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본론
1) 바바라 크루거의 작품 활동에 대한 전반적 설명
2) 바바라 크루거의 작품이 사회에 전하는 메시지
Ⅲ. 결론
Ⅱ. 본론
1) 바바라 크루거의 작품 활동에 대한 전반적 설명
2) 바바라 크루거의 작품이 사회에 전하는 메시지
Ⅲ. 결론
본문내용
사회 현실이 여성을 얼마나 억압하고 있는지를 일반인이 생각해내기 힘든 기발하고 독특한 이미지를 통해 적절히 드러내고 있다. 당대의 사회와 사회가 변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했던 작가의 의도가 모두 드러나는, 사회와 관계를 맺고 있는 예술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Ⅲ. 결론
바바라 크루거가 주로 활동하던 시대로부터 얼마간의 시간이 흘렀다. 서양에서 뿐만이 아니라 동양에서도 그 당시보다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처우가 많이 개선되었다고 생각한다. 페미니즘 운동이 비단 예술 분야에서만 전개된 것은 아니지만 예술 분야로 논의를 좁혀본다면, 바바라 크루거를 비롯한 신디 셔먼이나 셰리 레빈과 같은 페미니즘 예술가들의 활동이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받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내리고 싶다. 모순 된 사회 현실을 바로 잡고자 하는 메시지를 예술을 통해 드러냈던 바바라 크루거. 그리고 그녀의 작품들. 그녀의 작품들이 단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만 이용되었는가 하는 물음에 대해서 적어도 나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하고 싶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시도를 통해 바바라 크루거가 이루어 낸 예술적 성과를 생각해본다면 예술적으로도 충분히 높이 평가할 만 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예술의 기능 중에는 대중을 계몽하고 사회를 올바른 방향으로 계도하는 기능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바바라 크루거는 예술성과 사회 계도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예술가라고 감히 주장하고 싶다.
글의 첫머리에서 밝혔듯이 바바라 크루거라는 작가와 그녀의 작품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보고서의 제재를 바바라 크루거로 택했다. 그러나 보고서를 마무리하려는 지금, 세 가지의 큰 아쉬움이 남는데 첫째는 제재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데서 오는 아쉬움이고 둘째는 바바라 크루거의 작품 활동을 지나치게 페미니즘과 결부시켜 해석하려 했던데서 느껴지는 아쉬움이며 셋째는 바바라 크루거와 그녀의 작품은 이미 수업 시간에 다루었던 것이라는 데서 오는 아쉬움이다. 우리가 수업 시간에 접해보지 못한 작가나 작품을 예로 들어 예술이 사회에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살펴보았더라면 좀 더 신선한 보고서가 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완전히 떨쳐버릴 수는 없지만, 대학을 입학 하던 해 처음으로 관심을 가지게 된 예술가와 그 작가의 작품에 대해 미약하나마 몇 가지 사실들을 알게 되었고, 작품들을 감상하고 나름대로 그 의미를 찾아보려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스스로를 위로하면서 보고서를 마치고자 한다.
※ 참고 문헌
1. 인터넷 참고자료
http://www.kimhonghee.com/bbs/zboard.php?id=lecture_artist&no=27
2. 사진자료
http://blog.naver.com/lastpartner/60006199244
http://blog.naver.com/lastpartner/60006199251
http://photo4love.com/sp/sajinsa/Kruger/Kruger.htm
Ⅲ. 결론
바바라 크루거가 주로 활동하던 시대로부터 얼마간의 시간이 흘렀다. 서양에서 뿐만이 아니라 동양에서도 그 당시보다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처우가 많이 개선되었다고 생각한다. 페미니즘 운동이 비단 예술 분야에서만 전개된 것은 아니지만 예술 분야로 논의를 좁혀본다면, 바바라 크루거를 비롯한 신디 셔먼이나 셰리 레빈과 같은 페미니즘 예술가들의 활동이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받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내리고 싶다. 모순 된 사회 현실을 바로 잡고자 하는 메시지를 예술을 통해 드러냈던 바바라 크루거. 그리고 그녀의 작품들. 그녀의 작품들이 단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만 이용되었는가 하는 물음에 대해서 적어도 나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하고 싶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시도를 통해 바바라 크루거가 이루어 낸 예술적 성과를 생각해본다면 예술적으로도 충분히 높이 평가할 만 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예술의 기능 중에는 대중을 계몽하고 사회를 올바른 방향으로 계도하는 기능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바바라 크루거는 예술성과 사회 계도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예술가라고 감히 주장하고 싶다.
글의 첫머리에서 밝혔듯이 바바라 크루거라는 작가와 그녀의 작품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보고서의 제재를 바바라 크루거로 택했다. 그러나 보고서를 마무리하려는 지금, 세 가지의 큰 아쉬움이 남는데 첫째는 제재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데서 오는 아쉬움이고 둘째는 바바라 크루거의 작품 활동을 지나치게 페미니즘과 결부시켜 해석하려 했던데서 느껴지는 아쉬움이며 셋째는 바바라 크루거와 그녀의 작품은 이미 수업 시간에 다루었던 것이라는 데서 오는 아쉬움이다. 우리가 수업 시간에 접해보지 못한 작가나 작품을 예로 들어 예술이 사회에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살펴보았더라면 좀 더 신선한 보고서가 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완전히 떨쳐버릴 수는 없지만, 대학을 입학 하던 해 처음으로 관심을 가지게 된 예술가와 그 작가의 작품에 대해 미약하나마 몇 가지 사실들을 알게 되었고, 작품들을 감상하고 나름대로 그 의미를 찾아보려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스스로를 위로하면서 보고서를 마치고자 한다.
※ 참고 문헌
1. 인터넷 참고자료
http://www.kimhonghee.com/bbs/zboard.php?id=lecture_artist&no=27
2. 사진자료
http://blog.naver.com/lastpartner/60006199244
http://blog.naver.com/lastpartner/60006199251
http://photo4love.com/sp/sajinsa/Kruger/Kruger.htm
추천자료
흑설공주이야기(바바라 G 워커) 감상문여..
예술과 외설, 그 모호한 경계
예술과 상업 영화
예술과 철학의 분석
예술과 외설의 차이
예술과 예술작품
예술과 도덕적 이념. 그 불가분의 관계에 관하여.
예술과 인간의 관계
예술과 도덕과의 관계
[문화예술][문화예술진흥법][문화예술단체]문화예술의 개념,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진흥법, 문...
[예술의 의의][예술의 기능][예술과 예술의욕][예술과 외설][예술에 대한 이론][예술에 대한 ...
[예술][예술의 상대성과 절대성][예술과 미][예술과 도덕][철학][과학]예술의 정의, 예술의 ...
예술과 외설 누드와 포르노그라피
예술과 외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