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료전지의 역사
연료전지의 기본이론
연료전지의 기본구성
연료전지의 기술 특성
연료전지의 구성 및 종류
대표적인 연료전지의 예
국내 기술개발 추진 계획
연료전지의 기본이론
연료전지의 기본구성
연료전지의 기술 특성
연료전지의 구성 및 종류
대표적인 연료전지의 예
국내 기술개발 추진 계획
본문내용
4.1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
직류로 발전하는 연료전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한 부대 설비들이 필요.
개질기(Reformer) : 연료인 천연가스, 메탄올, 석탄,석유등을 수소가 많은 연료변환시키는 장치
단위전지 (Unit Cell) : 연료전지 단위전지(Cell)는 기본적으로 전해질이 함유된 전해질 판, 연료극(anode), 공기극(cathode) 이들을 분리하는 분리판 등으로 구성되며, 이 단위전지(Cell)에서 전류를 인출하는 경우 통상 0.6∼0.8V의 낮은 전압이 생성
연료전지(Stack) : 원하는 전기출력을 얻기 위해 단위전지를 수십장, 수백장 직렬로 쌓아 올린 본체
전력변환기(Inverter) : 연료전지에서 나오는 직류전기(DC)를 우리가 사용하는 교류(AC)로 변환시키는 장치
직류로 발전하는 연료전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한 부대 설비들이 필요.
개질기(Reformer) : 연료인 천연가스, 메탄올, 석탄,석유등을 수소가 많은 연료변환시키는 장치
단위전지 (Unit Cell) : 연료전지 단위전지(Cell)는 기본적으로 전해질이 함유된 전해질 판, 연료극(anode), 공기극(cathode) 이들을 분리하는 분리판 등으로 구성되며, 이 단위전지(Cell)에서 전류를 인출하는 경우 통상 0.6∼0.8V의 낮은 전압이 생성
연료전지(Stack) : 원하는 전기출력을 얻기 위해 단위전지를 수십장, 수백장 직렬로 쌓아 올린 본체
전력변환기(Inverter) : 연료전지에서 나오는 직류전기(DC)를 우리가 사용하는 교류(AC)로 변환시키는 장치
키워드
추천자료
연료전리란무엇인가?
1차전지의 종류와 특성 및 발전방향
2차 전지 조사 보고서
미국 스마트섬유 시장 보고서
한국과 중국의 자동차산업 분석
유기 태양전지(organic solar cell)의 종류 및 특징과 시장현황, 그리고 이 기술의 문제점을 ...
폐기물의 정형화가공(성형폐기물 연료화 기술공정)
2차 전지 완벽정리 (기술발전 방향과 차세대 전지)
2차 전지 완벽정리 (기술발전 방향과 차세대 전지)
화학적 기상증착 실험 cvd실험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전자 적용분야
[논문]FeS2양극 2차전지의 분말 입자 크기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미래 에너지 자원[신 재생에너지]에 대해서
[★★녹색성장 중점기술★★] 친환경전지의 주요기술, 원리, 국내외 현황, 사례분석 및 향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