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그것이 어려우면 두 가지 중 하나는 받아야 한다. 만일 목회자가 예수님의 소자는 안중에도 없고 최고 최대만 찾아 광분하다가 보면 교인들의 사랑도 존경도 모두 잃는 잔골이 되게 마련인 것이다.
창조적 목회를 위한 목회자의 과제
1. 목회갱신
개혁교회는 "교회의 부단한 갱신"을 표어로 하며, 이는 목회자의 목회갱신 이 선행됨으로서만 가능한 것이다. 목회갱신의 표준이 그리스도의 목회임은
물론이다.
2. 교회성장의 궤도수정
교회는 부단히 성장해야 한다. 그러나 교회성장의 개념이 막연하면 성장이 아니라 난립을 초래하며 이것은 결국 교회의 후퇴인 것이다. 미국 교회성장 연구원이 말하는 교회성장은 (1)내적(질적)성장 (그리스도의 제자화) (2)외적성장(양적증가) (3) 확대성장(교회개척) (4) 가교적 성장(이 문화권선교)을 포괄한다. 한국교회 목회자의 시급한 과제는 교회성장의 개념정립과 교회성장의 궤도를 수정하는 일이다.
3. 교회일치
여기서 말하는 교회일치는 교파를 통폐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교파간의 이해 증진과 대외적인 행동통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한국 개신교의 생존을 위해서 불가피한 과제이며 목회자의 의식개혁이 선행될 때에만 가능할 것이다.
창조적 목회를 위한 목회자의 과제
1. 목회갱신
개혁교회는 "교회의 부단한 갱신"을 표어로 하며, 이는 목회자의 목회갱신 이 선행됨으로서만 가능한 것이다. 목회갱신의 표준이 그리스도의 목회임은
물론이다.
2. 교회성장의 궤도수정
교회는 부단히 성장해야 한다. 그러나 교회성장의 개념이 막연하면 성장이 아니라 난립을 초래하며 이것은 결국 교회의 후퇴인 것이다. 미국 교회성장 연구원이 말하는 교회성장은 (1)내적(질적)성장 (그리스도의 제자화) (2)외적성장(양적증가) (3) 확대성장(교회개척) (4) 가교적 성장(이 문화권선교)을 포괄한다. 한국교회 목회자의 시급한 과제는 교회성장의 개념정립과 교회성장의 궤도를 수정하는 일이다.
3. 교회일치
여기서 말하는 교회일치는 교파를 통폐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교파간의 이해 증진과 대외적인 행동통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한국 개신교의 생존을 위해서 불가피한 과제이며 목회자의 의식개혁이 선행될 때에만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