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마리이야기
망치
오세암
원더풀 데이즈
한국 애니메이션의 방향
망치
오세암
원더풀 데이즈
한국 애니메이션의 방향
본문내용
의 문제점
부가산업의 미비
우리나라의 애니매이션의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중 하나는 바로 부가가치산업의 미비라고도 할수있다. 순수 영상사업만으로는 수입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시점에 캐릭터를 이용한 부가가치 사업은 홍보에도 큰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에 맞먹는 사업이 되는 문화 사업이다.
일본의 경우 대표적인 애니메이션인 <건담> 관련 모형은 수만점에 이르고, 크게 히트한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모형은 그 전에 나온 모형을 다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종류가 출시됐다고 한다. 특히 소량 생산된 '명품'의 경우는 원가보다 몇 배나 비싼 값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애니메이션 제작이 활발해짐에 따라 애니메이션 이상으로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이런 모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모형산업 규모로는 세계 3~4위를 다투고 있는 모형 강국이다. 게다가 미국, 일본, 유럽에 이어 최고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어떤 분야에서는 이들을 앞서기도 한다. 전세계에 우리 모형이 수출되지 않는 곳이 거의 없을 정도다. 우리나라 제품은 값이 그다지 비싸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기술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름이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오리지널 모델(외국에서 판권을 사오지 않은 순수 창작 모형) 대부분은 비행기나 탱크류의 스케일 모형이다. 국내에서 아직 캐릭터 모형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은 탓이다. 일본 애니메이션 <포켓몬> 관련 캐릭터 상품이 국내에서 올린 매출액은 약 800억원. 해외 캐릭터 상품은 우리 시장을 80% 이상 점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성공한 상품이 있는데 그것은 플레쉬 애니매이션에의 캐릭터인 엽기토끼 '마시마로'의 인형이었다. 짧은 귀에 쭉 찢어진 눈, 그리고 머리에 모자 대신 막힌 화장실 뚫는데 쓰는 도구를 뒤집어 쓰고 있었다. 이런 엽기적 모습의 마시마로 인형은 당시 50여만개가 훨씬 넘게 팔렸다. 엽기토끼를 제작한 한 대학생은 돈방석에 올랐다고 한다.
또한 한일합작 TV 애니매이션인 탑블레이드 역시 성공한 사례라고 할수 있다.
이렇듯 애니매이션과 더불어 부가가치 산업에대한 투자가 같이 이루어 질때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미래가 더욱 밝아질것이라 생각된다.
한국영화는 서편제를 통해 한국영화를 세계에 알렸고 쉬리라는 한국형 블러버스터를 통해 한국영화는 재미없다는 고정관념을 깨었고 친구를 통해 한국영화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올드보이, 태극기 휘날리며를 통해 아시아 영화의 자존심이 되었다. 한국 애니메이션 역시 해모수, 라젠카, 오세암, 원더풀데이즈 같은 시도가 한국영화의 제2, 제3의 쉬리가 되어줬으면 했지만 아쉽게도 크게 성공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서편제와 같이 전세계에 한국영화의 가능성을 알렸다. 언젠가는 제2의 쉬리와 같이 올드보이와 같이 한국애니메이션이 아시아의 자존심이 될 날이 올 것이다. 한국애니메이션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버리고 좀더 따뜻한 손길과 관심으로 직접 극장으로 찾아가 한국애니메이션의 잠재력과 발전에 격려의 박수를 쳐야 할 것이다. 한국애니메이션 화이팅!
부가산업의 미비
우리나라의 애니매이션의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중 하나는 바로 부가가치산업의 미비라고도 할수있다. 순수 영상사업만으로는 수입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시점에 캐릭터를 이용한 부가가치 사업은 홍보에도 큰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에 맞먹는 사업이 되는 문화 사업이다.
일본의 경우 대표적인 애니메이션인 <건담> 관련 모형은 수만점에 이르고, 크게 히트한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모형은 그 전에 나온 모형을 다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종류가 출시됐다고 한다. 특히 소량 생산된 '명품'의 경우는 원가보다 몇 배나 비싼 값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애니메이션 제작이 활발해짐에 따라 애니메이션 이상으로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이런 모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모형산업 규모로는 세계 3~4위를 다투고 있는 모형 강국이다. 게다가 미국, 일본, 유럽에 이어 최고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어떤 분야에서는 이들을 앞서기도 한다. 전세계에 우리 모형이 수출되지 않는 곳이 거의 없을 정도다. 우리나라 제품은 값이 그다지 비싸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기술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름이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오리지널 모델(외국에서 판권을 사오지 않은 순수 창작 모형) 대부분은 비행기나 탱크류의 스케일 모형이다. 국내에서 아직 캐릭터 모형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은 탓이다. 일본 애니메이션 <포켓몬> 관련 캐릭터 상품이 국내에서 올린 매출액은 약 800억원. 해외 캐릭터 상품은 우리 시장을 80% 이상 점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성공한 상품이 있는데 그것은 플레쉬 애니매이션에의 캐릭터인 엽기토끼 '마시마로'의 인형이었다. 짧은 귀에 쭉 찢어진 눈, 그리고 머리에 모자 대신 막힌 화장실 뚫는데 쓰는 도구를 뒤집어 쓰고 있었다. 이런 엽기적 모습의 마시마로 인형은 당시 50여만개가 훨씬 넘게 팔렸다. 엽기토끼를 제작한 한 대학생은 돈방석에 올랐다고 한다.
또한 한일합작 TV 애니매이션인 탑블레이드 역시 성공한 사례라고 할수 있다.
이렇듯 애니매이션과 더불어 부가가치 산업에대한 투자가 같이 이루어 질때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미래가 더욱 밝아질것이라 생각된다.
한국영화는 서편제를 통해 한국영화를 세계에 알렸고 쉬리라는 한국형 블러버스터를 통해 한국영화는 재미없다는 고정관념을 깨었고 친구를 통해 한국영화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올드보이, 태극기 휘날리며를 통해 아시아 영화의 자존심이 되었다. 한국 애니메이션 역시 해모수, 라젠카, 오세암, 원더풀데이즈 같은 시도가 한국영화의 제2, 제3의 쉬리가 되어줬으면 했지만 아쉽게도 크게 성공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서편제와 같이 전세계에 한국영화의 가능성을 알렸다. 언젠가는 제2의 쉬리와 같이 올드보이와 같이 한국애니메이션이 아시아의 자존심이 될 날이 올 것이다. 한국애니메이션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버리고 좀더 따뜻한 손길과 관심으로 직접 극장으로 찾아가 한국애니메이션의 잠재력과 발전에 격려의 박수를 쳐야 할 것이다. 한국애니메이션 화이팅!
추천자료
신산업관점에서 한국의 온라인게임 발전전략
애니메이션 원더플데이즈를 보고
신화, 설화를 모티브로 하는 한국의 영화 현실은?
[PPT]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호학적 방법론 - 택견의 디지털화
[일본문화]한국과 일본의 테마파크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일본 애니메이션 영향과 한국 애니메이션에 대해-조사
산업공동화 정의와 개념, 물류산업 산업공동화 사례, 신발산업 산업공동화 사례, 화학섬유산...
[문화산업]문화산업의 현황 통계, 문화산업의 영화산업 통계, 문화산업의 애니메이션산업 통...
[공동제작][공동제작사례][애니메이션][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 공동제작 사례, 영화 공동제...
한국 eu fta2
애니메이션, 읽어야 즐겁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