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가. 지역무역협정
1) 지역무역협정(RTA)이란?
2) 지역무역협정의 체결 추세
3) 지역무역협정의 확대원인
4) 지역무역협정의 효과
나. 한국과 일본의 FTA 추진배경과 필요성
1) 한국의 FTA 정책 추진배경
2) 일본의 FTA 정책 추진배경
3) 한·일 FTA 추진의 필요성
다. 한·일 FTA의 영향과 국내산업의 대응전략
1) 한·일 FTA의 전개과정
2) 한·일 FTA의 효과
3) 국내 주요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자동차산업
(2) 가전산업
(3) 공작기계산업
(4) 섬유산업
(5) 농립수산업
라. 한·중·일 FTA 발전으로의 필요성
1) 중국과의 FTA 필요성
2) 한·중·일 FTA의 효과
3
. 결론
2. 본론
가. 지역무역협정
1) 지역무역협정(RTA)이란?
2) 지역무역협정의 체결 추세
3) 지역무역협정의 확대원인
4) 지역무역협정의 효과
나. 한국과 일본의 FTA 추진배경과 필요성
1) 한국의 FTA 정책 추진배경
2) 일본의 FTA 정책 추진배경
3) 한·일 FTA 추진의 필요성
다. 한·일 FTA의 영향과 국내산업의 대응전략
1) 한·일 FTA의 전개과정
2) 한·일 FTA의 효과
3) 국내 주요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자동차산업
(2) 가전산업
(3) 공작기계산업
(4) 섬유산업
(5) 농립수산업
라. 한·중·일 FTA 발전으로의 필요성
1) 중국과의 FTA 필요성
2) 한·중·일 FTA의 효과
3
. 결론
본문내용
찬형, “거대경제권과의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경제적 효과 분석”, 대외 경제정책연구원, 2001
안충영, 자유무역협정동북아경제공동체 구상의 시작과 한국의 전략, 국제 통상연구 5권, 2000
오쿠다사토루, 한일자유무역협정 ( KJFTA ) 에 관한 연구 - 최근의 일본 대 외 통상정책의 변화와 배경 -, 국제통상연구 Vol.7, 2002
이남구, 한국의 FTA정책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Vol.28, 2003
이홍배, 일본의 통상정책 변화와 한일 FTA, 한일경상논집 Vol.28, 2004
외교통상부, “한일 FTA 어디까지 왔나”, 국회 한일 미래포럼 발표자료, 2003.
정인교, FTA시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______.『한일 FTA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 책연구, 2001
조석홍김만길, 한일 자유무역협정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Vol.3, 2002
후안강, “중국홍콩일본한국간 자유무역지대 (FTA) 설립 구상”, 대외경 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2002
B.Balassa, The Theory of Economic Integration, London : Allen and Unwin, 1961
Fukugawa. Y., "Japan-Korea FTA as a New Initiative in East Asia : Beyond Bitterness", Global Communications Platform from Japan, 1991
J. Viner, The customs union Issues New York : Canegie in document for International Peace, 1950
KJFTA JSG, "Korea-Japan FTA Study Report," October 2, 2003, p.19
<부록 가> 한국의 대일 수출입 (연도별)
(단위 : 백만불, %)
연도
수 출
수 입
무역수지
전 체
對日
비중
전 체
對日
비중
전 체
對日
1995
125,058
(30.3)
17,049
(26.1)
13.6
135,119
(32.0)
32,606
(28.4)
24.1
-10,061
-15,557
1996
129,715
(3.7)
15,767
(-7.5)
12.1
150,339
(11.3)
31,449
(-3.5)
20.9
-20,624
-15,682
1997
136,164
(5.0)
14,771
(-6.3)
10.8
144,616
(-3.8)
27,907
(-11.3)
19.2
-8,452
-13,136
1998
132,313
(-2.8)
12,238
(-17.1)
11.8
93,282
(-35.5)
16,840
(-39.7)
13.2
39,031
-4,602
1999
143,685
(8.6)
15,862
(29.6)
11.0
119,752
(28.4)
24,142
(43.4)
20.2
23,933
-8,280
2000
172,268
(19.9)
20,466
(29.0)
11.9
160,481
(34.0)
31,828
(31.8)
19.8
11,786
-11,362
2001
150,439
(-12.7)
16,506
(-19.4)
11.0
141,098
(-12.1)
26,633
(-16.3)
18.9
9,341
-10,127
2002
162,471
(8.0)
15,143
(-8.3)
9.3
152,126
(7.8)
29,856
(12.1)
19.6
10,344
-14,713
2003
193,817
(19.3)
17,276
(14.1)
8.9
178,827
(17.6)
36,313
(21.6)
20.3
14,991
-19,037
※ 자료 : KOTIS
주) 1. 관세청 통계기준
2.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3. 비중은 총수출대비 對日 수출입
<부록 나> 한일본 투자동향
(단위 : 백만불(건), 총신고수리기준)
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1~9
총 누계
대일본(건수)
140(138)
96(119)
92(84)
51(67)
275(85)
1,265(820)
대한국(건수)
2,448(614)
772(591)
1,404(474)
541(495)
1,751(382)
15,006(8,102)
※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산업자원부
주)1. 대일본투자의 총 누계는 1968년부터 2004.3/4분기까지
2. 대한국투자의 총 누계는 1962년부터 2004.3/4분기까지
<부록 다> 대일 10대 수출입 품목
(수출)
(단위 : 백만불, %)
순위
2003년
2004년 1-9월
품목명
금액
증가율
품목명
금액
증가율
1
반도체
3,191
22.8
반도체
2,787
25.2
2
석유제품
2,604
8.9
석유제품
2,280
18.7
3
컴퓨터
855
-20.6
철강판
889
89.5
4
철강판
703
47.1
컴퓨터
818
33.0
5
영상기기
658
76.6
영상기기
625
59.6
6
플라스틱제품
441
7.4
플라스틱제품
426
36.3
7
의류
440
-21.1
기초유분
321
132.7
8
어류
298
-16.4
의류
317
-2.0
9
합성수지
272
45.3
금형
246
80.4
10
자동차부품
269
27.1
자동차부품
245
28.8
※ 자료 : KOTIS (MTI3단위)
(수입)
(단위 : 백만불, %)
순위
2003년
2004년 1-9월
품목명
금액
증가율
품목명
금액
증가율
1
반도체
5,238
26.0
반도체
3,820
2.9
2
철강판
2,359
17.2
철강판
2,485
42.5
3
반도체제조용장비
1,222
148.0
반도체제조용장비
1,635
101.4
4
전자응용기기
1,127
66.0
전자응용기기
1,458
95.7
5
플라스틱제품
1,044
44.2
기타잡제품
1,202
117.3
6
자동차부품
994
8.6
플라스틱제품
1,081
53.7
7
무선통신기기
906
30.4
무선통신기기
784
23.2
8
금속공작기계
771
81.1
합금철선철및고철
755
117.3
9
광학기기
754
19.8
계측제어 분석기
743
54.3
10
기구부품
750
19.3
자동차부품
708
-0.3
※ 자료 : KOTIS(MTI3단위)
안충영, 자유무역협정동북아경제공동체 구상의 시작과 한국의 전략, 국제 통상연구 5권, 2000
오쿠다사토루, 한일자유무역협정 ( KJFTA ) 에 관한 연구 - 최근의 일본 대 외 통상정책의 변화와 배경 -, 국제통상연구 Vol.7, 2002
이남구, 한국의 FTA정책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Vol.28, 2003
이홍배, 일본의 통상정책 변화와 한일 FTA, 한일경상논집 Vol.28, 2004
외교통상부, “한일 FTA 어디까지 왔나”, 국회 한일 미래포럼 발표자료, 2003.
정인교, FTA시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______.『한일 FTA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 책연구, 2001
조석홍김만길, 한일 자유무역협정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Vol.3, 2002
후안강, “중국홍콩일본한국간 자유무역지대 (FTA) 설립 구상”, 대외경 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2002
B.Balassa, The Theory of Economic Integration, London : Allen and Unwin, 1961
Fukugawa. Y., "Japan-Korea FTA as a New Initiative in East Asia : Beyond Bitterness", Global Communications Platform from Japan, 1991
J. Viner, The customs union Issues New York : Canegie in document for International Peace, 1950
KJFTA JSG, "Korea-Japan FTA Study Report," October 2, 2003, p.19
<부록 가> 한국의 대일 수출입 (연도별)
(단위 : 백만불, %)
연도
수 출
수 입
무역수지
전 체
對日
비중
전 체
對日
비중
전 체
對日
1995
125,058
(30.3)
17,049
(26.1)
13.6
135,119
(32.0)
32,606
(28.4)
24.1
-10,061
-15,557
1996
129,715
(3.7)
15,767
(-7.5)
12.1
150,339
(11.3)
31,449
(-3.5)
20.9
-20,624
-15,682
1997
136,164
(5.0)
14,771
(-6.3)
10.8
144,616
(-3.8)
27,907
(-11.3)
19.2
-8,452
-13,136
1998
132,313
(-2.8)
12,238
(-17.1)
11.8
93,282
(-35.5)
16,840
(-39.7)
13.2
39,031
-4,602
1999
143,685
(8.6)
15,862
(29.6)
11.0
119,752
(28.4)
24,142
(43.4)
20.2
23,933
-8,280
2000
172,268
(19.9)
20,466
(29.0)
11.9
160,481
(34.0)
31,828
(31.8)
19.8
11,786
-11,362
2001
150,439
(-12.7)
16,506
(-19.4)
11.0
141,098
(-12.1)
26,633
(-16.3)
18.9
9,341
-10,127
2002
162,471
(8.0)
15,143
(-8.3)
9.3
152,126
(7.8)
29,856
(12.1)
19.6
10,344
-14,713
2003
193,817
(19.3)
17,276
(14.1)
8.9
178,827
(17.6)
36,313
(21.6)
20.3
14,991
-19,037
※ 자료 : KOTIS
주) 1. 관세청 통계기준
2.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3. 비중은 총수출대비 對日 수출입
<부록 나> 한일본 투자동향
(단위 : 백만불(건), 총신고수리기준)
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1~9
총 누계
대일본(건수)
140(138)
96(119)
92(84)
51(67)
275(85)
1,265(820)
대한국(건수)
2,448(614)
772(591)
1,404(474)
541(495)
1,751(382)
15,006(8,102)
※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산업자원부
주)1. 대일본투자의 총 누계는 1968년부터 2004.3/4분기까지
2. 대한국투자의 총 누계는 1962년부터 2004.3/4분기까지
<부록 다> 대일 10대 수출입 품목
(수출)
(단위 : 백만불, %)
순위
2003년
2004년 1-9월
품목명
금액
증가율
품목명
금액
증가율
1
반도체
3,191
22.8
반도체
2,787
25.2
2
석유제품
2,604
8.9
석유제품
2,280
18.7
3
컴퓨터
855
-20.6
철강판
889
89.5
4
철강판
703
47.1
컴퓨터
818
33.0
5
영상기기
658
76.6
영상기기
625
59.6
6
플라스틱제품
441
7.4
플라스틱제품
426
36.3
7
의류
440
-21.1
기초유분
321
132.7
8
어류
298
-16.4
의류
317
-2.0
9
합성수지
272
45.3
금형
246
80.4
10
자동차부품
269
27.1
자동차부품
245
28.8
※ 자료 : KOTIS (MTI3단위)
(수입)
(단위 : 백만불, %)
순위
2003년
2004년 1-9월
품목명
금액
증가율
품목명
금액
증가율
1
반도체
5,238
26.0
반도체
3,820
2.9
2
철강판
2,359
17.2
철강판
2,485
42.5
3
반도체제조용장비
1,222
148.0
반도체제조용장비
1,635
101.4
4
전자응용기기
1,127
66.0
전자응용기기
1,458
95.7
5
플라스틱제품
1,044
44.2
기타잡제품
1,202
117.3
6
자동차부품
994
8.6
플라스틱제품
1,081
53.7
7
무선통신기기
906
30.4
무선통신기기
784
23.2
8
금속공작기계
771
81.1
합금철선철및고철
755
117.3
9
광학기기
754
19.8
계측제어 분석기
743
54.3
10
기구부품
750
19.3
자동차부품
708
-0.3
※ 자료 : KOTIS(MTI3단위)
추천자료
한일자유무역협정의 필요성과 해결과제
(무역)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의 현황 및 개선방향
자유무역협정 체결과정에서 고려요소와 바람직한 체결방향
[FTA]FTA(자유무역협정)후 한국
북미자유무역협정 비교를 통한 동북아경제협력에 관한 연구
자유무역협정
파업투쟁과 파업권, 민주노총, 단체행동, 노동자현실, 파업투쟁과 노동자투쟁, 비정규노동자,...
제조업 분야 중심의 한-미 FTA 체결과 향후 전망 (FTA의 주요협정내용, FTA의 확산이유, 한국...
[국제무역정책 공통] 1.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 동향을 설명, 2. 우리...
[국제무역정책 공통] 1.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 동향을 설명하시오. 2....
[국제무역정책 공통] 1.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 동향을 설명. 2. 우리...
WTO란 무엇인가,WTO와 GATT의 관계는,WTO와 FTA의 관계,세계무역기구,WTO 역할 및 기능,WTO협...
무역학개론)미국의 트럼프대통령은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미FTA협정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