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혁명] 17세기 영국혁명의 경제적 배경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序 論

Ⅱ.本 論

1. 반독점운동의 발전

(1) 왕실독점의 전개

(2) 자유무역론의 대두

(3) Guild의 민주화 운동

2. 토지소유관계의 변형

(1) 장원 영주층의 교체

(2) 농민층의 분해과정

Ⅲ. Enclosure와 농업개량사상.

Ⅳ. 結 論.

본문내용

적 조치로서, 봉건지대의 강화에 의한 지주적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또한 젠트리를 중심으로 한 앵클로우저에서는 전기적인 자본주의 발전의 基底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봉건적 생산양식에 대한 경제적 개인주의의 승리를 가져왔던 것이다.
근대적 토지 소유층의 결정적 승리에 대응하여 서서히 농업개량 사상이 대두하는데, 이제는 앵클로우저의 부정적 측면보다도 그 적극적인 면을 강조하려는 견해가 유력해진다.
이리하여 J.Lee의 경우 동의에 입각한 交換分合에 의한 앵클로우저는 관계자에게 모두 유리하고 앵클로우저 된 토지는 훨씬 적은 면적의 토지에서 보다 많은 곡물을 수확한다고 주장했으며 앵클로우저가 공익에 도움이 됨을 역설하고 있다. 이렇게 인구감소를 수반하지 않는 앵클로우저, 또한 동의의 원리에 입각한 평화적인 농지의 교환분합에 의한 綜劃地의 형성, 즉 고립경영의 창설을 권장하는 그의 주장 속에서 자본주의 성립기에 있어서 생산력 발전의 방향을 전망하는 자의 확신에 찬 자기주장이 드러나 있다.
아무튼 목양지가 농경지로 전환하는데서 농업개량의 방향을 구하거나 목양 앵클로우저를 통한 공유지나 황무지의 개량에 역점을 두는 것은 강조점의 차이는 있으나. 그 개량정신에 있어서는 동일하며, 모두 새로운 자본주의시대에 대응하는 생산력 상승의 방향을 뚜렷이 전망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結 論
영국 절대주의의 해체과정과 경제적 구조의 변화 속에서 17세기 영국혁명의 경제적 배경을 반독점운동을 중심으로 하여 토지소유관계의 변혁과 앵클로우저와 농업개량 사상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절대주의 시대에 있어서 중상주의 정책의 일환에서 나온 독점은 왕실 재정의 궁핍과 기존 사회구조의 유지 혹은 새로 대두하는 계층에 대한 국왕의 지배 강화 등과 같은 요인이 작용하여 대량을 창출되었는데 특히 재정의 궁핍화에 따라 독점이 악용되자 얼마후 이 독점이 끼치는 폐단으로 인하여 소위 반독점운동이 발생하였다.
영국혁명기에 반독점운동은 개개의 독점이 끼친 수많은 폐단으로 인하여 직접 간접으로 타격을 입은 사람들에 의하여 먼저 나타났다. 따라서 그러한 개별의 독점에 대한 반대가 독점 전체에 대한 반대운동으로까지 확산되었는데, 이 독점 전반에 대한 비난도 의회 밖에서는 팜플렛 기타 저서에 의한 獨占反對論이란 형태를 취했고 의회내에서는 소위 반독점논쟁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그 결과 절대주의에 대한 모든 요구가 이 반독점운동 속에 응집되어 계속 투쟁을 진행시켜 마침내 영국혁명으로 귀결되었던 것이다.
한편 독점의 폐단은 상품가격의 인상과 품질의 저하로 나타나 소비자의 불만을 낳게 했고 생산자 측에서는 원료가격의 인상 등으로 인해 강력한 반독점운동을 야기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처음에 중상주의적 보호무역 정책의 일환으로 성립된 특권 company제는 국왕이 무역 독점권을 특정 company에 부과함으로써 성립되었다. 이는 불안정한 외국시장과 생산 및 유통의 헛점을 지닌 당시에는 필요한 것이었으나 점차 무역시장의 확대와 국내생산의 증가로 이와 관련된 각처에서 불만을 불러 일으켰다.
즉 織元(clothier)이라 불린 직접생산자와 밀무역업자등이다. 이 밖에 모직물공업에 종사하는 각종의 수공업자들, 직인, 노동자로부터 공격을 받게 되었고 제한적이지만 자유무역론이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이 교역의 자유가 발전하는 배경에는 company를 중심으로 형성된 유력상인간의 싸움을 무시할 수 없다.
한편, 정적이고 폐쇄된 지방 시장을 전제로 하는 길드는 경제발전이 진행되자 그 초기와 같은 구조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15세기에는 직인들의 Yeoman Guild가 발생했고 16,7세기에는 소주장들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길드의 개혁운동이 전개되어 마침내 Unwin에 의해 Incorporate이라 명명된 새 길드를 만들게 되는데 이는 봉건제의 재편성에 지나지 않는 절대주의의 독점정책에 대한 도전이었는데 따라서 반독점운동의 일부로 진행되었다.
아무튼 절대주의의 경제적 지주를 이루는 독점체계의 해체는 그것의 종류를 막론하고 그 독점의 해체과정의 독자적 경제문제에만 국한되지 않고 나아가 이 독점체제를 구축한 절대주의의 해체와 변혁을 의미하는 것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경제발전과 깊은 연관성을 지니는 것이다.
봉건적 지대가 신속히 화폐지대로 전환한 영국에서는 15세기 이래 영주층의 교체현상과 함께 경제 외적 강제의 강화로 인하여 장원의 농민들 가운데는 그 경작권의 안정과 화폐가치의 계속적 하락이 원인이 된 화폐지대의 경감으로 자유 토지보유농이 늘어난 이들은 경쟁을 통해서 빈부의 양극으로 자기분해과정을 거치면서 그들의 지위를 향상시켜 근대적 자본관계 성립을 위한 배양사로 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에 의하여 봉건적 토지소유관계는 해체가 되었으며, 혁명의 에너지는 배양되었던 것이다.
15세기 중엽 이후 17세기 중엽의 앵클로우저는 16세기를 극성기로 그것이 인구감소 등과 같은 부정적인 현상을 초래하기는 했으나 전체적으로 영주 재산제의 위기에 대한 적극적 대응책으로서 지주적 근대화의 일환으로 젠트리를 중심으로 한 앵클로우저에서는 전기적 자본주의 발전의 기저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봉건적 생산양식에 대한 경제적 개인주의의 승리를 가져왔으며 농업경영의 합리화라는 새로운 조류를 전망하는 사조를 낳았다.
參考文獻
1) 문석홍, [西洋近代史 硏究], 서울: 일조각, 1981.
2) 羅鍾一, [英國近代史 硏究], 서울: 서울대출판부, 1979.
3) 羅鍾一, "英國튜더王政의 農業政策과 職人法에 대한 論議", 서울, [歷史學報] 第四十六輯, 1970.
4) 吳主煥, "英國革命史硏究의 實相", [慶北史學],第五輯, 1982.
5) 文永相, "淸敎徒 革命의 社會經濟的 背景의 分析", [東亞論叢], 第七輯, 1971.
6) 崔京淑, "Tudor王政의 商工業政策", [淑大史論], 제11, 12合輯, 1976.
7) W.J. Ashley, [英國經濟史], 裵福石 譯, 서울: 法文社, 1960.
8) 申翰雨, "Enclosure運動의 硏究", [京畿大論文集], 第五輯, 1977.
9) 金民濟, "Tudor時代 流浪民 發生原因에 대한 硏究", [陸士論文集], 第十七輯, 1977.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6.2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4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