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트랜스젠더의 정의
Ⅲ. 영상매체를 통하여 본 트랜스젠더
1. 성적 소수자로서의 트랜스젠더
1) 작품 소개 및 선정 이유
2) 작품에서 나타난 트랜스젠더
2. 인격체로서의 트랜스젠더
1) 작품 소개 및 선정 이유
2) 작품에서 나타난 트랜스젠더
3. 영상매체에서 나타난 시대적 변화 양상
Ⅳ. 트랜스젠더에 대한 바람직한 변화 방향
1. 인식의 변화
2. 법적 지위 상승
Ⅴ. 결론
※ 참고 문헌
Ⅱ. 트랜스젠더의 정의
Ⅲ. 영상매체를 통하여 본 트랜스젠더
1. 성적 소수자로서의 트랜스젠더
1) 작품 소개 및 선정 이유
2) 작품에서 나타난 트랜스젠더
2. 인격체로서의 트랜스젠더
1) 작품 소개 및 선정 이유
2) 작품에서 나타난 트랜스젠더
3. 영상매체에서 나타난 시대적 변화 양상
Ⅳ. 트랜스젠더에 대한 바람직한 변화 방향
1. 인식의 변화
2. 법적 지위 상승
Ⅴ. 결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 사회의 성 문화는 전통적인 유교 문화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인간의 성을 억압하는 유교적 전통은 과거 유교적 정절 이데올로기를 여성들에게 내면화하도록 강제하던 것에서 비롯하였다. 여성의 정절을 위해 남성과 여성을 ‘내외법’ 이라고 하여 엄격히 분리한 후 여성을 가정 내의 역할에 한정하여 남성들로부터 격리시켜, 궁극적으로 여성이 정절을 지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듯 전통적인 유교 문화는 뿌리 깊은 가부장 제도를 통하여 남녀의 성 정체성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즉, 남녀의 성 정체성을 유교적 고정관념을 통한 사회적, 관습적, 제도로 미리 정해 놓고, 이 범주를 벗어나는 행위에 대해서는 억압을 하였으며, 사회에서도 인정해 주지 않았던 것이다.
폐쇄된 관습과 도덕적 차별이 가세하며 금기의 범주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성 전환에 대한 인식은 자유로운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부분적으로나마 개방화 되었다. 2001년 3월, 한 화장품 회사가 트랜스젠더 ‘하리수 ’를 자사의 TV 광고모델로 기용해 큰 이슈거리를 만든 것이 그 시작이다. 영상매체를 통한 트랜스젠더들의 등장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나아가 대중들에게 성적 소수자들의 인권을 이해하는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위의 사례처럼 영상매체가 우리의 일상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크게 증가했다. 다양한 영상매체를 통하여 현실은 재현이 되고, 이러한 재현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시각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영상매체는 다른 매체들보다 훨씬 높은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만큼 사람들의 인지도가 높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영상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영상매체 속에서 나타난 트랜스젠더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함과 더불어 ‘그들은 어떠한 대우를 받아야 하는 가’,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접근하고자 한다. 영상매체의 선정은 트랜스젠더 ‘하리수’ 의 등장으로 우리 사회에 성적 소수자들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던 시점(2001년 3월)을 시작으로 대조되는 두 작품을 선정할 것이다.
Ⅱ. 트랜스젠더의 정의
트랜스젠더란 Trans + gender 의 합성어로 성역할이 바뀐 사람들을 말한다. 즉, 남성 또는 여성의 신체를 가지고 태어났지만 자신이 반대 성의 사람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트랜스젠더라는 말은 트랜스섹슈얼(transsexual)이라는 말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랜스섹슈얼의 사전적 의미는 ‘성전환자’ 라는 말로 수술이나 기타 다른 치료를 통해 자신의 성이 아닌 다른 성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말이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gender’ 라는 용어의 의미는 정신적, 사회적인 성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술 여부와는 상관이 없다. 따라서 수술여부를 분명히 하려 한다면 트랜스섹슈얼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다.
우리 사회의 성 문화는 전통적인 유교 문화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인간의 성을 억압하는 유교적 전통은 과거 유교적 정절 이데올로기를 여성들에게 내면화하도록 강제하던 것에서 비롯하였다. 여성의 정절을 위해 남성과 여성을 ‘내외법’ 이라고 하여 엄격히 분리한 후 여성을 가정 내의 역할에 한정하여 남성들로부터 격리시켜, 궁극적으로 여성이 정절을 지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듯 전통적인 유교 문화는 뿌리 깊은 가부장 제도를 통하여 남녀의 성 정체성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즉, 남녀의 성 정체성을 유교적 고정관념을 통한 사회적, 관습적, 제도로 미리 정해 놓고, 이 범주를 벗어나는 행위에 대해서는 억압을 하였으며, 사회에서도 인정해 주지 않았던 것이다.
폐쇄된 관습과 도덕적 차별이 가세하며 금기의 범주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성 전환에 대한 인식은 자유로운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부분적으로나마 개방화 되었다. 2001년 3월, 한 화장품 회사가 트랜스젠더 ‘하리수 ’를 자사의 TV 광고모델로 기용해 큰 이슈거리를 만든 것이 그 시작이다. 영상매체를 통한 트랜스젠더들의 등장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나아가 대중들에게 성적 소수자들의 인권을 이해하는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위의 사례처럼 영상매체가 우리의 일상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크게 증가했다. 다양한 영상매체를 통하여 현실은 재현이 되고, 이러한 재현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시각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영상매체는 다른 매체들보다 훨씬 높은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만큼 사람들의 인지도가 높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영상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영상매체 속에서 나타난 트랜스젠더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함과 더불어 ‘그들은 어떠한 대우를 받아야 하는 가’,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접근하고자 한다. 영상매체의 선정은 트랜스젠더 ‘하리수’ 의 등장으로 우리 사회에 성적 소수자들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던 시점(2001년 3월)을 시작으로 대조되는 두 작품을 선정할 것이다.
Ⅱ. 트랜스젠더의 정의
트랜스젠더란 Trans + gender 의 합성어로 성역할이 바뀐 사람들을 말한다. 즉, 남성 또는 여성의 신체를 가지고 태어났지만 자신이 반대 성의 사람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트랜스젠더라는 말은 트랜스섹슈얼(transsexual)이라는 말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트랜스섹슈얼의 사전적 의미는 ‘성전환자’ 라는 말로 수술이나 기타 다른 치료를 통해 자신의 성이 아닌 다른 성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말이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gender’ 라는 용어의 의미는 정신적, 사회적인 성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술 여부와는 상관이 없다. 따라서 수술여부를 분명히 하려 한다면 트랜스섹슈얼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