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건설되었기 때문에 조선 내의 산업·공업과의 관련이 없으며, ②공장건설의 목적은 조선시장이 아니고 만주국·중국 등으로의 시장 진출이며, ③공장은 일본 대기업의 분공장(분공장)의 형태로 건설되었다는 점을 강조. 즉 일본자본에 의해 건설된 공장은 조선 내에 산업적 관련이 없는 비지와 같은 존재.
⑵ 이중경제론
①식민지기에 급속한 공업화에 의해 높은 경제성장이 이루어졌으나, ②그 공업화는 식민지권력과 일본의 자금·기술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군수에 직결된 생산수단부문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③소비물자를 공급하는 가내·영세공업 등의 전통적 부문이나 대다수의 주민은 근대적 부문과는 무관하게 존재. 즉 근대부문과 전통부문이 연쇄적 고리를 결한 채 이중적 구조로 존재.
< 객관적 평가 >
①식민지기 공업화의 주체는 압도적으로 일본자본. 조선인 회사자본은 겨우 10% 정도에 불과. 일본인회사와 대공장은 그 시장관련에서 조선보다 일본이나 만주를 더 중시. 압도적 다수의 조선인 공장은 종업원 50인 미만의 영세한 규모였고, 그 중에는 질적으로 가내공업과 구분하기 힘든 것도 상당수.
②그러나 일본인이 주도한 공업화과정이라고 하더라도 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자신의 경제적 지위를 상승시켰던 다수 조선인자본가 계층(B급·C급 조선인공장)과 노동의 정착도와 숙련도를 향상시켜 나갔던 조선인노동자계급의 존재에도 주목할 필요. 식민지공업화는 조선내 산업부문 간의 분업관련을 심화. 이렇게 창출된 시장경제에 많은 조선인자본가들이 능동적으로 진입(진입). 초기엔 정미업·양조업 등과 같은 식료품공업이 중심을 이루었지만, 30년대 이후 방직·화학공업 부문 등으로 활동무대가 넓어짐.
③그러나 조선인공업의 발전은 보다 근본적으로 1945년 이전의 자본주의 세계체제에서 제국주의 본국과 식민지와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공업과 농업의 분업관계이었다는 제약조건에 규정. 그러한 면에서 식민지공업화의 과정에는 팽대한 농촌과잉인구를 도시 공업부문으로 대량 흡수함으로써 이중구조를 해소해갈 전망이 결여. 그러한 전망은 1960년대 이후의 새로운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국제분업관계 속에서 비로소 주어짐.
참고문헌
강만길 《고쳐쓴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1994.
《한국사13》,『식민시기의 사회경제』한길사. 1994.
김인호 《식민지조선경제의 종말》신서원. 2000.
인터넷 http://education.sangji.ac.kr/~sgcho/lec/korhis-7.htm
⑵ 이중경제론
①식민지기에 급속한 공업화에 의해 높은 경제성장이 이루어졌으나, ②그 공업화는 식민지권력과 일본의 자금·기술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군수에 직결된 생산수단부문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③소비물자를 공급하는 가내·영세공업 등의 전통적 부문이나 대다수의 주민은 근대적 부문과는 무관하게 존재. 즉 근대부문과 전통부문이 연쇄적 고리를 결한 채 이중적 구조로 존재.
< 객관적 평가 >
①식민지기 공업화의 주체는 압도적으로 일본자본. 조선인 회사자본은 겨우 10% 정도에 불과. 일본인회사와 대공장은 그 시장관련에서 조선보다 일본이나 만주를 더 중시. 압도적 다수의 조선인 공장은 종업원 50인 미만의 영세한 규모였고, 그 중에는 질적으로 가내공업과 구분하기 힘든 것도 상당수.
②그러나 일본인이 주도한 공업화과정이라고 하더라도 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자신의 경제적 지위를 상승시켰던 다수 조선인자본가 계층(B급·C급 조선인공장)과 노동의 정착도와 숙련도를 향상시켜 나갔던 조선인노동자계급의 존재에도 주목할 필요. 식민지공업화는 조선내 산업부문 간의 분업관련을 심화. 이렇게 창출된 시장경제에 많은 조선인자본가들이 능동적으로 진입(진입). 초기엔 정미업·양조업 등과 같은 식료품공업이 중심을 이루었지만, 30년대 이후 방직·화학공업 부문 등으로 활동무대가 넓어짐.
③그러나 조선인공업의 발전은 보다 근본적으로 1945년 이전의 자본주의 세계체제에서 제국주의 본국과 식민지와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공업과 농업의 분업관계이었다는 제약조건에 규정. 그러한 면에서 식민지공업화의 과정에는 팽대한 농촌과잉인구를 도시 공업부문으로 대량 흡수함으로써 이중구조를 해소해갈 전망이 결여. 그러한 전망은 1960년대 이후의 새로운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국제분업관계 속에서 비로소 주어짐.
참고문헌
강만길 《고쳐쓴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1994.
《한국사13》,『식민시기의 사회경제』한길사. 1994.
김인호 《식민지조선경제의 종말》신서원. 2000.
인터넷 http://education.sangji.ac.kr/~sgcho/lec/korhis-7.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