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사이토카인의 일반적인 성질
2.사이토카인의 기능 (function of cytokines)
3.사이토카인 수용체
4.사이토카인 길항제 (cytokine antagonist)
5.helper T cell이 만들어내는 사이토카인
2.사이토카인의 기능 (function of cytokines)
3.사이토카인 수용체
4.사이토카인 길항제 (cytokine antagonist)
5.helper T cell이 만들어내는 사이토카인
본문내용
면역 반응이 적절하게 일어나기 위하여는 여러 면역세포들의 직ᆞ간접적인 또는 상호작용
Ex) B cell 이 항체를 생산에는 T cell의 작용
이때, B cell 표면에 있는 MHC와 T cell 표면에 있는 TCR 사이의 직접적인 결합이 중요
즉, 면역세포의 상호작용에는 한 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다른 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간의 직접적으로 결합을 통한 세포간의 연락 (통화, communication)이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면역반응 세포 상호 작용
① 수용체간의 직접적인 접촉
② 세포가 분비해낸 단백질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우
이들 단백질들은 어떤 세포에 의해 만들어져, 그 세포 밖으로 분비되며, 다시 자신이나 이웃한 세포 또는 먼 곳에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 이러한 단백질들은 작용한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유도하기도 하며, 기능과 활성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이토카인 (cytokine)이라고 부른다.
사이토카인은 여러 가지 면역세포들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여러 가지 면역세포의 활성화 (activation), 성장 (growth), 분화 (differentiation)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이토카인 단백질들: ①자연면역과 ②획득면역 ③면역세포의 성숙 작용
사이토카인 중에서 식균작용이 있는 mononuclear cells에 의해서→monokine
림프구의 작용을 조절하는 것→ lymphokine 또는 interleukin (IL)
골수의 전구세포로부터 각종 면역세포의 성숙을 조절하는 cytokine들→
colony stimulating factor (CSF)
하나의 사이토카인이 특정한 하나의 세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고, 심지어 하나의 사이토카인의 작용이 한가지 세포에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아주 명확한 것은 아니다.
사이토카인의 발견
1950~1970년대에 항원과 감염성 질병에 대한 면역반응에 관여 단백질들을 찾는 연구
예를 들어, 최초의 사이토카인이라 할 수 있는 interferon은 바이러스 감염을 방해하는 인자로서 발견되었으며, IL-1과 같은 사이토카인은 이미 여러 가지 감염성질환이나 주사제 등에서 발열원 (pyrogen)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들 외에도, macrophage activating factor, T cell growth factor, B cell growth factor, B cell differentiation factor 및 colony stimulating factor등과 같은 많은 종류의 사이토카인 등이 발견되었으며, 현재도 새로운 종류의 사이토카인들이 계속하여 발견되고 있다.
Ex) B cell 이 항체를 생산에는 T cell의 작용
이때, B cell 표면에 있는 MHC와 T cell 표면에 있는 TCR 사이의 직접적인 결합이 중요
즉, 면역세포의 상호작용에는 한 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다른 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간의 직접적으로 결합을 통한 세포간의 연락 (통화, communication)이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면역반응 세포 상호 작용
① 수용체간의 직접적인 접촉
② 세포가 분비해낸 단백질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우
이들 단백질들은 어떤 세포에 의해 만들어져, 그 세포 밖으로 분비되며, 다시 자신이나 이웃한 세포 또는 먼 곳에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 이러한 단백질들은 작용한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유도하기도 하며, 기능과 활성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이토카인 (cytokine)이라고 부른다.
사이토카인은 여러 가지 면역세포들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여러 가지 면역세포의 활성화 (activation), 성장 (growth), 분화 (differentiation)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이토카인 단백질들: ①자연면역과 ②획득면역 ③면역세포의 성숙 작용
사이토카인 중에서 식균작용이 있는 mononuclear cells에 의해서→monokine
림프구의 작용을 조절하는 것→ lymphokine 또는 interleukin (IL)
골수의 전구세포로부터 각종 면역세포의 성숙을 조절하는 cytokine들→
colony stimulating factor (CSF)
하나의 사이토카인이 특정한 하나의 세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고, 심지어 하나의 사이토카인의 작용이 한가지 세포에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아주 명확한 것은 아니다.
사이토카인의 발견
1950~1970년대에 항원과 감염성 질병에 대한 면역반응에 관여 단백질들을 찾는 연구
예를 들어, 최초의 사이토카인이라 할 수 있는 interferon은 바이러스 감염을 방해하는 인자로서 발견되었으며, IL-1과 같은 사이토카인은 이미 여러 가지 감염성질환이나 주사제 등에서 발열원 (pyrogen)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들 외에도, macrophage activating factor, T cell growth factor, B cell growth factor, B cell differentiation factor 및 colony stimulating factor등과 같은 많은 종류의 사이토카인 등이 발견되었으며, 현재도 새로운 종류의 사이토카인들이 계속하여 발견되고 있다.
추천자료
현대과학과 기술의 실태
태교에서 만2세 유아의 영양
바이오 센서에 대한 모든것.
알코올성 간질환의 특징과 치료
수유부의 영양
모유(모유수유)의 의의와 중요성, 모유(모유수유)의 장점과 주관적 규범, 모유(모유수유)와 ...
상황버섯의 효능 및 효과
바이오센서(Biosensor)에 대한 시장 분석
[백혈병][백혈병 개념과 종류][백혈병 원인][백혈병과 음식][백혈병과 백혈구 질환][백혈구 ...
영유아기의 영양 상태가 중요한 이유를 설명
식이섬유소가 영유아의 무기질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 하시오.
염증성 매개물질-보체계(complement system)
조혈장애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전염성 단핵구증)
기초간호과학 2017-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염증의 형태적 분류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