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재료와 시공방법
3. 새로운 철근 콘크리트 개발 프로젝트
4. 위원회의 초기 연구에 대한 몇가지 결과
5. 일반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
6.품질관리
7.결론
2. 재료와 시공방법
3. 새로운 철근 콘크리트 개발 프로젝트
4. 위원회의 초기 연구에 대한 몇가지 결과
5. 일반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
6.품질관리
7.결론
본문내용
시멘트 B종, Fly-ash시멘트 B종을 사용하고 있는 예가 많다.
? 골재
골재의 품질이 극히 중요함으로 공장과 협의하여 산지의 지정을 할 필요가 있다. 시공자측에 골재품질, 품질변동을 파악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검토도 중요하다.
? 혼화제
소요강도, 부어넣기 및 타설시 소요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유동화재, 고성능감수제 등의 혼화제 선정이 중요하다.
(2) 배합
? 배합강도
JASS5와 같은 형식의 아래식에 따르고 있는데 T, , 각계수에 관해서는 각 공법마다 다르다.
F ?{(Fc + T) + K1ㆍ}
F ?{ (Fc + T) + K2ㆍ}
JASS 5 의 0.1 CDOT (Fc + T)는 당초 수치로서 거의 타당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는 0.9, K1은 2~2.5, K2는 3~3.5 정도가 일반적이다.
?워커빌리티 등
슬럼프는 부어넣기 또타설시 18cm 정도로 하고 있는 예가 많다.
또, 단위수량은 165~175kg/m3정도로 하여 콘크리트의 고품질화를 꾀하고 있다.
슬럼프 15cm이하의 것은 시공성이 좋지않고 특수고성능감수 혼화제에 의하여 슬럼프 21 ~ 23cm 정도로 한 것에 관해서는, 아직 검토가 불충분한 감이 있다. 슬럼프 손실 문제, 피니시빌리티, 프라스틱 슈링케이지(Shrinkage)의 문제에 관한 검토도 중요하다.
?배합관리
워커빌리티, 공기량 등의 프레쉬콘크리트 시험, 표준양생에 의한 배합강도 관리시험은 시공현장에서도 완전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체제가 요구된다. 또, 단기제량강도에 의한 관리도 중요하다.
(3) 콘크리트 제조
? 생콘크리트 공장의 선정
공장선정은 기계에 의한 제조 수송시험에 의한 것이 원칙이고,특히 상부구조에 관해서는 1개공장을 지정한다.
?콘크리트 발주
JIS규격이외의 품질로 하고, 조합, 혼합, 수송, 품질관리 모두에 관해서, 공장측과 협의해 발주조건을 정한다.
(4) 타설 . 다짐
일반적인 공법으로서, 기둥을 버킷타설, 바닥, 보를버킷 또는 펌프타설로 하는 이른바 수평, 수직 분리타설로 하고, 평면적으로는 1~2공구분할로 하고 있다. 검토해야할 공사로서 이화와 같은 것이 있다.
?공구분할과 1일 타설량
?타설용이, 소요시간
?다짐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다짐이 충분한가, 가진시간(加振時間)이 적절한가?
?이어치기부의 처리
(5)양생
습윤양생 기간을 5일 정도로 하는 예와 JASS 5에 따른 7일 이상으로 하는 예가 있다. 또 장기강도에 대한 영향 등 더욱 검토해야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6)구조체콘크리트의 강도 관리
현장 수중양생 또는 현장밀봉(보양)양생에 의한 공시체 강도에 의하여 구조체 콘크리트강도의 관리, 검사를 하고 있다.
구조체 콘크리트 강도검사의 대상 부위에 관해서는, 1일 타설량이 비교적 적은 것, 각층마다 강도확인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원칙으로서 1공구 1일타설량으로 하고, 부위마다 강도를 확인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7)철근공사
직경이 큰 철근 (D22~D41)의 사용, 전단보강근의 대량배근, 고정밀도 확보의 필요등에서, 기둥, 보, 철근은 모두 지상에서 부재단위 또는 여러 부재분을 정리하여, 선조립철근으로서 조립, 양중, 접합되고 있는 예가 많다.
(8)거푸집 공사
기둥, 보 등은 유니트화된 거푸집, 바닥은 대형거푸집 또는 Half-PC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 바닥거푸집을 일체화하고 있는 예도 많다. 지주해체 시기는 콘크리트 강도와 구조 계산에 의하여 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9)품질관리의 체제와 방법
현장내에서 분만 아니라 전 사내조직의 품질관리 최고책임기관을만들어 품질관리를 실시하는 체제와 이른반 QC공정표를 작성하고, 전작업을 관리하에 둘 수 있는 방법이 준비되어야 한다.
7.결론
<새로운 철근콘크리트>계획에 대한 소개와 함께 일본에서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에서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과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재의 상태를 소개했다. 최근까지 일본과 같이 지진이 잦은 지역에서 철근콘크리트 시스템에 의한 몇 십미터 혹은 백미터를 넘는 초고층 건물의 시공에 많은 여려움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컴퓨터의 이용에 의한 새로운 구조해석과 함께 고성능 감수제, 믿을만한 콘크리트 제조기술, 철근 선조립법, 믿을만한 이음방법 등과 같은 진보된 생산기술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해 왔다.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에 도입된 고강도 콘크리트와 새로운 생산 기술들에 의해 미래에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활용이 새롭고 더 넓은 분야가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 골재
골재의 품질이 극히 중요함으로 공장과 협의하여 산지의 지정을 할 필요가 있다. 시공자측에 골재품질, 품질변동을 파악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검토도 중요하다.
? 혼화제
소요강도, 부어넣기 및 타설시 소요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유동화재, 고성능감수제 등의 혼화제 선정이 중요하다.
(2) 배합
? 배합강도
JASS5와 같은 형식의 아래식에 따르고 있는데 T, , 각계수에 관해서는 각 공법마다 다르다.
F ?{(Fc + T) + K1ㆍ}
F ?{ (Fc + T) + K2ㆍ}
JASS 5 의 0.1 CDOT (Fc + T)는 당초 수치로서 거의 타당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는 0.9, K1은 2~2.5, K2는 3~3.5 정도가 일반적이다.
?워커빌리티 등
슬럼프는 부어넣기 또타설시 18cm 정도로 하고 있는 예가 많다.
또, 단위수량은 165~175kg/m3정도로 하여 콘크리트의 고품질화를 꾀하고 있다.
슬럼프 15cm이하의 것은 시공성이 좋지않고 특수고성능감수 혼화제에 의하여 슬럼프 21 ~ 23cm 정도로 한 것에 관해서는, 아직 검토가 불충분한 감이 있다. 슬럼프 손실 문제, 피니시빌리티, 프라스틱 슈링케이지(Shrinkage)의 문제에 관한 검토도 중요하다.
?배합관리
워커빌리티, 공기량 등의 프레쉬콘크리트 시험, 표준양생에 의한 배합강도 관리시험은 시공현장에서도 완전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체제가 요구된다. 또, 단기제량강도에 의한 관리도 중요하다.
(3) 콘크리트 제조
? 생콘크리트 공장의 선정
공장선정은 기계에 의한 제조 수송시험에 의한 것이 원칙이고,특히 상부구조에 관해서는 1개공장을 지정한다.
?콘크리트 발주
JIS규격이외의 품질로 하고, 조합, 혼합, 수송, 품질관리 모두에 관해서, 공장측과 협의해 발주조건을 정한다.
(4) 타설 . 다짐
일반적인 공법으로서, 기둥을 버킷타설, 바닥, 보를버킷 또는 펌프타설로 하는 이른바 수평, 수직 분리타설로 하고, 평면적으로는 1~2공구분할로 하고 있다. 검토해야할 공사로서 이화와 같은 것이 있다.
?공구분할과 1일 타설량
?타설용이, 소요시간
?다짐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다짐이 충분한가, 가진시간(加振時間)이 적절한가?
?이어치기부의 처리
(5)양생
습윤양생 기간을 5일 정도로 하는 예와 JASS 5에 따른 7일 이상으로 하는 예가 있다. 또 장기강도에 대한 영향 등 더욱 검토해야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6)구조체콘크리트의 강도 관리
현장 수중양생 또는 현장밀봉(보양)양생에 의한 공시체 강도에 의하여 구조체 콘크리트강도의 관리, 검사를 하고 있다.
구조체 콘크리트 강도검사의 대상 부위에 관해서는, 1일 타설량이 비교적 적은 것, 각층마다 강도확인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원칙으로서 1공구 1일타설량으로 하고, 부위마다 강도를 확인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7)철근공사
직경이 큰 철근 (D22~D41)의 사용, 전단보강근의 대량배근, 고정밀도 확보의 필요등에서, 기둥, 보, 철근은 모두 지상에서 부재단위 또는 여러 부재분을 정리하여, 선조립철근으로서 조립, 양중, 접합되고 있는 예가 많다.
(8)거푸집 공사
기둥, 보 등은 유니트화된 거푸집, 바닥은 대형거푸집 또는 Half-PC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 바닥거푸집을 일체화하고 있는 예도 많다. 지주해체 시기는 콘크리트 강도와 구조 계산에 의하여 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9)품질관리의 체제와 방법
현장내에서 분만 아니라 전 사내조직의 품질관리 최고책임기관을만들어 품질관리를 실시하는 체제와 이른반 QC공정표를 작성하고, 전작업을 관리하에 둘 수 있는 방법이 준비되어야 한다.
7.결론
<새로운 철근콘크리트>계획에 대한 소개와 함께 일본에서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에서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과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재의 상태를 소개했다. 최근까지 일본과 같이 지진이 잦은 지역에서 철근콘크리트 시스템에 의한 몇 십미터 혹은 백미터를 넘는 초고층 건물의 시공에 많은 여려움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컴퓨터의 이용에 의한 새로운 구조해석과 함께 고성능 감수제, 믿을만한 콘크리트 제조기술, 철근 선조립법, 믿을만한 이음방법 등과 같은 진보된 생산기술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해 왔다.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에 도입된 고강도 콘크리트와 새로운 생산 기술들에 의해 미래에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활용이 새롭고 더 넓은 분야가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