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비정규노동자의 개념
관련 개념에 대한 이해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복지
비정규직제도의 도입배경
비정규직제도의 장, 단점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정규직화에 따른 문제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따른 문제점의 개선방향
참고자료
관련 개념에 대한 이해
비정규노동자의 사회복지
비정규직제도의 도입배경
비정규직제도의 장, 단점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정규직화에 따른 문제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따른 문제점의 개선방향
참고자료
본문내용
비정규노동자의 개념
○ 정규직․비정규직 개념은 법정화된 개념이 아니어서 그 범위에 대해 논란이 있으나 국제적으로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하여 사용하는 기간제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파견․일용근로자 정도를 비정규직으로 봄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임금근로자를 그 지위에 따라 상용직․임시직․일용직으로 분류 : 45.7%(’97) → 52.1%(’00) → 49.3% (’03.12, 710만명)
○ 외환위기 이후 임시․일용직이 늘어남에 따라 비정규직 개념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어 노사정위원회에서 비정규직 기준을 마련하고
- 동 기준에 의거 통계청에서 경활인구조사시 부가조사를 실시 : 비정규직 비율 27.3%(’01)→27.8%(’02)→32.6%(’03, 460만명)
※ '02.7월 노사정위는 비정규직을 한시적(기간제)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파견․용역․특수고용 등 근로제공 방식이 특이한 자(비전형 근로자)로 분류
통계청: 고용계약기간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노동부: 고용계약기간 + 계속근로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ILO: duration, productivity / labor relations at work-place
-불완전취업 / 단시간근로
○ 정규직․비정규직 개념은 법정화된 개념이 아니어서 그 범위에 대해 논란이 있으나 국제적으로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하여 사용하는 기간제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파견․일용근로자 정도를 비정규직으로 봄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임금근로자를 그 지위에 따라 상용직․임시직․일용직으로 분류 : 45.7%(’97) → 52.1%(’00) → 49.3% (’03.12, 710만명)
○ 외환위기 이후 임시․일용직이 늘어남에 따라 비정규직 개념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어 노사정위원회에서 비정규직 기준을 마련하고
- 동 기준에 의거 통계청에서 경활인구조사시 부가조사를 실시 : 비정규직 비율 27.3%(’01)→27.8%(’02)→32.6%(’03, 460만명)
※ '02.7월 노사정위는 비정규직을 한시적(기간제)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파견․용역․특수고용 등 근로제공 방식이 특이한 자(비전형 근로자)로 분류
통계청: 고용계약기간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노동부: 고용계약기간 + 계속근로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ILO: duration, productivity / labor relations at work-place
-불완전취업 / 단시간근로
추천자료
(노사관계) 비정규직을 바라보는 각계의 입장과 문제점 및 대응방안
[졸업논문] 비정규직 문제 및 해결방안 연구
(한국사회문제)비정규직 증가의 원인과 장단점 분석 및 장점을 극대화하며 단점을 최소화하기...
[한국사회문제] 비정규직 증가의 원인과 장단점 분석 및 장점 극대화 단점 최소화 대책에 대...
(한국사회문제C형)비정규직 증가의 원인과 장단점을 분석하고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자신의 ...
[한국사회문제C]비정규직 증가에 따른 노동의 유연화와 고용의 안정성 논란 및 문제점 분석과...
(한국사회문제C형)비정규직을 둘러싸고 대립되는 노동의 유연화와 고용의 안정성 중 고용의 ...
[여성학]여성 비정규직 노동자의 현실과 문제점
노동의 유연화와 고용의 안정성과 관련한 비정규직 논란
현대자동차 사태를 통해 풀어본 비정규직과 노사관계
사회통합을 위한 핵심과제 중의 하나인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복지사로서 과제 ...
비정규직투쟁(비정규투쟁)의 취지와 흐름, 비정규직투쟁(비정규투쟁)의 계획과 사례, 비정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