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도도란
전도도의 종류
전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도도 실험 방법
전도도의 종류
전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도도 실험 방법
본문내용
을 브릿지에 표시된 올바른 단자에 연결한다.
② 용기를 증류수로서 적어도 여섯 번 씻은 후에 가능하면 전도도용 물로써 두 번을 더 씻는다. (물의 시료를 계속 넣어서 측정한 저항이 정도로 100000 ohm)
③ 용기를 채우고 가변 표준 저항을 그리고 필요하면 가변 커페시터를 검출기 읽음이 감도가 가장 높은 시점에 최소가 될 때까지 조절한다.(저항은 의 값과 브릿지 비의 값의 곱으로 주어진다)
< 전도도 적정 >
>> 강산-강염기
수산화나트륨으로 염산을 적정시 수산 이온은 수소이온과 결합해 물로 될 것이다. 적정의 출발점에서 용액은 수소, 산소 이온을 함유하며 종말점에서는 나트륨, 염소 이온을 함유한다. 적정시 종말점에 가까울수록 전도도 값이 큰 수소 이온은 전도도 값이 작은 나트륨 이온으로 치환하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용액의 전도도는 감소한다. 종말점에 도달 한 후,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을 더 가하면 여분의 이온인 나트륨 이온과 수소 이온을 가한 결과가 된다. 이들 이온이 존재하면 용액의 전도도는 증가될 것이다.
>> 약산-강염기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에서 약산의 경우에는 원래의 용액은 강산만큼 이온을 많이 함유하지는 않으며 초기 전도도는 더 낮다.
>> 매우 약한산-강염기
염기를 가함에 따라 생성되는 염은 모두 이온화할 것이며 결국 적정을 한다는 것은 용액에 이온을 첨가하는 셈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용액의 전도도는 처음부터 증가하지만 종말점은 지난 후에는 더욱 급격히 계속해서 증가한다. 가수분해가 일어나 그래프에서 두 직선의 접합점에서 매끄러운 곡선을 나타낸다.
>> 산-약염기
약염기를 사용한 경우 종말점 이후는 용액 속에 존재하는 염기가 거의 이온화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염기가 과량으로 존재해도 용액의 전도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전도도는 종말점에서의 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 산의 혼합 용액
산성 용액에 염기를 가하고 우선 강산이 내놓은 수소 이온은 염기가 내놓은 양이온으로 대체될 것이다. 따라서 강산을 중화시킬 때와 마차나지로 용액의 전도도는 떨어진다. 강산이 완전히 중화되면 남은 염기는 약산을 중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이온화하지 않은 산 분자들은 생성된 염의 이온들로 바뀌게 되므로 용액의 전도도는 증가한다. 약산을 중화시키고 나서 강염기를 적정액으로 사용했다면 용액의 전도도는 급속히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염기의 양에 따른 전도도 그래프는 2개의 꺽인점을 나타낼 것이다.
② 용기를 증류수로서 적어도 여섯 번 씻은 후에 가능하면 전도도용 물로써 두 번을 더 씻는다. (물의 시료를 계속 넣어서 측정한 저항이 정도로 100000 ohm)
③ 용기를 채우고 가변 표준 저항을 그리고 필요하면 가변 커페시터를 검출기 읽음이 감도가 가장 높은 시점에 최소가 될 때까지 조절한다.(저항은 의 값과 브릿지 비의 값의 곱으로 주어진다)
< 전도도 적정 >
>> 강산-강염기
수산화나트륨으로 염산을 적정시 수산 이온은 수소이온과 결합해 물로 될 것이다. 적정의 출발점에서 용액은 수소, 산소 이온을 함유하며 종말점에서는 나트륨, 염소 이온을 함유한다. 적정시 종말점에 가까울수록 전도도 값이 큰 수소 이온은 전도도 값이 작은 나트륨 이온으로 치환하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용액의 전도도는 감소한다. 종말점에 도달 한 후,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을 더 가하면 여분의 이온인 나트륨 이온과 수소 이온을 가한 결과가 된다. 이들 이온이 존재하면 용액의 전도도는 증가될 것이다.
>> 약산-강염기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에서 약산의 경우에는 원래의 용액은 강산만큼 이온을 많이 함유하지는 않으며 초기 전도도는 더 낮다.
>> 매우 약한산-강염기
염기를 가함에 따라 생성되는 염은 모두 이온화할 것이며 결국 적정을 한다는 것은 용액에 이온을 첨가하는 셈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용액의 전도도는 처음부터 증가하지만 종말점은 지난 후에는 더욱 급격히 계속해서 증가한다. 가수분해가 일어나 그래프에서 두 직선의 접합점에서 매끄러운 곡선을 나타낸다.
>> 산-약염기
약염기를 사용한 경우 종말점 이후는 용액 속에 존재하는 염기가 거의 이온화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염기가 과량으로 존재해도 용액의 전도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전도도는 종말점에서의 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 산의 혼합 용액
산성 용액에 염기를 가하고 우선 강산이 내놓은 수소 이온은 염기가 내놓은 양이온으로 대체될 것이다. 따라서 강산을 중화시킬 때와 마차나지로 용액의 전도도는 떨어진다. 강산이 완전히 중화되면 남은 염기는 약산을 중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이온화하지 않은 산 분자들은 생성된 염의 이온들로 바뀌게 되므로 용액의 전도도는 증가한다. 약산을 중화시키고 나서 강염기를 적정액으로 사용했다면 용액의 전도도는 급속히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염기의 양에 따른 전도도 그래프는 2개의 꺽인점을 나타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