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SM-Ⅳ 자폐성 장애의 진단 기준
2. 자폐의 임상적 특징
3. 어느 자폐인 이야기
4. 감각통합치료
2. 자폐의 임상적 특징
3. 어느 자폐인 이야기
4. 감각통합치료
본문내용
수 있는 상황을 준비함으로써 감각자극들을 처리하고 통합하는 중추신경계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방법이다.
2. 감각통합치료의 원리 및 방법
감각통합은 주로 세 가지 기본적인 감각, 즉 촉각, 전정감각 및 고유 감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촉각은 피부를 통해 느끼는 감각이고, 전정감각은 내이(귀)안에 있는 평형감각기관에서 담당하는데, 머리 위치의 변화로 인해 오는 자세의 변화를 탐색하는 감각이고, 고유 감각은 우리 몸의 근육, 관절, 건을 포함하며, 무의식적으로 몸의 위치를 뇌에 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 세 가지 감각은 자기들뿐만 아니라 뇌의 다른 계와도 서로 연결되어 있다. 세 감각들 사이의 상호관계는 아주 복잡하며 우리가 주변 환경의 여러 가지 자극들을 경험하고, 해석하며, 이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자폐아의 감각통합치료
감각통합치료를 구축한 A.Jean Ayers 박사는 자폐아가 나타내는 여러 가지 특징, 즉 대인관계의 장애, 언어발달의 지체, 적응행동의 문제 등을 광범위한 신경계의 기능장애라고 생각하고, 자폐아는 여러 가지 감각자극 등록이나 처리과정상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문제를 나타내고 있는 상태라고 생각하였다. 그 EOans에 자폐아에 대한 감각통합법의 지도 목표는, 그 아동의 중추신경계에 있어서 감각처리 과정을 개선하고, 다양한 감각작극을 초정하는 것에 의해서 적응행동 형성을 꾀하는 것에 있다.
1) 자폐아의 감각반응의 특징
① 촉각
자폐아는 촉각반응에 대해서 거부적, 방위적으로 반응하는 아동이 많은데, 이러한 상태를 촉각방위 반응이라고 한다. 유아기에 안기거나 업히기를 싫어하는 행동이 촉각방위반응이다. 극단적으로 촉각방위 반응이 강한 아동에게는 일상생활 중에서 물건을 잡는다든지 장난감으로 노는 등 손을 사용해서 신변의 일을 처리하려는 것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것이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는 손가락의 교치성이나 양손을 사용해서 도구를 다루는 등의 기능적인 발달이 지체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폐아는 촉각반응에 대해 과반응(민감)을 보이지만 중도 정신지체를 수반하는 자폐아는 저반응(둔감)을 보이기 쉽고 어떤 것에 닿아도 신경 쓰지 않는 아동도 있다.
② 전정자극
자폐아 중에서 그네를 대단히 좋아하는 아동도 있다. 또 회전놀이 기구로 빠르게 돌려도 거의 눈이 돌지 않고 편안한 아동도 있다. 이러한 상태는 전정자극이 적절하게 수용, 등록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정글짐이나 높은 곳에 예사로 올라가는 아동은 한편으로 운동신경이 대단히 좋다고도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전정자극 입력이 적절하지 않은 표시일 경우가 많다.
이렇게 전정자극에 대해서 자폐아는 총체적으로 낮은 반응을 보이지만 때로 대단히 과반응 상태의 아동도 있다. 예를 들면, 그네, 트림폴린 등의 흔들리는 놀이기구를 대단히 무서워하거나 발이 땅에서 떨어지는 것에 강한 불안을 보이거나 한다.
③ 고유감각
자폐아는 고유감각의 수용, 등록에도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리듬체조에서 양손을 높이 위로 펴도록 지시해도 양손이 펴지지 않고 팔꿈치나 어깨관절이 굽어있는 자폐아를 자주 볼 수 있다. 또 팔이나 발을 잡아당기거나 발바닥을 톡톡 두드리거나 글씨를 쓰거나 하면 기분이 좋아지는 아동도 있다.
④ 시각
자폐아중에는 자신의 손가락을 움직여서 계속 응시하거나 네온싸인 빛의 움직임을 좋아해서 텔레비전의 광고를 싫증내지 않고 응시하는 아동이 있다. 전차나 자동차를 좋아하는 아동 중에 차창 밖의 경치, 그것도 비교적 가까운 전주나 레일의 침목이 나는 것처럼 보이는 모양을 계속해서 응시하는 아동도 있다. 이들은 시각자극에 대해서 저반응(둔감)상태이기
2. 감각통합치료의 원리 및 방법
감각통합은 주로 세 가지 기본적인 감각, 즉 촉각, 전정감각 및 고유 감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촉각은 피부를 통해 느끼는 감각이고, 전정감각은 내이(귀)안에 있는 평형감각기관에서 담당하는데, 머리 위치의 변화로 인해 오는 자세의 변화를 탐색하는 감각이고, 고유 감각은 우리 몸의 근육, 관절, 건을 포함하며, 무의식적으로 몸의 위치를 뇌에 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 세 가지 감각은 자기들뿐만 아니라 뇌의 다른 계와도 서로 연결되어 있다. 세 감각들 사이의 상호관계는 아주 복잡하며 우리가 주변 환경의 여러 가지 자극들을 경험하고, 해석하며, 이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자폐아의 감각통합치료
감각통합치료를 구축한 A.Jean Ayers 박사는 자폐아가 나타내는 여러 가지 특징, 즉 대인관계의 장애, 언어발달의 지체, 적응행동의 문제 등을 광범위한 신경계의 기능장애라고 생각하고, 자폐아는 여러 가지 감각자극 등록이나 처리과정상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문제를 나타내고 있는 상태라고 생각하였다. 그 EOans에 자폐아에 대한 감각통합법의 지도 목표는, 그 아동의 중추신경계에 있어서 감각처리 과정을 개선하고, 다양한 감각작극을 초정하는 것에 의해서 적응행동 형성을 꾀하는 것에 있다.
1) 자폐아의 감각반응의 특징
① 촉각
자폐아는 촉각반응에 대해서 거부적, 방위적으로 반응하는 아동이 많은데, 이러한 상태를 촉각방위 반응이라고 한다. 유아기에 안기거나 업히기를 싫어하는 행동이 촉각방위반응이다. 극단적으로 촉각방위 반응이 강한 아동에게는 일상생활 중에서 물건을 잡는다든지 장난감으로 노는 등 손을 사용해서 신변의 일을 처리하려는 것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것이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는 손가락의 교치성이나 양손을 사용해서 도구를 다루는 등의 기능적인 발달이 지체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폐아는 촉각반응에 대해 과반응(민감)을 보이지만 중도 정신지체를 수반하는 자폐아는 저반응(둔감)을 보이기 쉽고 어떤 것에 닿아도 신경 쓰지 않는 아동도 있다.
② 전정자극
자폐아 중에서 그네를 대단히 좋아하는 아동도 있다. 또 회전놀이 기구로 빠르게 돌려도 거의 눈이 돌지 않고 편안한 아동도 있다. 이러한 상태는 전정자극이 적절하게 수용, 등록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정글짐이나 높은 곳에 예사로 올라가는 아동은 한편으로 운동신경이 대단히 좋다고도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전정자극 입력이 적절하지 않은 표시일 경우가 많다.
이렇게 전정자극에 대해서 자폐아는 총체적으로 낮은 반응을 보이지만 때로 대단히 과반응 상태의 아동도 있다. 예를 들면, 그네, 트림폴린 등의 흔들리는 놀이기구를 대단히 무서워하거나 발이 땅에서 떨어지는 것에 강한 불안을 보이거나 한다.
③ 고유감각
자폐아는 고유감각의 수용, 등록에도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리듬체조에서 양손을 높이 위로 펴도록 지시해도 양손이 펴지지 않고 팔꿈치나 어깨관절이 굽어있는 자폐아를 자주 볼 수 있다. 또 팔이나 발을 잡아당기거나 발바닥을 톡톡 두드리거나 글씨를 쓰거나 하면 기분이 좋아지는 아동도 있다.
④ 시각
자폐아중에는 자신의 손가락을 움직여서 계속 응시하거나 네온싸인 빛의 움직임을 좋아해서 텔레비전의 광고를 싫증내지 않고 응시하는 아동이 있다. 전차나 자동차를 좋아하는 아동 중에 차창 밖의 경치, 그것도 비교적 가까운 전주나 레일의 침목이 나는 것처럼 보이는 모양을 계속해서 응시하는 아동도 있다. 이들은 시각자극에 대해서 저반응(둔감)상태이기
추천자료
기본 움직임 교육프로그램이 자폐성 아동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동시촉구를 사용하여 자폐 아동에게 친척 이름 지도하기
자폐증 아동에 대한 교육적 측면으로의 이해와 접근
자폐성 장애아동의 교육
아동기 , 해리장애 (통제결여된 행동, 학습부진, 지적, 자폐) 신체형 장애
아동의 행동장애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자폐장애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대한 증상과 ...
아동기 때 발생하는 정신장애인 자폐증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에 대해 서술
아동발달에 있어 장애의 원인과 해결책을 설명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을 아동발달이론과 관련...
유아기의 부적응행동 다음 3가지 중 한 가지를 예를 들어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서술해 보세...
[사범/법학] [아동기 발달장애] 아동기 행동장애 (자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품행장애, 학...
특수아동교육 자폐성장애
[미술치료] 아동기의 정신병리 - 기질연구, 애착연구, 소아와 청소년 우울증, 자폐증, 학습부...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영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 - 감각박탈, 발달지연(늦...
[아동상담치료 사례분석] 자폐증 아동 접촉치료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