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디자인(Environment Design) 의 이해과 탐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 론
●Ⅰ-1.환경디자인의 중요성
●Ⅰ-2.보고서 구성 방식-용어해설을 중심으로

■Ⅱ.본 론
●Ⅱ-1.환경디자인의 일반적 이해
▶2-1-1.환경디자인의 정의 /역할
▶2-1-2.환경디자인의 역사/유래
▶2-1-3.용어설명을 통한 환경디자인의 이해
●Ⅱ-2.환경디자인과 인간심리

■Ⅲ.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는 고시공간의 하나로서, 기둥이 늘어선 보도를 말한다. 이렇게 하늘이 가려진 공간은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주며 그 속은 자연히 사람들이 모여드는 장소가 되기도 한다. 이곳은 어디까지나 도로의 일부이며 공유, 공용의 공간이라 말할 수 있다.]
.기타 커뮤니티 도로 - 도로의 계단 구성(꼬르비졔), 평면적 보차(步車)분리(패리의 근린지구 이론), 입체적 보차분리(페디스트리안 덱크), 보차 공존(본네르프)등이 있다.
Ⅱ-2.환경디자인과 인간심리
가)환경심리학의 정의
-환경심리학(environmental psychology)이란, 간단히 말하면 '환경과 인간 마음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환경심리학은 심리학의 한 분야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영역이라 말할 수 있다.
'인간심리 행태와 환경디자인' -P12~27. 보문당 2000. 저자.일본건축학회
나)건축에 심리학이 필요한 이유
-건축은 그 안에 혹은 근처에 인간이 존재하고, 그 인간이 바라보거나 느끼는 것이므로 당연히 넓은 의미에서는 심리학의 대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건축의 한 측면은 오랜 세월 건축사는 의장학이 다루고 있었을 뿐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성행하게 된 일본의 건축계획학은 건축 평면과 인간ㅇ행동의 관계에 착안한 연구라는 점에서 지금 돌이켜보면 세계적으로도 매우 이른 시점에서 환경심리학을 향한 첫걸음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왜 건축분야에서 심리학을 필요로 하게 되었을까?
첫 번째는, 양식을 무시해온 현대건축이 제품으로써 인간의 다양하면서도 섬세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건축 대 인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데이터가 없이는 설계가 불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에 있다.
두 번째는, 개개의 건축보다도 그들의 집합체인 도시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건축과 관련된 넓은 의미에서의 환경문제가 증가하여 도시와 건축 대 사회의 관계에 대한 해명이 요청되게 되었다는 것이다. 건축이 심리학을 필요로 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그 밖에도 다양한 해설과 원인이 있으나 여기에서는 건축의 내부와 외부에 관계된 대조적인 두 가지의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Ⅲ.결 론
-이상과 같이 환경디자인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역사적 유래, 인간심리와의 관계를 탐구해 봤다.
우리나라는 훌륭한 자연녹지 보존지역이다. 아마존의 열대우림처럼 인간의 손이 미칠 수 없었던 상황에서 보존된 지역이 아니라 좁은 국토에 미어터질 듯한 인구밀도를 자랑하는 나라에서 이 만큼 우수한 녹지를 확보하고, 나아가서는 법제화하여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다는 것 역시 세계에 자랑한 만한 일이다. 그러나 자연녹지도 많이 훼손되고 있다. 주민들의 불편을 덜어 준다는 명목이나 자연정화능력을 과신하는 행정이 때로는 자연녹지를 망가뜨릴 수도 있음을 언제나 일깨워 줄 필요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환경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자연보호와 함께 환경의 자연친화적, 예술적 창조행위를 통해 자라나는 후손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자연과 환경을 물려줌으로 해서 아름다운 국토, 세계속의 국토로 발돋움 할 수 있게 끔,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환경디자인에 대해, 어느 자료하나 제대로 일목요연히 정리된 문헌을 찾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디자인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걸 새삼 느끼게 해준 경우였다. 하지만 이번 보고서는 나로 하여금 환경디자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고, 건축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건축과 디자인 인간심리와 환경과의 관계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된 게 가장 큰 수확이다 말 할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미진한 보고서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문헌
1) '도시환경과 거리가구 디자인' - 미진사 2001. 저자.고필종,장은석
2) '도시환경디자인' - 대우출판사 1999. 저자:나루미 쿠니히로외 10인
3) '문화 예술의 거리' - 문화체육부 1996. 저자:유병림
4) '도시와 조경' - 동아대학교 출판부 1998. 저자.김승환
5) '네이버검색-두산세계대백과사전 http://100.naver.com/searc이하~ '.
6) '도시환경디자인과 개방공간 디자인' 미진사 1999. 저자.고성종,고필종
7) '환경디자인과 행태' - 유림출판사 1995. 저자.양호일
8) '공공환경디자인' - 중앙M&B 1998. 저자.이진민
9) '인간심리 행태와 환경디자인' - 보문당 2000. 저자.일본건축학회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6.21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