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라마 무사의 문학과 사상 연구 (자서전『 Tarbiyat Sal ma M s 』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쌀라마 무사의 문학과 사상의 배경
1. 근대 이집트의 정치 사회적 상황과 문학 양상
2. 쌀라마 무사의 문학과 사상의 배경
3. 쌀라마 무사의 사회주의 사상

Ⅲ. 결 론

본문내용

을 띠고 있었다지만, 이것은 무사의 초기 작품들이 부각되어 심히 왜곡된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는 아랍인들이 서구의 과학 기술과 선진 문명을 이룬 위업 중에서 끌어낼 수 있는 최대한의 잇점들을 배워야 한다고 유럽화 운동을 지지하였고, 이집트는 위대한 파라오 주의를 통해 새 이집트인 주체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고취하였으며, 아랍어의 현대화 추진을 적극적으로 옹호한 이집트인이다. 이런 관점에서, 현대 아랍 문학에서의 그의 위치는 마땅히 재평가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Abushady, A.Z.(March, 1951). "Contemporary Egyption Literature", Middle Eastern Affairs, Vol.Ⅱ, No.3, New York.
Brugman, J. (1984). An Introduc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Arabic Literature in Egypt, Leiden, E.J.Brill.
Dessouki, Alli E. Hillal(Aug.,1973). "The Views of Salama Musa on Religion and Secularism", Islam and the Modern Age, Vol.Ⅳ, No.3, New Delhi.
Egger, Vernon(1986). A Fabian in Egypt : Salama Musa and the Rise of the Professional Classes in Egypt 1909-1939, New York & London, Uni. Press of America.
Gibb, H. A. R., (1963), An Introduction Arabic Literature, Oxford Uni. Press.
Haim, Sylvia G., "Salama Musa An Appreciation of His Autobiography", Die Welt Des Islams, Vol.Ⅱ,(1952-1953), Leiden.
Hourani, Albert (1970). Arabic Thought in the Liberal Age 1798-1939, London, Oxford Uni. Press.
Ibrahim, Ibrahim A. (Oct. 1979). "Salama Musa An Essay on Cultural Alienation", Middle Eastern Studies, Vol. 15, No.3, London.
Ismael, Tareq Y.(1976). The Arab Left, New York, Syracuse Uni.
Landern, Robert G. (1970). The Emergence of the Modern Middle East : Selected Readings,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m.
Laqueur, Walter Z.(1961). Communism and Nationalism in the Middle East,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Musa, Salama(1961). L.O. Schuman Trans. The Education of Salama Musa, Leiden, E.J.Brill.
M s , Sal ma (1947). Tarbiyat Sal ma M s , Sal ma M s lil-nashr wat-tawuz ‘.
M s , Sal ma (1927). Huriyat al-fikr wa’abtaliha f at-tal kh, Sal ma M s lil-nashr wat-tawuz ‘.
M s , Sal ma (1957). al-’Adab lil-Sha‘b, Sal ma M s lil-nashr wat-tawuz ‘.
M s , Sal ma (1928). al-Yawm wa'l-Ghad, al-Matba‘at al-‘Asriyat.
Ziadeh, Farhat J. (1981). A Reader in Modern Literary Arabic, Seattle & London, Uni. of Washington Press.
각 주
1 미국의 역사가이자 철학자. 1858년에 하버드 대학 졸업후 1867-68년까지 하원의원이던 부친의 개인 비서로 일하였고, 1870년에 하버드대 조교수직과 North American Review지의 편집 일을 겸하였다. 그는 대학교수로 역사 연구에 깊은 관심을 보였고, 그가 편집인으로 있던 기간(1872-76)동안 North American Review지는 뛰어난 역사적, 정치적 기사들로 명성을 날렸다. 그의 대표적 역사서「제퍼슨과 메디슨 통치시기의 미합중국 역사,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Jefferson and Madison, 9 vols, 1889-91」로 그는 1919년에 플리쳐 상을 수상했다.
2 일단의 영국 군인들이 딘샤와이 마을에 비둘기 사냥을 나왔다가 한 영국인 장교가 피살되었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영국 정부는 이 마을 주민 피고인들 중 4명을 공공연하게 교수형에 처했다. 이 사건은 이집트 국민들의 마음속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3 하렘은 아랍어로 ‘금지’, ‘신성’을 뜻한다. 하렘은 오스만 제국 시대의 술레이만 1세(1520-66)때에 술탄의 부인 및 궁녀를 수용하는 별개의 구역으로서 궁성 내에 세워졌으며, 하렘의 여자들이 이 특별 구역에 제한되어 생활한 것에서 유래된 관습이다.
4 무사는 그의 자서전에서 유럽의 시골과 이집트의 시골을 비교해보고 이집트 농민들의 비참한 생활에 마음 아파하고 있다. Sal ma M s , Tarbiyat Sal ma M s , p.98-99, p.135-139
5 「알-리쌀라」지의 설립자이자 편집인이었다. 1930년대 이집트 현대 문학에서 중요한 인물로 다양한 영향권 하에 놓여 있었던 당시의 이집트 작가들을 대표할만한 인물이다. 그는 아랍의 유산을 중시하였고 또한 서구, 특히 프랑스 문학의 영향을 깊게 받았다. 그는 라마르띤의 「라펠」을 비롯하여 여러 편의 프랑스 작품들을 번역하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08.09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