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생태공원 현황조사 및 개선방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울시 생태공원 현황조사 및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고찰
1. 생태공원의 개념 및 의의
2. 생태공원에서의 환경해설자
3. 자연학습장을 통한 환경교육

Ⅲ. 사례조사 및 분석
1. 외국의 생태공원
1) 미국의 조성사례
2) 일본의 요코하마 생태공원
3) 영국의 런던 길리스파이 생태공원
2. 우리나라의 생태공원
1)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2) 길동 자연생태공원
3) 우면산 자연생태공원
4) 생태계 보전지역

Ⅳ. 생태공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질에 대한 수요는 높은 반면 공원의 관리수준이 낙후되어 공원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어 시민에 대한 서비스의 질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3. 생물의 서식환경을 위한 호안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인위적인 호안 조성은 소생태계 조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현재 조성되어진 생태경우의 경우, 보다 다양한 식생을 고려한 호안이 필요시 된다고 보아진다. 수생식물 뿐만 아니라 수서곤충, 어린물고기 등의 활동장소의 기능 및 토양침식방지와 다양한 생물을 유인하기 위한 중요한 생태요소이기 때문이다. 식생의 경우 생물을 유인할 수 있고 토양 안정화 및 수질 정화에 도움이 도는 식생을 도입하여야 한다.
4. 효율적인 관찰로의 조성이 필요성이다.
생태공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요즘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로 잉용자가 많아지므로 이용자에 의한 자연훼손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우리나라에 조성되어진 관찰데크나 관찰로의 경우 보호되어야 할 공간으로의 접근도 쉽게 되어 있어 토양의 답안에 의한 토양경화와 생물의 서식환경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관찰로의 적절한 규모의 통제에 의해 보존지역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하여 생물 서식환경을 보다 안정적이도록 보호해야 한다.
5. 소생물의 유인을 위한 생태모델이 부족하다.
선진국의 경우 세밀한 생태 모델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원 냉의 돌쌓기나 초가집의 조성, 통나무의 배치로 다공질 환경의 조성으로인한 소생물의 유인을 꾀하고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현재 조성되어진 소생태계공간 안에 그 지역 내에서 번식하고 있는 우점종 및 다양한 생물의 유인을 지속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절하고 지역 합리적인 모델이 연구되어져야한다.
Ⅴ. 결론 및 제언
지금 몇십년 간 우리는 ‘환경공학’이 환경의 문제를 개선시키고, 하수처리나 소각로 등의 방법을 통해 완벽한 환경창조를 할 것이라고 생각해 왔으나, 실제로 현실에는 드러나는 새로운 문제점들의 근원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갈수록 나빠지는 생활환경과 도시환경 속에서 자연이 퇴화하고 분리와 고립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게 그 한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생태공원은 녹지가 부족한 도시에서 시민들이 손쉽게 자연과 접할 수 있는 이점과 환경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교육 장으로 많이 활용되어지고 잇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주거지역에 위치한 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공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엿다. 지금까지 사례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안을 제안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학습장의 개념은 다양한 용어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용어마다 조금씩의 차이가 있어 정확한 의미를 내포하는 있는 것은 없었다. 따라서 자연학습장을 자연학습을 실시할 수 있는 체험식 교육의 장소라고 정의한다.
둘째, 자연학습원은 설치된 지역의 자연물 및 자연환경을 보호하여서 자연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그 지역의 자연적 특성을 활용하여서 학교 또는 사회일반에 대하여 자연에 관한 연구, 관찰 및 실험의 장소로서의 구실을 수행하는 곳이며 학습원의 야외시설물로서 야외학습장 또는 교재원 등이 필요하다. 자연학습원 안에서 관찰을 주목적으로 하는 경우인 자연 관찰로의 조성에는 가능한 한 많은 생물자원 및 자연 형상의 변화를 짧은 거리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면적인 구성을 지양하고 입체적으로 조성하여야 한다.
세째, 생태교육장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생태교육프로그램과 이것을 담당할 전문가가 있어야 한다. 지역의 관심있는 민간단체나 기초자치단체가 생태교육장을 운영하도록 하고 생태교육장 관리와 운영을 돕기 위한 자원봉사자가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자원봉사제도가 정착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생태교육장을 관리하고 운영을 보조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녹색서울시민위원회(1998). 서울시민이 즐겨 찾을 수 있는 자연생태교육장
넷째, 생태공원은 도시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환경 교육의 장소로서 공원의 잠재력과 활용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에서 생태공원의 환경 교육적 활용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는데 이는 공원의 이용을 다양화 할 수 있다.
Ⅵ. 참고문헌
남상준외(1999). 환경교육의 원리와 실제. 원미사. p131
국립공원관리공단(1999).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 프로그램 및 자연해설기법 개발에 관한연구.
길동자연생태공원 조성기본계획. 1996, 서울특별시. p3
윤주옥(1999). 자원활동가에 의한 자연관찰 프로그램. 환경과공해연구회
성수진(2001). 환경해설가의 동부 영행에 따른 생태공원 탐방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8.
이상석. 친환경적 도시공원의 재생. 환경과 조경 5월
송지선(2003). 서울시 공원의 자연학습장 현황조사 및 개선방안.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8~13
이재영(1992). 자연학습원 옥외환경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주원(1989). 자연학습원의 사회교육특성과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윈 논문. p11
길동 자연생태공원 조성 예정지 자연생태계 조사 보고서 1996. 서울특별시
현중영(1993). 외국의 생태공원 사례. 환경과 조경 제 61호. pp.68~71.
김귀곤(2004). 생태도시로 전환을 위한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의 역할. 한국조경학회지.
김자경(1997). 생태학적 접근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조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98~99
홈페이지 : http://www.seoul.go.kr/envi_info/forest/create_02.html
http://parks.seoul.go.kr/kildong/intro/status_01.htm?menu=1
http://www.seocho.seoul.kr/umyeon/
http://soback.kornet.net/~greennet/open.htm
http://parks.seoul.g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7.21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4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