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들의 유형에 따른 대처방법 및 유의사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비협조적인부모

2.빠른 변화를 원하는 부모

3.자기 자식에게만 신경써줌을 요구하는 부모

4.교육,비교육적 소문에 민감한 부모

5,무리한 것을 요구하는 부모

6.자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부모

7,책임을 전가하는 부모

8,지적 프로그램을 과도하게 요구하는 부모

9.무관심한 부모.

-상담시 문제상황에 따른 대처방법.
1.잘 모르는 전문적 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을 받았을떄.
2,장애아 부모상담시 주의점
3.장애아동,외국아이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부모와 상담시
4.힘든것을 울면서 상담하는 부모

-학부모상담시 반드시 시켜야 할 내용

-교사를 아랫사람 대하는 하는 부모.

본문내용

겪고 있다.
그것은 단지 운이 없어서 일어난 일일 뿐이다.
③ 장애의 원인을 찾기 보다 장애에 어떻게 대처하여야 하는가가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잊지 않는다.
3. 장애아동이나 외국인 아이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는 부모들 상담시 대화기법
① 너무 성급하게 이런 부모를 설득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② 부모가 느끼는 불안, 불만 등을 충분히 듣고 수용한다.
③ 아이에게는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이타적인 행동을 배울 수 있는 좋 은 기회가 됨을 알려준다
④ 관련 서적(예, 다르게 보는 아이들)을 읽어보도록 권한다.
4. 힘든 부분을 울면서 상담하는 부모에 대한 대처 방법
① "참 힘드시죠"라는 정도의 말로 공감을 표현한다.
② 다독거릴 필요도 없고 울음을 말릴 필요도 없다.
충분히 울게 내버려 둔다.
③ 충분히 울고 난 뒤, 상황의 어려움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보다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가능하다면 해결책을 같이 생각해 본다.
④ 부모의 힘든 상황이 아이에게 영향을 주는 부분이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가능한 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다.
- 학부모와 상담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내용-
① 다른 학부모나 다른 아이에 대한 정보나 사생활, 다른 교사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이야기 기관이나 운영에 관련해서 비밀을 지켜야 할 것, 교사 자신의 사생활
- 경험이 적은 교사를 아랫사람 대하듯 하는 부모 -
① 아무리 경험이 적고 나이가 어리다고 해도 교사는 교사다. 부모는 자식을 위해서라도 교사의 권위를 인정해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는다면 그 아이는 분명히 커서 부모를 무시하게 될 것이다.
② 교사와 부모는 서로 협조해야 하는 관계이며, 서로 존중하여야 한다. 위아래가 있을 수 없다. 만일 부모가 교사를 무시하거나 아랫사람 대하듯 한다면, 분명한 어조로 "저는 ○○를 책임진 선생님입니다. 저를 아랫사람 대하듯 행동하시니 불쾌합니다."라고 이야기한다.
③ 기관장(원장)의 행동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가 경험이 적다고는 하지만 유아교육을 전공했고 경험 많은 선생님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아이에 관해서는 부모보다 더 잘 알 수 있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스승임을 상기시켜 주어야 한다.
④ 아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평가 내용을 부모에게 자세히 설명해 준다면 교사에 대한 신뢰가 생길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29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