(생활)의 현대적 의미와 대중화에 관한 고찰
[우수자료]행복의조건 요약 후 서평
3억5천만원의전쟁독후감[3억5천만원의전쟁독서감상문][이종룡아저씨의삶][우수평가자료A+]
[독후감/서평]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최신A+) [지금우리에게필요한것은독후감][지금우...
『새로운 인생』에 나타난 '여행'의 의미 읽기 =오르한 파묵 저 =
[올해최신A+자료]천번을흔들려야어른이된다독서감상문[천번을흔들려야어른이된다서평][천번을...
대인관계의심리학_우리가 관습적으로 행동하는 것들 중 바뀌게 되면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