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 1

Ⅱ 간호사정 ………………………………………………………… 3
 1. 간 호 력 ………………………………………………………… 3
 2. 신체검진 ………………………………………………………… 3
 3. 임상검사 ………………………………………………………… 4
 3. 약물요법 ………………………………………………………… 6

Ⅲ 간호과정 ………………………………………………………… 7

본문내용

하증 등
7/10 Biochemistry
Glucose
117
70~100
증가 : 당뇨, 췌장암, 갑상선기능저하증 등
4) 약물요법
약물명
용량
작용
부작용
비고
Bonaling-A
50mg
멀미, 메니에르 증후군, 구역, 구토, 어지러움 등
졸음, 두통, 수족마비, 발진, 과민증, 위통, 배뇨장애 등
진훈제
Vessel Due F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말초 동맥경화성 질환 및 혈전 색전증 치료의 보조요법
오심, 구토, 상복부통증 등
혈전증 치료제
Newbon
50IU
고혈압, 메니에르 증후군, 버거씨병, 갱년기 장애 등
발진, 가려움, 심계항진, 설사, 변비, 두통, 권태감 등
말초혈관 순환장애 개선제
Dilatrend
25mg
본태성 고혈압, 만성 안정형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등
어지러움, 두통, 피료, 어지러움, 협심증, 사지냉감, 설사, 복통, 두드러기 등
혈압
강하제
Lodien
2.5mg
고혈압, 안정형 협심증, 이형협심증 등
홍조, 피로, 부종, 현기증, 두통, 복통, 오심 등
칼슘채널길항제
Rivotril
0.5mg
간질 및 부분발작, 대발작, 유아 및 소아 간질
졸음, 어지러움, 운동실조, 두통, 불면, 주의력 저하, 반응지연 등
항전간제
Ⅲ. 간호과정
1#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간호사정
1.“또 손 저리네, 손이 자꾸 저려.”
2. 손이 차갑게 촉지됨
3. 말초부위에 약간의 부종 관찰됨
4. FBS 수치가 상승
날짜
수치
8일
116
9일
121
10일
117
5. 7/7 검사 결과 BUN/Creatinine 수치 상승Creatinine
10.2
BUN
96.4
간호목표
Glucose 수치가 감소하고 부종이 사라진다.
간호계획
1. FBS 수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2. 부종, 말초 혈액순환을 사정한다.
3. BUN/Creatinine 수치를 모니터링 한다.
4. 가능한 범위 내에서 운동을 격려한다.
5.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간호수행
1. FBS 수치를 관찰함
- 7/11 FBS : 108
2. 말초부위의 부종을 사정하고, 맥박을 촉진함
- 맥박 : 68회
3. 운동을 시행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피로하지 않은 정도로 운동을 하도록 격려함
4. 처방된 약물을 복용하는지 관찰함
평가
목표 부분 달성됨
- 부종이 약간 감소하고 저린감도 완화되었으나 Glucose 수치는 약간 상승 상태임
2# 빈혈로 인한 활동지속성 장애 위험성
간호사정
1. “어지러워 죽겠어. 좀 누워 있어야겠어.”
2. 눈을 감고 침상안정 중인 모습 관찰됨
3. 검사 결과 Hb, Hct 수치 감소함
항목
수치
Hb
10.3
Hct
31.3
RBC
3.35
간호목표
24시간 이내에 어지러움이 감소되고 활동 수준을 점차적으로 증가해야 하는 필요성을 인식한다.
간호계획
1. 활동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확인하고 최소화한다.
2. 휴식과 활동의 기간을 변화하도록 도와준다.
3. 대상자에게 좋은 영양분과 적당한 휴식에 관하여 교육한다.
4. 활동 시 대상자의 산소반응을 모니터 한다.
5.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간호수행
1. 운동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확인함
2. 어지러움이 심할 경우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함
3. 적절한 휴식을 가지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고, 좋은 영양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함
4. 처방된 약물을 복용하는 것을 관찰함
평가
목표 부분 달성됨
- 어지러움이 감소되었고, 대상자 스스로 최소한의 활동을 하는 것이 관찰됨
-참고 문헌:
1. 이향련, 최철자 외 (2010), 성인간호학, 수문사
2.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2004), 간호약리학, 메디시언
3. 김강미자, 김금자 외 (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9.21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1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