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 교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잔존
치아가 조기에 상실한 경우 인접치가 그 공간으로 쓰러질 경우가 높음
(3) 유치의 우식
유치의 제2유구치의 치관이 우식으로 일부가 붕괴되면 제1대구치가 근심이동하고
소구치, 견치등 후에 맹출하는 치아의 공간이 없어짐
(4) 기타
상순소대, 설소대, 치주질환 등
3) Discrepancy(부조화)
상하악의 크기와 위치적 부조화를 말하기도 하지만 주로 치아의 크기(치과 근원심 폭경의
총화)와, 치아가 식립하는 치조궁의 크기에 unbalance가 있는경우
(1) 총생- 치아 폭경의 총화가 치조궁에 비해 과대한 경우
(2) 상악전돌, 상하악전돌- 좁은 악골에 치열이 고른 경우(구순이 닫히지 않음)
(3) 공극치열- 치조궁이 치아의 폭경의 총화보다 넓은 경우
6.부정교합의 예방
1) 구강습벽의 제거
구강습벽이 반드시 부정교합으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지만 치아와 치열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와 방향, 빈도, 기간, 영향의 대소 등에 따라 교합에 다양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2) 유치우식(조기상실)의 치료
유구치의 인접면에 치아우식이 발생하면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을 야기시켜 영구치가 맹 출할 공간을 부족하게 만들며 amalgam filling 이후에도 amalgam의 파절이 발생한 경우 구치의 근심이동을 야기할 수 있다.
3) 만기잔존유치의 발거
유치가 치아우식 등에 의해 치수괴사를 일으킨 경우 치근흡수가 지연되어 영구치의 맹 출이 지연된다. 상악 전치부에서는 유중절치의 만기잔존에 의해 중절치의 맹출이 지연되 기도 하고 때로는 중절치가 유중절치가 순설적으로 겹쳐 맹출하는 경우가 있다. 중복된 경우에는 중절치가 순측 또는 설측으로 전위하는 원인이 된다.
4) 상하악관계이상의 조기개선
상하악관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그 정도에도 의하지만 유치열기로부터 혼합치열 전 기에 개선 또는 더욱 악화되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조기접촉의 제거
조기접촉에 의해 하악이 전방 또는 측방으로 편위하는 증례에서는 골격적 상하악 관계 의 부정으로 발전할 수 있다.
6) 과잉치의 발견
과잉치의 존재는 그 인접한 치아의 배열에 영향을 준다. 특히 상악 전치 정중부에 나타 나는 빈도가 높고, 중절치의 배열 부정과 정중이개의 원인이 된다.
7) 연속발거법의 적용
연속발거법은 제2대구치와 영구절치가 맹출한 혼합치열 초기에 분명히 총생이 존재하 고, 장래에 견치, 소구치의 맹출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 경우에 시행하는 계획적인 발치이다.
*연속발거순서*
(1) 유견치의 발거에 의해 전치부의 총생을 해소한다.
(2) 제1유구치의 발거에 의해 제1소구치의 맹출을 촉진한다.
(3) 제1소구치의 맹출후 즉시 이것을 발거한다.
(4) 견치가 원심을 향해 맹출하고, 제1소구치가 있던 위치로 온다.
(5) 지2유구치가 탈락하고 제2소구치가 맹출한다.
(6) 제1.제2대구치의 근심이동에 의해 잉여공간이 페쇄된다.
"본 리포트(과제물)는 본인이 독자적으로 제작한 것이며, 다른 출판물 또는 인터넷에서 일부 혹은 전체를 표절한 것이 아님을 증명 합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3.1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