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한국 청소년의 창의적 사고 및 인성의 발달
경향성 및 창의성의 연령별 발달 특징
III. 창의성 계발을 위한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고려사항들
1. 창의성 계발을 위한 가정에서의 고려사항들
가. 가정에서 아동의 창의성을 저해하는 말이나 행동
나. Amabile의 창의성 방해 요인: 평가, 보상, 경쟁, 선택
다. 자녀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부모의 역할
라. 창의적인 아동의 부모와 창의적이지 못한 아동의 부모의 차이
2. 학교
가. 학교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방해하는 요소
나. 창의성 계발에 적절한 학교 환경 조성
다. 학생들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
라. 창의성을 위한 교사의 발문기법
마. 창의적인 교실분위기 조성 및 창의적인 교사의 특징
3. 사회
가. 직장
나. 창의성 계발을 위한 직장의 분위기
다. 조직의 창의성을 제한하는 리더나 대표
라. 조직의 창의성을 높이는 리더나 대표
IV. 창의성 계발을 위한 사회 문화 조성 방안을 위한 제안
1. 가정
가. 입시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집착에서 벗어나기
나. 학부모를 위한 창의성 연수
2. 학교
가. 사교육 차원이 아닌 공교육 차원에서 창의성 교육을 흡수하려는 노력 필요
나. 교사의 창의성을 격려하는 심리적 분위기 조성
다. 창의성 교사 연수 반드시 필요
라. 교과목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3. 사회
가. 학계에서의 창의성 연구의 활성화
나. 일년에 한 두 번씩 창의성을 위한 부모, 교사, 장학사 및 교육관계자들의 모임-정보 제공 및 교환
다. 유교문화와 타문화의 접목
V. 맺는 말
II. 한국 청소년의 창의적 사고 및 인성의 발달
경향성 및 창의성의 연령별 발달 특징
III. 창의성 계발을 위한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고려사항들
1. 창의성 계발을 위한 가정에서의 고려사항들
가. 가정에서 아동의 창의성을 저해하는 말이나 행동
나. Amabile의 창의성 방해 요인: 평가, 보상, 경쟁, 선택
다. 자녀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부모의 역할
라. 창의적인 아동의 부모와 창의적이지 못한 아동의 부모의 차이
2. 학교
가. 학교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방해하는 요소
나. 창의성 계발에 적절한 학교 환경 조성
다. 학생들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
라. 창의성을 위한 교사의 발문기법
마. 창의적인 교실분위기 조성 및 창의적인 교사의 특징
3. 사회
가. 직장
나. 창의성 계발을 위한 직장의 분위기
다. 조직의 창의성을 제한하는 리더나 대표
라. 조직의 창의성을 높이는 리더나 대표
IV. 창의성 계발을 위한 사회 문화 조성 방안을 위한 제안
1. 가정
가. 입시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집착에서 벗어나기
나. 학부모를 위한 창의성 연수
2. 학교
가. 사교육 차원이 아닌 공교육 차원에서 창의성 교육을 흡수하려는 노력 필요
나. 교사의 창의성을 격려하는 심리적 분위기 조성
다. 창의성 교사 연수 반드시 필요
라. 교과목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3. 사회
가. 학계에서의 창의성 연구의 활성화
나. 일년에 한 두 번씩 창의성을 위한 부모, 교사, 장학사 및 교육관계자들의 모임-정보 제공 및 교환
다. 유교문화와 타문화의 접목
V. 맺는 말
본문내용
장학사 및 교육 관계자들의 창의성 모임의 장, 다양한 문화의 흡수 및 고유 문화의 세계화 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창의성 계발을 위한 사회 문화 조성 방안에 대한 하나의 문헌적인 탐색, 연구자의 논의에 불과하다. 보다 현장에 밀착된 진지하고 구체적인 논의가 이를 통해 전개되기를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김선. (1995). 교육과 창의성, 집문당.
김종안. (1999). 교과교육과 창의성,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성균관대학교 교육연구소 창의력 개발 연구팀.
문정화. (1996). 당신은 자녀를 창의적인 아이로 키우고 있습니까? 한뜻.
문정화, 하종덕. (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학지사.
신세호. (1977). 창의력의 교육, 정원식(편), 지력과 정의의 교육, 서울 : 배영사.
윤종건. (1994). 창의력, 정민사.
전경원. (역, 1998). 창의성과 동기유발, 창지사.
전경원. (2000). 창의학, 학문사.
조석희 (1999).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 관한 교육심리학의 역할과 과제, 교육심리연구, 13, 79-103.
하주현. (2000a). 아동기에서 청년기까지의 창의적 인지와 창의적 인성의 발달경향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하주현. (2000b).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 187-210.
하주현. (2001a). A Theoretical study of creative development, 교육심리연구, 15, 139-156.
하주현. (2001b). 창의적 인성검사(CPS)의 연령별 타당화 및 연령별 발달경향 연구, 16,
홍순정. (1999). 지능과 창의성, 양서원.
Albert, R. S. (1996). Some reasons why childhood creativity often fails to make it past puberty into real world, In M.A.Runco (Ed.),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Creativity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no. 72, 3-29. San Francisco, US: Jossey-Bass Publishers.
Amabile, T. M. (1998). How to kill creativity. Harvard Business Review, Sep.-Oct., 77-87.
Arlin, P. K. (1975). Cognitive development in adulthood: a fifth stage? Developmental Psychology, 11, 602-606.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 Y.: Harper Perennial.
Dudek, S. J. (1974).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attitude or abil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8, 282-292.
Isaksen, S. G., Lauer, K. J., Ekvall, G., & Britz, A. (2000-2001). Perceptions of the best and worst climates for creativity: Preliminary validation evidence for the situational outlook questionnair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 171-184.
Hah, J. H. (2001). Creative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Youth in South Korea,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16, 74.
James, K. & Asmus, C. (2000-2001). Personality, Cognitive Skills, and Creativity in Different Life Domai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 149-159.
Ruth, J. (1989).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During the Life Span. The Creative Child and Adult Quarterly, 14, 212-219.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Torrance, E. P. (1963).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Torrance, E. P. (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Figural (Streamlined) Forms A & B.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Torrance, E. P., & Ball, S. (1992).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Streamlined Scoring Guide Figural A and B. Bensenvile, Illinois: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Torrance, E. P., & Ball, Safter. (1999). Making the creative leap beyond. Buffalo, NY: Creative Educational Foundation Press.
Vygotsky. (1930/1986).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childhood. Unpublished English translation by F. Smolucha, University of Chicago. (Original work published 1930).
그러나 본 연구는 창의성 계발을 위한 사회 문화 조성 방안에 대한 하나의 문헌적인 탐색, 연구자의 논의에 불과하다. 보다 현장에 밀착된 진지하고 구체적인 논의가 이를 통해 전개되기를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김선. (1995). 교육과 창의성, 집문당.
김종안. (1999). 교과교육과 창의성,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성균관대학교 교육연구소 창의력 개발 연구팀.
문정화. (1996). 당신은 자녀를 창의적인 아이로 키우고 있습니까? 한뜻.
문정화, 하종덕. (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학지사.
신세호. (1977). 창의력의 교육, 정원식(편), 지력과 정의의 교육, 서울 : 배영사.
윤종건. (1994). 창의력, 정민사.
전경원. (역, 1998). 창의성과 동기유발, 창지사.
전경원. (2000). 창의학, 학문사.
조석희 (1999).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 관한 교육심리학의 역할과 과제, 교육심리연구, 13, 79-103.
하주현. (2000a). 아동기에서 청년기까지의 창의적 인지와 창의적 인성의 발달경향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하주현. (2000b).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 187-210.
하주현. (2001a). A Theoretical study of creative development, 교육심리연구, 15, 139-156.
하주현. (2001b). 창의적 인성검사(CPS)의 연령별 타당화 및 연령별 발달경향 연구, 16,
홍순정. (1999). 지능과 창의성, 양서원.
Albert, R. S. (1996). Some reasons why childhood creativity often fails to make it past puberty into real world, In M.A.Runco (Ed.),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Creativity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no. 72, 3-29. San Francisco, US: Jossey-Bass Publishers.
Amabile, T. M. (1998). How to kill creativity. Harvard Business Review, Sep.-Oct., 77-87.
Arlin, P. K. (1975). Cognitive development in adulthood: a fifth stage? Developmental Psychology, 11, 602-606.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 Y.: Harper Perennial.
Dudek, S. J. (1974).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attitude or abil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8, 282-292.
Isaksen, S. G., Lauer, K. J., Ekvall, G., & Britz, A. (2000-2001). Perceptions of the best and worst climates for creativity: Preliminary validation evidence for the situational outlook questionnair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 171-184.
Hah, J. H. (2001). Creative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Youth in South Korea,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16, 74.
James, K. & Asmus, C. (2000-2001). Personality, Cognitive Skills, and Creativity in Different Life Domai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 149-159.
Ruth, J. (1989).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During the Life Span. The Creative Child and Adult Quarterly, 14, 212-219.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Torrance, E. P. (1963).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Torrance, E. P. (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Figural (Streamlined) Forms A & B.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Torrance, E. P., & Ball, S. (1992).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Streamlined Scoring Guide Figural A and B. Bensenvile, Illinois: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Torrance, E. P., & Ball, Safter. (1999). Making the creative leap beyond. Buffalo, NY: Creative Educational Foundation Press.
Vygotsky. (1930/1986).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childhood. Unpublished English translation by F. Smolucha, University of Chicago. (Original work published 1930).
키워드
추천자료
[실버산업]고령사회의 노인복지를 위한 실버타운의 활성화 방안
창의력 수업 발달 계발 모형
[특기적성교육]특기적성교육의 의의, 특기적성교육의 중요성, 특기적성교육의 기대효과, 특기...
과학실험 프로그램 구안적용을 통한 창의적 사고와 탐구능력 신장방안
우리 사회에서 가족환경의 대표적인 변화특성 중 다문화 가족의 증가현상에 대해 그 원인, 현...
지역사회내 위 가정들의 한국문화정착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프로그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후원기금 조성을 위한 기획 사업에 대해 조사를 하고, 보다 효과적인 ...
사회적 자본형성을 위한 중·고령자 평생학습방안
[교육심리학] ≪창의성(創意性/creativity)≫ 창의성의 정의, 창의성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지...
[남북한(南北韓) 사회교류-협력 현황과 방안] 남북한 사회(문화)교류 현황 및 평가, 남북사회...
★ 사회적경제조성론 -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여건,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의 전략, 사회적경...
우리 사회의 사회적 정서과정현상을 2가지 선택하여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에 근거하여 그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