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신체화 장애

Ⅱ. 전환장애

Ⅲ. 통증장애

Ⅳ. 건강염려증

Ⅴ. 신체추형장애

Ⅵ. 미분화형 신체형 장애

Ⅶ. 기 타

본문내용

성형외과 등을 찾기 때문에 연구된 바가 적다. 그러나 상당수 사람이 병적은 아니지만 자신의 용모 중 어디엔가 문제가 있다는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15~20세 사이의 사춘기에 많다. 여자에 약간 많으며, 미혼에 많다. 다른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이 많은데 우울증이 가장 많고 다음 불안장애, 정신병적 장애 등이 많다.
3. 원 인
대체로 미상이다. 다른 정신질환(정신분열병, 기분장애, 인격장애) 때문일 수도 있다. 대체로 특정 신체부위에 무의식적으로 큰 의미를 주는 것은 어린 시절의 정신성적 발달 때의 특수한 경험 때문이다. 특히 성적 내지 감정적 갈등이, 관련이 없는 신체부위로 대치되어 나타나는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4. 임상양상
대부분의 주 호소는 얼굴의 용모(주름살, 부기, 피부의 반점, 안면의 과도한 털), 코, 피부, 눈, 입, 턱 또는 이마의 모양, 머리와 안면(크기, 형태), 입술, 엉덩이 등 신체부위의 모양에 문제나 결함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반복해서 거울을 보거나 그 결함을 숨기려고 하며, 남들이 놀릴까봐 밖에 나가지 않으려 하고 심지어 자살을 시도하기까지 한다. 이차적 우울, 불면, 불안이 있을 수 있으며 합병증으로 불필요한 수술을 받을 수 있다. 강박성, 분열성 내지 자기애적 인격장애가 흔히 동반된다.
5. 진 단
DSM-Ⅳ 진단기준 <신체추형장애>
6. 경과 및 예후
경과는 서서히 경감과 악화가 번갈아 가며 만성으로 진행된다. 의사에게 오기 전에 몇 년간 혼자 고민하는 수가 많다.
7. 치 료
대개 직접 정신과적 치료받기를 거부한다. 다른 정신질환이 있다면 그것부터 치료한다. 성형수술을 요구하는 환자에 대해서는 신중히 평가해야 한다. Pimozide와 항우울제들이 효과 있다는 보고가 있다. 최근 serotonin 재흡수차단제(SSRI)가 효과적이라 한다.
Ⅵ. 미분화형 신체형 장애
신체형 장애의 진단기준에 맞지 않는 신체형 증상이 있을 때 이 장애로 진단된다.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으로 연하곤란, 식욕상실, 애매한 위장계 증상, 배뇨장애 등 자율신경계 증상을 위주로 하는 형태와 피곤과 무력감을 위주로 하는 형태가 있다. 후자는 신경쇠약으로 불리기도 하며, 만성피로증후군과 겹치기도 한다.
DSM-Ⅳ 진단기준 미분화형 신체형 장애
Ⅶ. 기 타
특별히 다른 진단에 속하지 않는 신체형 장애는 신체형 장애의 증상을 가진 상태에서 다른 신체형 장애나 신체적 호소를 수반한 적응장애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다른 장애에 포함하지 않는 증상이 있었거나 6개월이라는 기준에 맞지 않을 때이다.
▶신체형 자율신경계 장애
ICD-10에서는 신체형 자율신경계 기능장애라는 병명을 추가로 두고 있다. 이는 신체화 증상이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기관이나 기관계에서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대개 자율신경계 항진증상들(심계항진, 진땀, 진전)이 있다. 흔히 심장신경증, 호흡기계 장애. 위장신경증, 과민성 설사, 심인성 공기연하증, 딸국질, 과민성 대장증후군, 심인성 과호흡, 심인성 배뇨장애 등등이 여기에 속한다.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7.04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