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기검사-아동의 인권침해인가?’
2. ‘일기검사 - 아동의 인권침해인가?’에 대한 기사 모음
3. 일기에 대한 생각 기사모음
4. ‘초등학생 일기검사’ 에 대해서 네티즌들의 열띤 논쟁
5. ‘일기검사 - 아동의 인권침해인가?’ 에 대한 나의 생각
6. 참고문헌
2. ‘일기검사 - 아동의 인권침해인가?’에 대한 기사 모음
3. 일기에 대한 생각 기사모음
4. ‘초등학생 일기검사’ 에 대해서 네티즌들의 열띤 논쟁
5. ‘일기검사 - 아동의 인권침해인가?’ 에 대한 나의 생각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치 않다.
네티즌 \'anrgid77\'는 \"선생님께 보이려고 쓰는 일기가 무슨 아이들 정서에 도움이 되고 바른 생활 습관이 되느냐\"고 말했고 네티즌 `hot7line\'도 \"초등학생 일기장검사는 아이들의 거짓말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꼬집었다.
초등학교 학부모라는 네티즌 `kbg3\'는 \"그동안 무심히 지나쳤지만 우리 아이도일기 쓰기를 숙제처럼 생각하지 원래 취지는 없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네티즌 `kjhassa\'는 \"일기검사의 대표적 순기능으로 작문ㆍ문법 능력향상과 아이의 생각을 알아볼 수 있다는 점을 드는데 그것이 궁금하다면 따로 독후감이나 글짓기를 하면 된다\"고 말했다.
네티즌 `kyounglok\'는 교사들에게 \"일기라는 편한 방법으로 아이들을 파악하려하지 말고 좀 더 수고스럽더라도 일기검사 말고 다른 방법으로 아이들의 마음과 생각을 읽어달라\"고 부탁했다.
5. ‘일기검사 - 아동의 인권침해인가?’ 에 대한 나의 생각
- 일기검사에 대한 나의 입장은 찬성이다.
초등학교때에 나도 일기를 쓰기 싫어했고, 방학때 숙제인 한달의 일기를 몰아서 한번에 쓴적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일기쓰는 것이 인권침해라고 만은 볼 수 없다. 일기는 나의 일상에 대해 쓰고, 반성을 하는 기회도 갖게 해준다.
선생님께서 일기에 대한 한두줄의 평가를 해주시는것에 대해 지금 생각해 보면 하나의 관심인 것 같다. 뭐 고민하는 것은 없는지 좋아하는 것이 뭔지 싫어하는 것이 뭔지 선생님과의 교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일기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기사를 보고 통합검색을 하면서 일기검사가 아동의 인권을 침해한다는 말에 대해서 전적으로 공감을 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었다.
아동의 인권이 중요시 되고 있긴 하지만 아동의 인권도 존중해주되 일기가 하나의 숙제라고생각하기 보다는 선생님과의 교화, 또는 사회복지적 입장으로 보자면 선생님이 상담자, 학생이 내담자의 관계로 일기를 통해 관계가 증진될 수도 있을것이라고 본다.
일기에 대해 인권위가 강제로 일기를 쓰게 하거나 평가 시상하는 것은 지양하되, 일기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감안해 계속 지도하라는 말을 하였다.
일기가 사생활 침해 즉 인권침해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일기를 씀으로써 문장능력도 기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자신에 대한 회고를 할 수도 있는 수단이 되었음 한다. 끝.
6. 참고문헌
한겨레 신문 (www.hani.co.kr)
한국교육신문
www.naver.com
네티즌 \'anrgid77\'는 \"선생님께 보이려고 쓰는 일기가 무슨 아이들 정서에 도움이 되고 바른 생활 습관이 되느냐\"고 말했고 네티즌 `hot7line\'도 \"초등학생 일기장검사는 아이들의 거짓말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꼬집었다.
초등학교 학부모라는 네티즌 `kbg3\'는 \"그동안 무심히 지나쳤지만 우리 아이도일기 쓰기를 숙제처럼 생각하지 원래 취지는 없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네티즌 `kjhassa\'는 \"일기검사의 대표적 순기능으로 작문ㆍ문법 능력향상과 아이의 생각을 알아볼 수 있다는 점을 드는데 그것이 궁금하다면 따로 독후감이나 글짓기를 하면 된다\"고 말했다.
네티즌 `kyounglok\'는 교사들에게 \"일기라는 편한 방법으로 아이들을 파악하려하지 말고 좀 더 수고스럽더라도 일기검사 말고 다른 방법으로 아이들의 마음과 생각을 읽어달라\"고 부탁했다.
5. ‘일기검사 - 아동의 인권침해인가?’ 에 대한 나의 생각
- 일기검사에 대한 나의 입장은 찬성이다.
초등학교때에 나도 일기를 쓰기 싫어했고, 방학때 숙제인 한달의 일기를 몰아서 한번에 쓴적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일기쓰는 것이 인권침해라고 만은 볼 수 없다. 일기는 나의 일상에 대해 쓰고, 반성을 하는 기회도 갖게 해준다.
선생님께서 일기에 대한 한두줄의 평가를 해주시는것에 대해 지금 생각해 보면 하나의 관심인 것 같다. 뭐 고민하는 것은 없는지 좋아하는 것이 뭔지 싫어하는 것이 뭔지 선생님과의 교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일기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기사를 보고 통합검색을 하면서 일기검사가 아동의 인권을 침해한다는 말에 대해서 전적으로 공감을 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었다.
아동의 인권이 중요시 되고 있긴 하지만 아동의 인권도 존중해주되 일기가 하나의 숙제라고생각하기 보다는 선생님과의 교화, 또는 사회복지적 입장으로 보자면 선생님이 상담자, 학생이 내담자의 관계로 일기를 통해 관계가 증진될 수도 있을것이라고 본다.
일기에 대해 인권위가 강제로 일기를 쓰게 하거나 평가 시상하는 것은 지양하되, 일기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감안해 계속 지도하라는 말을 하였다.
일기가 사생활 침해 즉 인권침해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일기를 씀으로써 문장능력도 기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자신에 대한 회고를 할 수도 있는 수단이 되었음 한다. 끝.
6. 참고문헌
한겨레 신문 (www.hani.co.kr)
한국교육신문
www.naver.com
추천자료
[아동복지][아동복지사업][아동문제][아동복지정책][아동복지서비스]아동복지의 개념, 아동복...
[아동복지시설][복지시설][아동복지시설 정보화]아동복지시설의 목적, 아동복지시설의 형태, ...
[아동복지][아동복지시설][아동복지정책][아동보호시설]아동복지시설의 목적, 아동복지시설의...
[아동복지시설][아동복지][복지시설][아동복지정책]복지시설의 기능, 아동복지시설의 종류, ...
[아동복지][아동복지정책][아동복지서비스][아동복지제도][아동복지체계][아동문제]아동복지...
[아동복지론_-이젠과제] 우리나라의_아동복지실현을_위해서_시급히_논의되어야_할_문제를_중...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시설의 종류 - 아동복지시설의 의의, 아동복지시설의 특징, 아동복지시...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정책 - 아동복지정책의 개념 및 관점, 아동복지정책의 유형 및 법위와 ...
[아동복지론] 아동복지행정과 관련법 - 아동복지행정의 개념 및 특성과 아동복지의 운영주체...
[아동복지론] 관련법과 전달체계 - 아동복지 관련법, 아동·청소년복지법, 미국 아동복지 전...
[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 최근동향과 아동복지 서비스 발달을 초래한 요소에 대해 서...
[아동복지론] 개별아동복지실천, 집단아동복지실천, 사례관리, 아동복지실천기술을 설명
[아동복지론 연구] 아동복지발달사 & 아동복지정책과제도 & 아동복지관련법 & 아...
[아동복지론 연구] 아동복지서비스의 대상과 분류 아동복지실천방법과 기술 [아동복지서비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