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오션을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블루오션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책소개

Ⅱ.블루오션
1.블루오션 지키기 3계명

Ⅲ. 블루오션의 전략을 나의것으로 만들어라
■ 블루 오션으로 들어가는 길목을 좁혀라
■ 움직이는 블루 오션을 만들어라
■ 나만의 블루 오션 매니아를 확보하라

Ⅳ. 블루오션형 종목을 현실에 접목시켜라.
■블루오션형 종목 '대박'
■블루오션 투자법

본문내용

젊은 학생들로 붐볐다. 지금도 인터넷에 들어가면, 미샤 화장품을 애용하는 매니아들이 적극 활동하고 있다. 그들은 자신의 화장 노하우를 공개하고 제품에 대한 설명까지 상세하게 전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블루 오션 매니아들을 세스코 홈페이지에 가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물론 그들이 실제 소비자는 아니다. 다만 미래의 잠재 고객 정도는 틀림없어 보인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한때 세스코 신드롬이 있었다. 세스코 홈페이지에 올라온 질문과 답변을 보면서 네티즌들은 그 엉뚱함과 유머, 진솔함에 감탄을 금치 못했고, 그들 스스로가 세스코 매니아임을 자처하기에 이르렀다. 누가 시킨 일도 아니었지만, 인터넷에서의 그들의 활약은 실로 대단했다. 결국 세스코는 자신의 열성 매니아들을 통해 자신들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며, 자신이 만들어 놓은 블루 오션에서 쾌속 운항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Ⅳ. 블루오션형 종목을 현실에 접목시켜라.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경영이론인 블루오션 전략을 접목한 '블루오션 투자법 '이 증권가의 신 투자 기법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블루오션 전략은 경쟁자들이 우글거리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는 곳(레드오션)에서 탈피,경쟁이 없는 새 시 장(블루오션)을 창출하면 큰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게 핵심이다. 따라서 블루 오션 투자법이란 경쟁자가 없거나 경쟁이 거의 없는 업종에서 확고부동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블루오션형 종목'들을 골라 장기간 보유하는 전략이다. 전 문가들은 아직 저평가된 블루오션형 종목을 골라 장기 투자할 경우 높은 수익률 을 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한다.
◆블루오션형 종목 '대박'
최준철 VIP투자자문 대표는 "경쟁자가 없는 새로운 시장을 뜻하는 블루오션의 정의에 잘 들어맞으면서 최근 몇 년 새 주가가 급등한 종목으로 신세계 태평양 동서 등을 꼽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세계는 1990년 말부터 국내에 아직 없 던 할인점 시장에 진출,현재 이 부문 시장 점유율이 33%에 달한다.
태평양의 경우 2000년 초 신개념의 한방화장품(설화수)을 출시한 이후 매출이 급증,현재 화장품 시장 점유율이 78%다. 코스닥 기업인 동서는 수십년 전부터 일회용 커피믹서 시장을 개척,70~80%의 점유율(추정치)을 가진 동서식품의 모회 사다. 이들 기업은 지난 2001년 초 이후 4년반 만에 주가가 7~10배 급등했다.
높은 진입장벽을 갖춰 경쟁자가 거의 없는 업체들도 넓은 의미에서 블루오션형 종목으로 꼽힌다. 도시가스 업체가 대표적이다. 업종 대표주인 삼천리는 지난 2003년 이후 본격 반등하면서 최근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블루오션 투자법
경쟁자가 없는 이들 기업의 경우 장기 투자에 제격이다. 최준철 대표는 "경쟁에 서 자유로운 기업들은 제품 가격을 꾸준히 올리고 과도한 비용을 쓸 필요도 없 어 높은 이익률을 유지할 수 있고 이익도 꾸준히 늘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블루오션형 종목 투자에도 유념할 점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채원 한국투자증권 상무는 "일단 형성된 블루오션 시장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지 경쟁 상황 등을 항상 주시할 것"을 주문했다. 이익률이 높은 블루오션 시장에는 항상 새로운 경쟁자가 몰려들 가능성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풀무원(포장두부) 레인콤(MP3플레이어) 등은 한동안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듯했 지만 대기업이 잇따라 진출하면서 이들의 시장 점유율이 점점 낮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게 좋은 예다. 이 상무는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가진 기업 이더라도 너무 높은 가격에 살 경우 수익률이 낮을 우려가 있다"며 "해당 종목 의 주가 추이를 세심히 지켜보면서 저가에 매입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덧붙 였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7.21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