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약물의 종류, 적응증 및 부작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항정신병 약물(대정온제, 신경이완제)

2. 항우울 약물

3. 항불안 약물 및 안정 최면제

4. 항조증 약물

5. 항 파킨슨 약물

본문내용

ab.
① 효능 : 조울 정신병의 예방과 치료제. Nerve와 Muscle cell에서 Na이동을 변화시켜서 신경내 의 catecholamine의 대사를 변화시킴.
② 부작용 : 오심, 설사, 약한 수전증, 갈증, 다뇨, 피곤.
③ 관리 : 혈중 농도가 2.0mEq/ℓ를 넘지 않도록 주의.
2.0mEq/ℓ일 때 - 졸림, 구토, 무력감, 보행곤란, 구갈, 복통, 기면, 현기증, 느려진 말 ( 감량, 휴약 )
2.5mEq/ℓ이상일 때 - 고열, 핍뇨, 신부전, 저혈압, 불규칙한 맥박, 심전도의 변화, 의 식 손상, 경련, 사망
④ 간호
Lithium의 투여을 즉시 중단한다.
충분한 수분 공급으로 lithium의 체외 배출.
(lithium이 중금속 성분이므로 물보다는 다른 음료를 제공한다.)
대증 요법
갑상선에 영향을 주므로 갑상선 질환자에게 투여시 약물 상호작용이 있다.
적절한 전해질 농도의 유지에 필요한 응급 조치
⑵ Carbamazepine(Camazepine)
: 흰색. 200mg/Tab.
① 효능 : 항경련 작용 및 psychotic activity가 있음. 진성 3차신경통 및 설인신경통에도 유효함.
② 부작용 : 시야몽롱, 소양증, 발진, 담마진,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 피부에 색소침착.
③ 관리 : 투약 전에 혈약, 심장, 신장, 간기능 검사 등을 반드시 할 것.
혈액검사는 처음 3개월간은 매주 2~3년간은 매월하여 골수억제 징조시
에는 투약을 경지할 것.
초기 혈약이상(발열, 목마름, 구내 궤양, 멍이 잘 들음)이 나타나면 투약중지.
⑶ Carbamazepine CR
: 200mg/Cap.
① 효능 : 항경련 작용 및 삼차신경통, 뇌신경통, 조병, 정신분열증의 흥분 상태에 사용.
② 비교 : 1일 2회 투여 ( 혈중 농도 조절제 )
⑷ Clonazepam
: 옅은 주황색. 05mg/Tab.
① 효능 : 간질 치료제. 특히 유, 소아의 정형성 및 비정형성 소발작에 사용.
② 부작용 : 운동실조, 무기력, 복시, 지각 이상
③ 관리 : 투약중지 할 때 서서히 감량하여 중지할 것.
④ 금기 : 급성협우각 녹내장 환자, 중증 근무력증 환자
⑤ 주의 : 임산부, 수유부
⑸ Valpin
: 노란색. 200mg/TAb. ,갈색/연갈색. 250mg/Tab.
① 효능 : 중추신경내 GABA의 작용을 항진하여 항경련 작용을 한다.
소발작, 혼합 발작과 그로 인한 성격 행동 장애의 예방과 치료.
② 부작용 :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변비, 체중변화, 운동 실조, SGOTSGPT상승,야뇨.
③ 금기 : 간기능 장애 환자, 임산부.
5. 항 파킨슨 약물
1) 적응증 : 추체외로계 부작용 감소
2) 종류
⑴ Cogentine
: 연노랑. 1mg/Tab. , 흰색. 2mg/Tab.
① 효능 : 특발성 파킨슨씨병, 기타의 파킨슨씨병( 뇌염후, 동맥경화성)
항정신병약 투여로 인한 파킨슨씨병
② 부작용 :
소화기증상 - 운동 실조, 드물게 정신착란, 환각, 식별력 상실, 섬망, 신경과민,
흥분, 불안, 권태감, 억울, 손발의 지각이상, 구갈, 때론 오심, 구토, 변비.
비뇨기증상 - 배뇨장애, 요폐.
시각장애 - 시조절 장해
과민증 - 발진 과민증
③ 관리 : 투여 중 정기적으로 우각검사, 안압검사.
⑵ Artane
: 옅은 노랑색. 5mg/Tab.
① 효능 : 특발성, 기타의 파킨슨씨병, 항정신병약 투여로 인한 파킨슨씨병,
Dyskinesia, Akathisia에 부교감신경효능계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 작용 및
smooth muscle 이완작용
② 부작용 : 정신착란, 환각, 식별력 상실, 섬망, 신경과민, 흥분, 현운, 운동실조,
졸림, 두통, 권태감, 구갈, 오심, 구토, 변비, 식욕부진, 배뇨곤란, 요폐,
발진, 심계항진, 눈의 조절 장애, 장기투여로 폐쇄우각 녹내장
③ 금기 : 녹내장 환자, 중증 근무력증
④ 관리 : 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할 것.
3) 부작용 : 두통, 어지러움, 나른함, 피로, 불안, 환각, 진전, 경련, 기립성 저혈압, 광선
과민증, 피부염, 오심, 구토, 변비, 구강건조, 빈뇨
4) 간호
① 위장의 자극을 경감시키기 위해 음식과 함께 복용한다.
② 구강건조 증상의 경감을 위해 얼음 조각이나 껌을 씹는다.
③ 천식, 녹내장, 십이지장궤양이 있는 환자는 주의한다.
④ 부작용이 나타나는 대로 즉시 알리도록 환자교육을 한다.
⑤ 약을 갑자기 변경해서는 안된다.
⑥ 누워있거나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7.01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4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