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특수진단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계특수진단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뇌혈관 조영술(Cerebral Angiography)

2. 요추천자(Spinal Tapping & Lumbar puncture)

3. 유발전위검사(Evoked Potential Studies)

4. 신경전도 검사 & 근전도 검사(NCV & EMG)

5. 단일 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술(Brain Spect)

6.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7. 장기간 뇌파기록 장치(long term EEG Monitoring)

8. 신경 전도 검사(ENG: Electroneurography)

9. 척수조영술(Myelogram)

10. 전산화 단층 촬영(Brain CT)

11.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 MRI)

12. 양전자방출단층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PET)

13. 경동맥비침습성검사(Carotid Non-Invasive Study;CNIS)

14. 경두개 초음파 검사(Trans-Cranial Doppler : TCD)

본문내용


초음파 뇌촬영술(Echoencephalography)
뇌단속 촬영(Brain Scanning)
컴퓨터 단층촬영술(Computerized Tomography, CT)
기뇌촬영술 (pneumoencephalography, PEG)
뇌실촬영술(ventriculography)
10. 전산화 단층 촬영(Brain CT)
①정의
흔히 일반인들이 '컴퓨터 촬영'이라고 하는 검사로 뇌졸중이 발생했을 때 초기에 출혈인지 혹은 경색인지를 쉽게 감별하고 병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병변의 진행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②검사시간
약 10-15분이 소요.
11.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 MRI)
①정의
MRI는 뇌경색 발병 30분 후부터 병변을 볼 수 있고 수시간 이내에는 대부분 확인할 수 있으며, 뇌간의 병소도 정확히 보여 CT보다 우수한 면이 있다.
②장점
a.뇌졸중에 동반된 부종을 확인
b.출혈 병변에서 시간 경과와 원인을 추측
c.내경동맥이나 기저동맥의 폐색이나 구조를 자세히 볼 수 있다.
③자기공명혈관조영(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MRA)
최근에는 주위 조직에서 혈관을 분리하여 영상을 얻는 MRA가 개발되어 비침습성 검사로 경동맥 및 뇌기저부 혈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어 기존의 혈관조영술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 대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특수한 방법의 MRI 검사법이(확산 MRI, 관류 MRI 등) 개발되어 뇌조직의 손상을 보다 빠르게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④검사시간 : 30분 이상에서 여러 특수 검사를 같이 할 경우 1시간 가량.
12. 양전자방출단층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PET)
①정의
국소 뇌조직의 산소대사, 산소 추출 및 뇌혈류 또는 포도당 대사율 등을 구할 수 있어 국소 뇌조직이 경색에 빠지기 전에 대사이상을 관찰하여 허혈 판정 및 뇌조직의 기능영상을 얻을 수 있고 아울러 여러 치료 방법을 통한 뇌조직 대사 상태가 영상화되거나 수치화 되므로 이의 평가에 최적의 장비
②단점
고가여서 우리나라에는 몇 대 밖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13. 경동맥비침습성검사(Carotid Non-Invasive Study;CNIS)
서구의 뇌경색은 주로 경동맥 분지의 동맥 경화 병변에 의하여 발생되는 예가 많고 우리 나라도 최근 경동맥 병변이 증가되는 추세로서 이들 검사법들은 주로 경동맥의 이상을 비침습성 검사로 찾아내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초음파로 검사하는 방법이다.
14. 경두개 초음파 검사(Trans-Cranial Doppler : TCD)
측두개, 안와, 하악아래, 대후두공을 통해 도플러 검사를 시행하여 내경동맥, 중대뇌동맥, 전대뇌동맥, 후대뇌동맥, 후교통동맥, 추골동맥, 기저동맥 등의 혈류속도와 협착 등을 비침습적으로 알 수 있고 이에 대한 추적을 한다. SPECT와 마찬가지로 다이나목스 주사 후에 경두개 초음파 검사를 하여 혈역학 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8.17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7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