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관리_비정규직의 현실과 미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적자원관리_비정규직의 현실과 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도입부
-비정규직의 사회적 이슈화

2.서론
-비정규직의 정의
-비정규직의 역사

3.본론
-비정규직의 규모와 현황
-비정규직 보호법안의 실의
-비정규직 시위 현장리포트

4.결론
-비정규직의 미래에 관한 전망
-느낀점

본문내용

및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에 적극 협력할 것"을 주장, 노동계와 큰 시각차를 보였다.
이에 따라 당장 대책에서 제외된 비정규직을 중심으로 한 반발은 물러서서라도 내달 중순으로 예정된 민주노총의 임.단협 총력투쟁에서 민간부문의 비정규직 문제가 노. 사. 정간 마찰의 불씨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노동부가 올해 안 입법화를 추진 중인 `기간 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정안 등 비정규직 보호 관련법에 대해서도 노. 사가 팽팽히 줄다리기를 할 것으로 보여 비정규직 문제는 올해 노. 사, 노. 정 관계의 '뇌관'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0652991§ion_id=102&menu_id=102
조원들이 생각하는 전망과 대책
솔직히 현실적으로 비정규직의 투쟁은 어둡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엔 없다. 대책이라고 내놓는 정부의 보호 법안은 오히려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더욱 고통스럽게만 하고 있으며 비정규직의 어려움을 몸소 체험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겐 이들의 힘겨운
몸부림이 국민의 동정심을 유발하려는 것 이상으로 관심을 끌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취업을 준비하는 대부분의 대학생 및 20~30대 층들이 자신의 취업에 있어 정규직만을 염두 해두고 ‘비정규직’에 대해선 남의 일처럼 생각하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후임이 될지도 모를 취업 준비자들의 무관심 때문에 비정규직의 목소리는 점점 소리 없는 절규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고정관념과 사회인식들은 쉽게 바뀌어 지는 것이 아니므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통은 앞으로도 얼마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단지 비정규직 문제가 시간이 해결해 주는 것만이 아니므로 노동자 및 사회가 나서서 대책을 강구해봐야 할 것 이다.
우선 비정규직 투쟁을 하고 있는 수많은 사내 . 하청 기업의 노동자들은 비정규직의 문제는 더 이상 그 회사 내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서로 연대하여 하나의 목소리를 내어야 만 할 것이다.
그리고 정부도 더 이상 재계의 재산권만을 우선시하는 듯 하다 기존의 태도를 버리고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조사와 그들에 대한 요구사항을 수렴 하여서 강력한 결단력으로 재계와 노동자의 문제를 중제 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 정부는 비정규직에 대해 언제 해고 될지도 모를 불안정성을 법적 제도의
도입으로 해소해주어야 할 것이며 재계 역시 자신의 수익을 극대화 하려는 생각에 앞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를 일회용 취급하는 관행을 그만 두어야 할 것이다. 또 정부는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확대하고 완전고용, 평생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정규직의 고통을 하루빨리 끝내기 위해서는 온 국민의 통합적 관심과 지지가 절실히 필요 할 것이다. 800만 大비정규식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내가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우리 모두 비정규직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보고서를 마치며...
처음 우리 조에서 선택한 주제는 사실 비정규직의문제가 아니었다.
처음엔 승진과정의 내용과 승진 결정 기준을 주제로 하여 프로젝트를 추진하려 했다. 하지만 우리 나름대로 해볼만하다고 결정한 주제 자체가 교수님께서 힘든 주제중 하나라고 말씀하셨을 때 처음엔 그냥 해볼까 하였지만 나중에 추가된 주제도 있고 다시 고려해 보자는 조원들의 생각으로 우리들은 비정규직의 현실과 미래라는 주제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자 했다. 비정규직의 주제를 택한 이유는 아무래도 현재 방영 되고 있는 ‘신입사원’의 영향이 컸을 것이다.
드라마 속에서 비정규직 문제 취업문제 등이 풍자적으로 들어나 있었고 그에 대해 많은 이슈도 있었다. 우리들도 관심을 갖고 있었고 이기회로 우리 또한 겪게 될 수 있는 취업, 비정규직 문제에 조금 가깝게 다가가며 준비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이었다.
매주 화요일, 목요일 수업이 끝난 후 조 모임을 가지며 각자 맡은 파트에 자료 수집 현황을 체크하며 자료를 업데이트 해갔다. 인터넷엔 예상대로 엄청난 양의 자료가 범람 했고 그 안에서 우리에게 필요하고 유용한 자료를 모아 가는 것은 생각보다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리고 20일 금요일 KT혜화지점의 비정규직 투쟁 현장에 참여 했다. 프로젝트 초기부터 생각했던 것은 광화문 같은 곳의 대규모 집회가 아닌 이런 소규모 집회, 투쟁에 참여하여 그들의 정말 살아남기 위한 투쟁을 우리의 살갗으로 직접 느껴보고 체험하자는 것이었다. 우리가 갔던 그 KT혜화지점의 출근 투쟁은 정말 그들의 살기위한 싸움이었으며 그들의 현실을 우리도 가슴 깊게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위의 KT혜화지점 출근투쟁 참고)
토요일 마지막 편집 작업을 위해 정오에 학교에 모인 우리는 경상관 전산실에서 집회 인터뷰를 정리하고 지금 것 모은 자료를 편집하였다. 그리고 지금 것 이 프로젝트를 진행해 오며 느끼게 된 생각들을 자유롭게 얘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실제로 나 자신에게 아직 닥친 현실이 아니라는 생각에 드라마를 보며 웃어 넘겼던 일들이 이렇게 심각한 문제 일 줄은 몰랐다. 자료 수집과정에서도 그렇게 크게 느끼진 못했었지만 투쟁의 현장 속에서 우리는 정말 지금의 현실을 보아 버린 것이다. 우리도 이제 몇 년 후면 졸업을 하고 취업의 현장 속에 뛰어 들어야 한다. 그 안에 택하고 취하게 될 우리의 직업, 그것에 비정규직이 없다는 보장은 없다. 지금의 현실을 직시 하게 되었고, 앞으로의 우리의 미래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들의 보고서는 여기저기 끌어 모은 자료를 통합하는 과정에서의 불일치 점과 우리의 미흡한 점으로 완벽한 통일성을 보이진 않는다. 하지만 우리들이 끝까지 노력하며 완성한 것으로 비정규직의 현실에 대한 조사에 많이 노력했으며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토의를 많이 했다. 그리고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우리 대학생들도 묵과할 수 없는 일임을 깨달았다.
끝으로 우리 조원들은 비정규직, 그들의 문제를 단순히 전망해 보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계속하여 그들의 행보에 귀추를 주목해 나갈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06.2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