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 미니멀아트 - 절제의 미학
3. 미니멀아트의 발생의 배경
4. 미니멀리즘의 개념
5. 미니멀아트의 특성 - 조각을 중심으로
6. 주요 작가와 작품의 특징.
2. 미니멀아트 - 절제의 미학
3. 미니멀아트의 발생의 배경
4. 미니멀리즘의 개념
5. 미니멀아트의 특성 - 조각을 중심으로
6. 주요 작가와 작품의 특징.
본문내용
워지거나 바닥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화랑 공간 전체에 널려있어서 장소로서의 공간과 관람자 사이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시였다.
댄 플래빈의 〈블라디미르 타틀린을 위한 기념비〉는 형광등을 배치하는데 있어서 대칭과 수열적인 조합을 선호하였다. 일정한 단위 혹은 길이의 차가운 형광등들은 여러 가지로 결합되어 벽의 구석이나 가운데 부착되었다. 따라서 그의 작품은 고정된 형광튜브에 부여되는 배열질서 뿐 아니라 둘러싼 공간을 통해 확산되거나 근처의 표면을 비추는 빛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 미니멀리즘 중에서도 빛을 통한 정신성을 구현한 특이한 사례로서 평가받는데, 이러한 정신성에의 영향은 보통 미니멀리즘의 대선배로 추앙받는 아그네스 마틴(A. Martin)의 정신성을 계승한 경우로 들 수 있는 것이다.
칼 안드레(Carl Andre)의 경우는 작품〈등가물〉(1966)에서 상품화된 120개의 동일한 벽돌들로 8개의 조합을 만들었는데, 여기에서 벽돌들은 서로를 대신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분들간에 위계적인 관계를 전혀 지니지 않은 것들이었다. 그는 실제 공간 뿐 아니라 장소를 점유한 것으로 1970년에 "장소 그 자체로서의 사물과 사물이 존재하는 장소사이의 관계가 항상 나의 작품 안에 있다. 그리고 나의 조각 작품은 하나의 길이다."라고 말 한 것처럼 〈등가물〉을 비롯한 벽돌작품들이나 〈동판과 알루미늄판들〉과 같은 금속판들은 모두 '길'이나 '장소'와 같은 수평성의 특징을 지닌다.
미니멀리스트에게 중요한 것은 '예술 에너지를 지겨운 예술 생산의 수공업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일'이다. 모흘리 나기(Moholy-Nagy)는 공장에 전화로 지시하여 작품을 제작한 최초의 화가로서 미니멀리즘의 사물성을 구현한 모범적인 사례를 제공한다.
도널드 져드 는 자신의 〈무제 Untitle]〉연작들을 통해 공간적인 환상주의를 배제하는 것이 중요한 것처럼 보였는데, 그렇게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형체와 배경의 관계를 제거하는 것이다. 저드는 자신의 작품에서 '실제의 공간'이 '묘사된 공간'보다 더 힘차고 특정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그의 작품들이 더 이상 현실을 위한 대역이 아니라, 그저 단순한 반영이라기 보다 하나의 '현존'이었기 때문에, 그는 그의 새 작품들을 새로운 이름, '특정한 물체들'이라고 명명했다.
이처럼 저드가 동일한 기본 단위들의 반복을 통해서 달성할 수 있는 '전체성'을 원했던 반면, 모리스는 자기 자족적인 전체들, 즉 그 자체가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형태들의 개념을 가진 작품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즉 '분리된 부분이 없는 물체들'을 구성했다. 저드와 모리스는 '하나의 작품' 즉, 하나의 전체로서 인식될 수 있는 단순한 형태로, 입체주의가 만들어낸 연속적이고 관계적이며, 죽 둘러보고 알아내는 종류가 아니라, 동시 다발적인 경험으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져야 된다는데 관심이 있었다. 바바라 로즈(Barbara Rose)에 따르면, '입체주의적 동시성'을 형태에 기반을 둔 '즉각성'으로 대치시킴으로서 입체주의의 핵심적인 명제를 뒤집었다는 것이다.
댄 플래빈의 〈블라디미르 타틀린을 위한 기념비〉는 형광등을 배치하는데 있어서 대칭과 수열적인 조합을 선호하였다. 일정한 단위 혹은 길이의 차가운 형광등들은 여러 가지로 결합되어 벽의 구석이나 가운데 부착되었다. 따라서 그의 작품은 고정된 형광튜브에 부여되는 배열질서 뿐 아니라 둘러싼 공간을 통해 확산되거나 근처의 표면을 비추는 빛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 미니멀리즘 중에서도 빛을 통한 정신성을 구현한 특이한 사례로서 평가받는데, 이러한 정신성에의 영향은 보통 미니멀리즘의 대선배로 추앙받는 아그네스 마틴(A. Martin)의 정신성을 계승한 경우로 들 수 있는 것이다.
칼 안드레(Carl Andre)의 경우는 작품〈등가물〉(1966)에서 상품화된 120개의 동일한 벽돌들로 8개의 조합을 만들었는데, 여기에서 벽돌들은 서로를 대신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분들간에 위계적인 관계를 전혀 지니지 않은 것들이었다. 그는 실제 공간 뿐 아니라 장소를 점유한 것으로 1970년에 "장소 그 자체로서의 사물과 사물이 존재하는 장소사이의 관계가 항상 나의 작품 안에 있다. 그리고 나의 조각 작품은 하나의 길이다."라고 말 한 것처럼 〈등가물〉을 비롯한 벽돌작품들이나 〈동판과 알루미늄판들〉과 같은 금속판들은 모두 '길'이나 '장소'와 같은 수평성의 특징을 지닌다.
미니멀리스트에게 중요한 것은 '예술 에너지를 지겨운 예술 생산의 수공업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일'이다. 모흘리 나기(Moholy-Nagy)는 공장에 전화로 지시하여 작품을 제작한 최초의 화가로서 미니멀리즘의 사물성을 구현한 모범적인 사례를 제공한다.
도널드 져드 는 자신의 〈무제 Untitle]〉연작들을 통해 공간적인 환상주의를 배제하는 것이 중요한 것처럼 보였는데, 그렇게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형체와 배경의 관계를 제거하는 것이다. 저드는 자신의 작품에서 '실제의 공간'이 '묘사된 공간'보다 더 힘차고 특정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그의 작품들이 더 이상 현실을 위한 대역이 아니라, 그저 단순한 반영이라기 보다 하나의 '현존'이었기 때문에, 그는 그의 새 작품들을 새로운 이름, '특정한 물체들'이라고 명명했다.
이처럼 저드가 동일한 기본 단위들의 반복을 통해서 달성할 수 있는 '전체성'을 원했던 반면, 모리스는 자기 자족적인 전체들, 즉 그 자체가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형태들의 개념을 가진 작품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즉 '분리된 부분이 없는 물체들'을 구성했다. 저드와 모리스는 '하나의 작품' 즉, 하나의 전체로서 인식될 수 있는 단순한 형태로, 입체주의가 만들어낸 연속적이고 관계적이며, 죽 둘러보고 알아내는 종류가 아니라, 동시 다발적인 경험으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져야 된다는데 관심이 있었다. 바바라 로즈(Barbara Rose)에 따르면, '입체주의적 동시성'을 형태에 기반을 둔 '즉각성'으로 대치시킴으로서 입체주의의 핵심적인 명제를 뒤집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