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교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를 쳤는데 이 것은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그후 정월에 몸이 완쾌 되었다. 그는 9살 때 집을 나와 무당에 대한 의무, 도고, 살아갈 법을 직골 할아버지를 통해 배우고 박수나 무녀와 같은 남자의 역할과 여자의 의무를 배우게 되었다. 또 점을 배우고 신법과 룰을 배우며 영험의 활용을 조절하는 것을 배웠다. 그는 자신이 여성적의 역할까지 감담하게 됨으로 스스로 여성으로 생각한다고 한다. 그는 지금 선덕여왕 황금 부인을 모시며 화신 할아버지를 모시고 있다.
김금화 만신과 이영희 법사에게서 찾을 수 있는 종교적 체험은 바로 내림 굿을 하기 전에 신병을 앓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의지가 아닌 몸신의 뜻대로 자신의 삶은 그렇게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 자신의 의지가 아닌 신의 뜻으로 부름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두 사람은 무당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제자에게 양육하고 있으며 그 제자들 역시 이영희 법사나 김금화 만신이 거쳐왔던 신병, 점, 굿을 배우며, 신법을 배우는 일에 게을리 하지 않다고 한다. 신과 인간의 만남은 사람의 뜻대로가 아닌 신의 섭리임을 느끼며 한 종교인으로서 그들의 신앙을 지켜가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6.24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