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어
■ 교합의 원리
■ 부정교합이란?
■ 부정교합의 원인
■ 부정교합의 분류
■ 부정교합으로 인한 장애(교합병)
■ 부정교합의 치료
■ 결 어
■ 교합의 원리
■ 부정교합이란?
■ 부정교합의 원인
■ 부정교합의 분류
■ 부정교합으로 인한 장애(교합병)
■ 부정교합의 치료
■ 결 어
본문내용
좌우 비대칭 유무, 얼굴 형태, 위 아래 얼굴 높이 관계를 관찰한다
Ⅰ. 치아이동에 의한 치료
치성 부정교합의 경우에는 악골 내에서 치아를 정상위치로 적절히 이동시켜 정상교합을 회복하여 줄 수 있다.
덧니의 경우 증상에 따라 치료과정에 큰 차이가 있다. 육안으로 봤을 때 매우 심하다면 작은 어금니 네 개를 뽑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치아를 뽑아서 생기게 되는 공간으로 덧니를 펴주면 자연스럽게 메워지게 된다. 물론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치아를 뽑지 않고도 교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덧니가 있다면 무조건 뽑는다는 생각을 갖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뻐드렁니 등 튀어나온 앞니는 덧니 치료와는 차이가 있다. 많은 것은 아니지만 어금니를 뽑고 이 공간을 이용해서 앞으로 나온 앞니를 안으로 끌어들여 바로 잡아줄 수도 있다. 남성들은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웃을 때 잇몸이 보이는 여성이라면 보조적인 장치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수술을 받으면 치료가 가능하다.
지나치게 튀어나온 입은 상대적으로 치료를 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대부분 작은 어금니를 빼고 남는 공간을 이용해 앞니를 밀어 넣는다.
과거 치료법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는 다소의 부작용도 있었다. 하지만 최근 치의학은 그 정도 증상이라면 만족할 만큼 치료를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구체적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고정성 교정장치 장착법
각 치아마다 작은 단추와 같은 교정 장치(Brace : 교정용 철사를 고정하기 위해서 치아에 접착하는 단추 모양의 장치들. 오늘날 교정에서 사용되는 철사는 니켈-티타늄으로 만들어지는데 예전에 사용되던 것들보다 더 가늘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치료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더 편안함. 이것들에 의해 가해지는 부드러운 힘에 의해 서서히 치아들이 바른 위치를 잡게 됨.)를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와 교정용 고무줄 등 여러 가지 재료들을 이용하여 치아를 당기거나 밀어 줌으로써 치열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Brace의 장착기간은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부정교합의 심한 정도, 치아 및 잇몸, 치조골의 건강상태, 환자의 나이, 환자가 의사의 지시를 얼마나 잘 지키느냐 등 대체로 환자에 따라 짧게는 1년에서 길게는 3년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
교정방법에 교정 장치와 교정용 철사, 교정용 고무줄등을 치아 안쪽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설측 교정장치" 또는 "내측 교정장치"라고 부른다. 입 안쪽으로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교정장치가 보이지 않으므로 과거에는 연예인들에게 많이 사용되던 방법이지만 최근에는 일반인들에게도 많이 사용된다.
가철성 교정장치 장착법
간단한 틀니 모양의 장치를 아동이 끼고 생활하게 함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틀니처럼 꼈다 뺏다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철성 교정장치라고 부른다.
교정 치료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치료를 받게 되므로 환자의 인내와 철저한 구강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Ⅱ. 악골의 성장조절에 의한 치료
골격성 부정교합은 상하악골의 상대적인 성장양의 부조화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장기에 성장조절을 통해 칠하여야만 적절히 치료될 수 있다. 자라나는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경우 일정한 장치를 이용해서 아래턱이나 위턱이 지나치게 자라는 것을 막아주는 치료도 있다. 아래턱이 제대로 자라지 못해 윗니가 드러나 보일 때는 아래턱이 자라는 장치를 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골격성 부정교합을 조기에 치료하지 못하였거나 성장조절이 실패 하였을 경우 그 정도가 경미하면 성장이 끝난 후에 교정적 치아이동에 의해 치료될 수도 있지만 정도가 심한 경우 성장 완료 후에 교정치료와 외과적수술을 병행해야 한다.
결 어
레포트를 쓰기 위해 인터넷과 여러 구강관련 서적들을 참고하는 과정에서, 인터넷은 비교적 일반인을 대상으로 풀어쓴 설명들이 많아서 쉽게 이해가 되었으나 서적은 아무래도 관련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옛날 책들이어서 용어에서부터 이해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용어들을 하나하나 찾고 문맥을 파악하면서 겉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증상이 여러 복잡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되었고 전부 완전히 파악한 것은 아니지만 흐름을 파악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얻게 되었다는 뿌듯함을 느끼기도 하였다. 또한 이제 웬만한 부정교합을 가진 사람을 보면 “저 사람은 1급이구나.. 2급이구나..”를 판별할 수 있을 것 같고 또한 부정교합이 선천적인 이유뿐만이 아닌 후천적인 이유도 30%정도나 차지한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손가락을 빤다든가 하는 악습관도 구강건강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새삼 인식하게 되었다.
치아가 건강한 것을 오복중의 하나라고 할 만큼 치아건강은 사람의 일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부정교합은 말 그대로 치아 교합이 잘못된 것뿐만이 아닌 얼굴 전체의 근육과 골격의 교합까지도 포함하므로 잘못된 교합으로 인한 문제점은 앞서 살펴보았듯 그 영향력이 다각도에 걸쳐있다. 따라서 일생 좋은 건강을 가지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잇솔질을 비롯한 치아위생에 신경써야함은 물론 교합의 문제에도 좀더 심각성을 가지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함으로써 보다 치아 건강을 추구함에 있어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臨床生理咬合(임상생리교합)」/ 조병완ㆍ환산강랑
/ 지성출판사, 1993
■「교합학」/ 김영수ㆍ조인호/ 고문사, 1990
■「임상중심의 치의학개론」/ 김여감..등저/ 나래출판사
, 2001
■「예쁜이 튼튼한 이」/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 신승철ㆍ김경욱
■ 네이버 검색 www.naver.com
목 차
■ 서 어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2
■ 교합의 원리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3
■ 부정교합이란?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4
■ 부정교합의 원인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4
■ 부정교합의 분류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6
■ 부정교합으로 인한 장애(교합병)ㆍㆍㆍㆍㆍㆍp.11
■ 부정교합의 치료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14
■ 결 어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16
■ 참고문헌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17
Ⅰ. 치아이동에 의한 치료
치성 부정교합의 경우에는 악골 내에서 치아를 정상위치로 적절히 이동시켜 정상교합을 회복하여 줄 수 있다.
덧니의 경우 증상에 따라 치료과정에 큰 차이가 있다. 육안으로 봤을 때 매우 심하다면 작은 어금니 네 개를 뽑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치아를 뽑아서 생기게 되는 공간으로 덧니를 펴주면 자연스럽게 메워지게 된다. 물론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치아를 뽑지 않고도 교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덧니가 있다면 무조건 뽑는다는 생각을 갖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뻐드렁니 등 튀어나온 앞니는 덧니 치료와는 차이가 있다. 많은 것은 아니지만 어금니를 뽑고 이 공간을 이용해서 앞으로 나온 앞니를 안으로 끌어들여 바로 잡아줄 수도 있다. 남성들은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웃을 때 잇몸이 보이는 여성이라면 보조적인 장치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수술을 받으면 치료가 가능하다.
지나치게 튀어나온 입은 상대적으로 치료를 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대부분 작은 어금니를 빼고 남는 공간을 이용해 앞니를 밀어 넣는다.
과거 치료법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는 다소의 부작용도 있었다. 하지만 최근 치의학은 그 정도 증상이라면 만족할 만큼 치료를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구체적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고정성 교정장치 장착법
각 치아마다 작은 단추와 같은 교정 장치(Brace : 교정용 철사를 고정하기 위해서 치아에 접착하는 단추 모양의 장치들. 오늘날 교정에서 사용되는 철사는 니켈-티타늄으로 만들어지는데 예전에 사용되던 것들보다 더 가늘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치료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더 편안함. 이것들에 의해 가해지는 부드러운 힘에 의해 서서히 치아들이 바른 위치를 잡게 됨.)를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와 교정용 고무줄 등 여러 가지 재료들을 이용하여 치아를 당기거나 밀어 줌으로써 치열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Brace의 장착기간은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부정교합의 심한 정도, 치아 및 잇몸, 치조골의 건강상태, 환자의 나이, 환자가 의사의 지시를 얼마나 잘 지키느냐 등 대체로 환자에 따라 짧게는 1년에서 길게는 3년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
교정방법에 교정 장치와 교정용 철사, 교정용 고무줄등을 치아 안쪽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설측 교정장치" 또는 "내측 교정장치"라고 부른다. 입 안쪽으로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교정장치가 보이지 않으므로 과거에는 연예인들에게 많이 사용되던 방법이지만 최근에는 일반인들에게도 많이 사용된다.
가철성 교정장치 장착법
간단한 틀니 모양의 장치를 아동이 끼고 생활하게 함으로써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틀니처럼 꼈다 뺏다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철성 교정장치라고 부른다.
교정 치료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치료를 받게 되므로 환자의 인내와 철저한 구강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Ⅱ. 악골의 성장조절에 의한 치료
골격성 부정교합은 상하악골의 상대적인 성장양의 부조화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장기에 성장조절을 통해 칠하여야만 적절히 치료될 수 있다. 자라나는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경우 일정한 장치를 이용해서 아래턱이나 위턱이 지나치게 자라는 것을 막아주는 치료도 있다. 아래턱이 제대로 자라지 못해 윗니가 드러나 보일 때는 아래턱이 자라는 장치를 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골격성 부정교합을 조기에 치료하지 못하였거나 성장조절이 실패 하였을 경우 그 정도가 경미하면 성장이 끝난 후에 교정적 치아이동에 의해 치료될 수도 있지만 정도가 심한 경우 성장 완료 후에 교정치료와 외과적수술을 병행해야 한다.
결 어
레포트를 쓰기 위해 인터넷과 여러 구강관련 서적들을 참고하는 과정에서, 인터넷은 비교적 일반인을 대상으로 풀어쓴 설명들이 많아서 쉽게 이해가 되었으나 서적은 아무래도 관련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옛날 책들이어서 용어에서부터 이해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용어들을 하나하나 찾고 문맥을 파악하면서 겉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증상이 여러 복잡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되었고 전부 완전히 파악한 것은 아니지만 흐름을 파악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얻게 되었다는 뿌듯함을 느끼기도 하였다. 또한 이제 웬만한 부정교합을 가진 사람을 보면 “저 사람은 1급이구나.. 2급이구나..”를 판별할 수 있을 것 같고 또한 부정교합이 선천적인 이유뿐만이 아닌 후천적인 이유도 30%정도나 차지한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손가락을 빤다든가 하는 악습관도 구강건강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새삼 인식하게 되었다.
치아가 건강한 것을 오복중의 하나라고 할 만큼 치아건강은 사람의 일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부정교합은 말 그대로 치아 교합이 잘못된 것뿐만이 아닌 얼굴 전체의 근육과 골격의 교합까지도 포함하므로 잘못된 교합으로 인한 문제점은 앞서 살펴보았듯 그 영향력이 다각도에 걸쳐있다. 따라서 일생 좋은 건강을 가지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잇솔질을 비롯한 치아위생에 신경써야함은 물론 교합의 문제에도 좀더 심각성을 가지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함으로써 보다 치아 건강을 추구함에 있어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臨床生理咬合(임상생리교합)」/ 조병완ㆍ환산강랑
/ 지성출판사, 1993
■「교합학」/ 김영수ㆍ조인호/ 고문사, 1990
■「임상중심의 치의학개론」/ 김여감..등저/ 나래출판사
, 2001
■「예쁜이 튼튼한 이」/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 신승철ㆍ김경욱
■ 네이버 검색 www.naver.com
목 차
■ 서 어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2
■ 교합의 원리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3
■ 부정교합이란?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4
■ 부정교합의 원인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4
■ 부정교합의 분류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 6
■ 부정교합으로 인한 장애(교합병)ㆍㆍㆍㆍㆍㆍp.11
■ 부정교합의 치료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14
■ 결 어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16
■ 참고문헌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p.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