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존동사의 문법적 지위
2. 의존동사 구문의 성격
2. 의존동사 구문의 성격
본문내용
갖춘 내포문을 안은 의존동사 구문은 인용 구문의 내포라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형식은 내포문 어미 '-고'가 관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타난다. 이러한 의존동사 구문이 문장 안에서 실현하는 문법 기능은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12) 가. '나는 철수가 학교에 가도록 했다.' 의 의존동사 구문 : '-도록 하-'는 사동법의 문법범주를 통사적으로 실현시키고 있다. 현대국어 사동법의 문법범주를 실현시키는 방법은 어휘적인 방법, 형태적인 방법 등도 있지만 통사적으로는 이와 같은 의존동사 구문에 의해 실현시키는 것이다.
나. '철수는 벌써 학교에 가 버렸어.' 의 의존동사 구문 : '-어 버리-'는 내포문 동사에 대해 종결이라는 양태를 실현시키고 있다.
다. '나는 학교에 가고 싶다.' 의 의존동사 구문 : '-고 싶-'은 내포문 동사에 대해 희망이라는 양태를 실현시킨다.
이 밖에도 더 있지만 여기서 다 언급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것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3) 의존동사 구문의 성격
형 식
기 능
가. 명사구를 앞세우는 경우
환언
나. 동사구 내포문을 안은 경우
ㄱ. 못 갖춘 내포문
양태
시제-시상
사동
피동
부정
ㄴ. 갖춘 내포문
인용
(12) 가. '나는 철수가 학교에 가도록 했다.' 의 의존동사 구문 : '-도록 하-'는 사동법의 문법범주를 통사적으로 실현시키고 있다. 현대국어 사동법의 문법범주를 실현시키는 방법은 어휘적인 방법, 형태적인 방법 등도 있지만 통사적으로는 이와 같은 의존동사 구문에 의해 실현시키는 것이다.
나. '철수는 벌써 학교에 가 버렸어.' 의 의존동사 구문 : '-어 버리-'는 내포문 동사에 대해 종결이라는 양태를 실현시키고 있다.
다. '나는 학교에 가고 싶다.' 의 의존동사 구문 : '-고 싶-'은 내포문 동사에 대해 희망이라는 양태를 실현시킨다.
이 밖에도 더 있지만 여기서 다 언급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것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3) 의존동사 구문의 성격
형 식
기 능
가. 명사구를 앞세우는 경우
환언
나. 동사구 내포문을 안은 경우
ㄱ. 못 갖춘 내포문
양태
시제-시상
사동
피동
부정
ㄴ. 갖춘 내포문
인용
추천자료
중세국어문법(조사)
[국어 임용고시]문법 - 동사와 부사 정리
[주어][국어][문장성분][국어 문장성분][예기 구자][구동사구문]국어 문장성분 주어의 기준, ...
국어문법교육(국어문법지도)의 역사와 필요성, 국어문법교육(국어문법지도)의 지위, 국어문법...
문법(국어문법)의 성격과 문법화, 문법(국어문법)과 학교문법, 표준문법, 유길준 문법연구, ...
[동사][품사][국어][힌디어][독일어][중국어][일본어]국어 품사 동사의 정의, 국어 품사 동사...
[동사][품사][국어][프랑스어][불어][영어]국어 품사 동사의 유형, 국어 품사 동사의 기준, ...
[동사][국어 품사][보조동사][합성동사][영어 품사][조동사]국어 품사 동사의 특징, 국어 품...
[국어][사잇소리현상][문법][사잇소리현상 표기][사잇소리현상 문법범주]국어의 특질, 국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