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장관 튜브삽관 (Gastrointestinal intubation)
2. 비위관과 장관을 통한 영양공급
3. 위루술(Gastrostomy)
4. 총 비경구 영양법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2. 비위관과 장관을 통한 영양공급
3. 위루술(Gastrostomy)
4. 총 비경구 영양법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본문내용
rition)이 있다.
1) 적응증
총 비경구 적용상황 : 입으로 음식을 먹을 수 없거나 먹어도 흡수가 안되는 경우
영양 불량이 예상되는 경우, 치료목적으로 장관이나 체장을 쉬게 하는 경우, 위장관이 거의 작용할 수 없는 경우
2) 성분 및 종류
① 포도당 : TPN용액내 dextrose 농도는 40-70% 이며 1g 당 3.4Kcal 발생한다.
수분 제한 시 농도가 높은 dextrose를 사용한다.
② 아미노산 : 대체로 40-50 %의 필수아미노산과 50-60%에 불필수 아미노산의 혼합물 로 구성되어 있다.
③ 지질 10%나 20%의 모두 거의 등장액이어서 TPN용액의 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④ 비타민과 무기질 : 최근 TNA가 사용되는데 지질이 혼합된 것으로 취급이 간편하고 시간을 절약 하고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3) 주입방법
정맥염이나 다른 혈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구멍이 큰 바늘이나 카테터를 흐름이 빠른 커다란 정맥에 삽입하여 순환계로 주입한다.
쇄골하 정맥관은 내강이 하나, 두 개, 혹은 세 개가 있다. 단기간 총 비경구 영양법을 시행하는 경우 세 개인 카테터를 권장한다. 원위부 내강은 혈액이나 다른 점성이 높은 용액을 주입할 때 사용한다. 중간 내강은 총 비경구 영양법을 위하여 보관한다. 근위부 내강은 혈액과 약물을 주입하거나 혈액을 채취할 때 사용하낟.
장기 치료를 위하여는 Hickman 카테터나 Groshong 카테터와 같은 내강이 한 개 혹은 두 개인 우심방 카테터를 사용한다.
⑴ 대상자 준비
절차 설명한다. 카테터를 삽입할 때 머리를 약간 낮게 하고 앙와위로 누워 목과 어깨 혈관을 확장시켜 쉽게 들어가게 하고 공기 색전을 예방한다.
⑵ 카테터 삽입
가장 자주 사용하는 부위는 쇄골하 정맥이다. 유치 카테터는 감염될 가능성이 많으므 로 4주마다 부위를 바꾸어야 한다.
비경구 영양액을 주입하기전 카테터 위치 확인 하고 기흉이 없는지 확인 하기 위하여 X선을 찍는다.
4) 총 비경구 영양의 중단
총 비경구 영양법은 서서히 중장하여 신체가 포도당 농도의 감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반동 저혈당증을 방지하기 위해 고장액을 주입한 후 등장액인 포도당을 몇 시간 동안 주입한다.
5) 총 비경구 영양법을 받는 대상자의 간호
⑴ 최적의 영양 상태 유지
⑵ 감염 예방
⑶ 수분 균형유지
⑷ 최적의 홀동 수준
⑸ 대상자의 교육과 가정 간호 준비
1) 적응증
총 비경구 적용상황 : 입으로 음식을 먹을 수 없거나 먹어도 흡수가 안되는 경우
영양 불량이 예상되는 경우, 치료목적으로 장관이나 체장을 쉬게 하는 경우, 위장관이 거의 작용할 수 없는 경우
2) 성분 및 종류
① 포도당 : TPN용액내 dextrose 농도는 40-70% 이며 1g 당 3.4Kcal 발생한다.
수분 제한 시 농도가 높은 dextrose를 사용한다.
② 아미노산 : 대체로 40-50 %의 필수아미노산과 50-60%에 불필수 아미노산의 혼합물 로 구성되어 있다.
③ 지질 10%나 20%의 모두 거의 등장액이어서 TPN용액의 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④ 비타민과 무기질 : 최근 TNA가 사용되는데 지질이 혼합된 것으로 취급이 간편하고 시간을 절약 하고 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3) 주입방법
정맥염이나 다른 혈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구멍이 큰 바늘이나 카테터를 흐름이 빠른 커다란 정맥에 삽입하여 순환계로 주입한다.
쇄골하 정맥관은 내강이 하나, 두 개, 혹은 세 개가 있다. 단기간 총 비경구 영양법을 시행하는 경우 세 개인 카테터를 권장한다. 원위부 내강은 혈액이나 다른 점성이 높은 용액을 주입할 때 사용한다. 중간 내강은 총 비경구 영양법을 위하여 보관한다. 근위부 내강은 혈액과 약물을 주입하거나 혈액을 채취할 때 사용하낟.
장기 치료를 위하여는 Hickman 카테터나 Groshong 카테터와 같은 내강이 한 개 혹은 두 개인 우심방 카테터를 사용한다.
⑴ 대상자 준비
절차 설명한다. 카테터를 삽입할 때 머리를 약간 낮게 하고 앙와위로 누워 목과 어깨 혈관을 확장시켜 쉽게 들어가게 하고 공기 색전을 예방한다.
⑵ 카테터 삽입
가장 자주 사용하는 부위는 쇄골하 정맥이다. 유치 카테터는 감염될 가능성이 많으므 로 4주마다 부위를 바꾸어야 한다.
비경구 영양액을 주입하기전 카테터 위치 확인 하고 기흉이 없는지 확인 하기 위하여 X선을 찍는다.
4) 총 비경구 영양의 중단
총 비경구 영양법은 서서히 중장하여 신체가 포도당 농도의 감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반동 저혈당증을 방지하기 위해 고장액을 주입한 후 등장액인 포도당을 몇 시간 동안 주입한다.
5) 총 비경구 영양법을 받는 대상자의 간호
⑴ 최적의 영양 상태 유지
⑵ 감염 예방
⑶ 수분 균형유지
⑷ 최적의 홀동 수준
⑸ 대상자의 교육과 가정 간호 준비
추천자료
간경변 및 환자간호
[아동간호학]급성위장염(AGE), 급성인후두염(APT) case study
[간호학]위절제수술의 종류와 방법
만성신부전 문헌고찰
아동건강의 결정요소에 대해 제출
성인간호학 - 영양간호
성인간호학 - 소화기계 (LES 자극요인, 식도염vs식도이완불능증)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간호학][비뇨기계 약물][약물정리]약물 부작용, 적응증, 문헌고찰
아동간호실습 급성위장염 Acute gastroenteritis 케이스스터디
[외과종양학개론] 소장폐쇄(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의 원인,진단 및 치료 - 기계적 폐...
[외과surgery종양학개론] 염증성 소장질환과 양성종량 및 악성종량의 원인과 종류 및 치료방법
영아기 피부질환(영아의 아토피성 피부염, 기저귀발진, 아구창) - 영아기 피부질환(피부장애)...
이식편대숙주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