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예수는 누구인가?
1. 예수 그리스도의 의미와 위치
2.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
3.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심판
4.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구원
5. 복음서의 예수
6. 예수인격의 특징
7. 나에게 다가오는 예수의 의미
Ⅱ.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의 의미
1. 예수의 십자가 죽음 이전의 가르침
2.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
3.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
4.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의 요약
5. 십자가는 새로운 길인가 아니면 벽인가.
1. 예수 그리스도의 의미와 위치
2.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
3.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심판
4.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구원
5. 복음서의 예수
6. 예수인격의 특징
7. 나에게 다가오는 예수의 의미
Ⅱ.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의 의미
1. 예수의 십자가 죽음 이전의 가르침
2.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
3.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삶
4.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의 요약
5. 십자가는 새로운 길인가 아니면 벽인가.
본문내용
나, 그리고 나와 이웃의 관계의 정립이다. 죄인인 인간이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로 하나님과 직접 대면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인간과 인간의 관계도 예수로 인하여 완전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관계의 완성을 예수는 이 세상에 있는 동안 끊임없이 가르친 것이며, 죽음으로 실천하였고 부활로 완전하게 한 것이다.
5. 십자가는 새로운 길인가 아니면 벽인가.
이러한 죽음과 부활이 나에게 주는 것은 내가 받아들이는 방법에 따라 또 하나의 벽이 될 수도 있고 새로운 길이 될 수도 있다고 본다.
내가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을 완벽히 믿고 받아들인다면 그것은 구원일 뿐 아니라, 하나님과 나 그리고 나와 내 이웃과의 관계회복의 새로운 길이 열리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내가 예수의 존재와 가르침, 죽음과 부활을 이 강의와 책을 통해서 바로 받아들이는 것은 너무나 어렵다.
따라서 내가 받아들이기에는 한계가 있고 그것은 벽으로 다가오는 것이 현실이다. 그의 가르침은 참으로 선하다. 그리고 교육론의 기초가 되는 관계회복을 배우는 데 있어서 최고의 가르침이라고 본다. 내가 단지 이 사회와 그 구성원인 사람들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을 넘어서 신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는다는 것 자체가 흥분되는 일이다. 허나 이전의 그와의 관계에 있어 신은 나를 인정할지 모르지만 비기독교의 입장에서 나는 그를 완전히 믿기가 너무나 힘이 든다. 따라서 반쪽인 관계가 되는 것 이다.
다시 말해 관계의 회복을 위해 예수가 왔으나 내가 받아들이는 그의 존재는 인간이기 보다 신으로서 다가오기에 또 하나의 장벽이 되는 것이다. 물론 책에서 말하는 예수가 신성뿐만 아니라 인간의 모습을 가지고 있음을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책의 내용이 역사적 사실임을 넘어 지금의 나에게 다가오는 것은 무척 힘이 드는 것이다. 종교가 이러한 특수한 상황을 넘어 설 때 믿음이 되고 나에게 감동이 되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감동과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나에게 너무나 힘 든 것이 사실이며, 현재로서는 신인 하나님과 예수와의 관계는 나에게 또 다른 장벽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힘든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의 의미를 아는 것을 넘어 나에게 깨달음과 믿음으로 다가오기 까지 내가 해야 할 것이 무작정 교회를 나가는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즉, 믿음과 깨달음은 교회나 목사, 신도가 주는 것이 아닌 나에게 다가오는 새로운 무엇이 되기만을 기다린다.
5. 십자가는 새로운 길인가 아니면 벽인가.
이러한 죽음과 부활이 나에게 주는 것은 내가 받아들이는 방법에 따라 또 하나의 벽이 될 수도 있고 새로운 길이 될 수도 있다고 본다.
내가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을 완벽히 믿고 받아들인다면 그것은 구원일 뿐 아니라, 하나님과 나 그리고 나와 내 이웃과의 관계회복의 새로운 길이 열리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내가 예수의 존재와 가르침, 죽음과 부활을 이 강의와 책을 통해서 바로 받아들이는 것은 너무나 어렵다.
따라서 내가 받아들이기에는 한계가 있고 그것은 벽으로 다가오는 것이 현실이다. 그의 가르침은 참으로 선하다. 그리고 교육론의 기초가 되는 관계회복을 배우는 데 있어서 최고의 가르침이라고 본다. 내가 단지 이 사회와 그 구성원인 사람들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을 넘어서 신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는다는 것 자체가 흥분되는 일이다. 허나 이전의 그와의 관계에 있어 신은 나를 인정할지 모르지만 비기독교의 입장에서 나는 그를 완전히 믿기가 너무나 힘이 든다. 따라서 반쪽인 관계가 되는 것 이다.
다시 말해 관계의 회복을 위해 예수가 왔으나 내가 받아들이는 그의 존재는 인간이기 보다 신으로서 다가오기에 또 하나의 장벽이 되는 것이다. 물론 책에서 말하는 예수가 신성뿐만 아니라 인간의 모습을 가지고 있음을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책의 내용이 역사적 사실임을 넘어 지금의 나에게 다가오는 것은 무척 힘이 드는 것이다. 종교가 이러한 특수한 상황을 넘어 설 때 믿음이 되고 나에게 감동이 되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감동과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나에게 너무나 힘 든 것이 사실이며, 현재로서는 신인 하나님과 예수와의 관계는 나에게 또 다른 장벽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힘든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의 의미를 아는 것을 넘어 나에게 깨달음과 믿음으로 다가오기 까지 내가 해야 할 것이 무작정 교회를 나가는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즉, 믿음과 깨달음은 교회나 목사, 신도가 주는 것이 아닌 나에게 다가오는 새로운 무엇이 되기만을 기다린다.
추천자료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관계
공관복음서의 중요차이점
신약신학(복음서와 역사서 개관)
마가복음 A+ 정리분석 - 저자, 요한마가, 집필 시기와 배경, 집필동기와 목적, 문체 및 내용...
마가복음서(레온모리스-신약신학)
요한복음서 : 기독론(레온모리스-신약신학)
요한복음서 (성령론)(레온모리스-신약신학)
칼 바르트 신학의 특징, 칼 바르트 신학의 배경, 칼 바르트 신학의 인간학, 칼 바르트 신학의...
[기독교]공관복음서 해석 연구
한서(韓西)의 인격 차이에 따른 윤리의식 탐구 - 동학과 기독교사상에 투영시켜본 윤리교육의...
[성경말씀][설교말씀본문-베드로전서 1장 13-25절] 우리의 인격과 삶을 하나님이 바라시는 대...
[복음福音비평사] 합리주의 비평(RATIONALISTIC CRITICISM) - 성경의 영감성과 정확무오성에 ...
요한복음서해석_요한복음의 서론적 문제(저자, 수신자, 기록목적등)에 대해 연구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