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서 결국 여성에게 요구되는 것은 아름다운 외모와 남편을 내조하며 순종하는 자세인 것 같았다. 또 박씨의 뛰어난 활약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영웅이 되지 못하고, 남편 이시백이 임금님께 치하를 받고 영웅화되는 것은 결국 남성의 그림자같은 조선시대 여성으로 박씨가 되돌아가는 느낌이 들었다. 박씨는 영웅이지만 남편을 영웅으로 출세하게 도와주는 내조자였던 것이다. 어떻게 보면 그런 순종적인 모습이 우리 할머니와 어머니에게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것 같다. 그래서 나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영웅 소설이라 할 수도 있는 이 《박씨전》을 ‘양성평등의 첫걸음으로 나아가는 우리 소설’이라고 이름 지어 보았다. 여러 한계를 지녔다 할지라도 박씨전은 그 당시 우리나라의 억압받던 여성들이 자아에 눈을 뜬 계기가 된 책이 아닐까?
추천자료
공무원양성평등제
양성평등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과 이유
양성평등
양성평등 시대의 인재 경영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여성복지 정책
[페미니즘][여성운동][여성해방운동][양성평등]페미니즘의 여러 관점과 이론(페미니즘에서 본...
남성도 페미니스트가 될수 있는가 (양성평등)
[여성노동시장][노동시장][여성차별][남녀차별][남녀평등][양성평등]여성노동시장의 현황과 ...
성차별과 양성평등
교원(교사) 전문성, 교원(교사) 권리, 교원(교사) 증원정책, 교원(교사)과 여성교원, 교원(교...
양성평등과 부부관계
[세상읽기와 논술 B형] 아래 “양성평등 문제”와 관련된 주제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주제...
[세상읽기와 논술 B형] 아래 “양성평등 문제”와 관련된 주제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주제...
[세상읽기와 논술 B형] 아래 “양성평등 문제”와 관련된 주제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