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주원장
2.1.1 한국 설화 주원장 ․
2.1.2 중국 설화 주원장
2.1.3 한 ․ 중 설화비교
2.2 석숭
2.2.1 중국 설화 석숭
2.2.2 한국 설화 중 나타나는 석숭
2.2.3 한국 설화와 중국 설화의 비교
2.3 편작
2.3.1 중국 설화 중에서 나타나는 편작
2.3.2 한국 설화에 나타나는 편작
2.3.3 중 ․ 한 비교
2.4 강태공
2.4.1 중국 설화에 나타나는 강태공
2.4.2 한국 설화에 나타나는 강태공
2.4.3 중 ․ 한 비교
3. 결론
2. 본론
2.1 주원장
2.1.1 한국 설화 주원장 ․
2.1.2 중국 설화 주원장
2.1.3 한 ․ 중 설화비교
2.2 석숭
2.2.1 중국 설화 석숭
2.2.2 한국 설화 중 나타나는 석숭
2.2.3 한국 설화와 중국 설화의 비교
2.3 편작
2.3.1 중국 설화 중에서 나타나는 편작
2.3.2 한국 설화에 나타나는 편작
2.3.3 중 ․ 한 비교
2.4 강태공
2.4.1 중국 설화에 나타나는 강태공
2.4.2 한국 설화에 나타나는 강태공
2.4.3 중 ․ 한 비교
3. 결론
본문내용
태공을 논의하기 전에 먼저 조선 사대부들의 강태공에 대한 인식을 잠시 살펴보기로 하자. 본고에서는 주로 <대동야승> 소재 자료를 살펴보았는데 조선 사대부들의 강태공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로 나뉘어진다. 긍정적인 평가는 주나라 왕이 천하를 차지하는 데 절대적인 구실을 한 유능한 신하라는 평가이며, 부정적인 평가는 강태공이 본래 은나라 신하이면서 주나라가 은나라를 뒤엎는 데 도움을 준 행위는 역적질이라는 평가이다. 여기서 조선 사대부들이 강태공을 누구 편에서 조망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평가하고 있지만 그가 뛰어난 신하였다는 점에서는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대계>에 소개된 강태공 관련 설화는 신하로서의 면모를 중시하고 있지 않다. 논의에 앞서 자료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1353서낭(성황당)의 유래
<2> 14123한번 쏟은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
<3> 14125강태공의 점복(占卜)
<4> 2971 강태공과 참을성 없는 부인
<5> 45923강태공과 마씨부인
<6> 5784 강태공
<7> 6284 구미호와 삼족구
<8> 68323 성황당의 유래
<9> 6121015 강태공할미
<10> 711681 강태공과 나뭇군
위의 설화들은 <봉신연의>와 유사한 설화와 그렇지 않은 설화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봉신연의>의 전래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연의류 소설은 임진왜란 이전에 전래되어 임병양란 기간에 널리 퍼진 것으로 말해진다. <봉신연의>는 특히 <강태공실기> 또는 <강태공전>이라는 고소설로 번안되어 널리 읽혀졌기에 구전 설화에도 그 영향을 끼쳤음을 예상할 수 있는데 설화<6>의 경우는 그런 면모가 다분히 보인다.
필자는 앞 장에서 중국설화를 살피면서 <봉신연의>에 나타난 강태공이 무능한 점이 있지만 선견지명이 있고 神兵을 부리는 도인적 면모를 부각시킴으로써 무능했던 이유가 자신이 역량에 맞는 일이 아니요 때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했는데, 봉신연의와 유사한 한국설화에서는 특히 신병을 부리고 귀신이 두려워하는 도인적 면모보다는 앞일을 예언하는 도인적 면모를 부각시켰고 무능한 면모가 보이는 설화<6>도 역시 도인적 면모가 더욱 부각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봉신연의> 그리고 그 책을 번안한 <강태공실기>와 각각의 내용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대계
<강태공실기>
<봉신연의>
⑴강태공이 아내의 성화에 점집을 차림
대계와 같음.
대계와 같음
⑵부랑자가 나무 짐을 팔러 와서 행패 빌미를 찾으려고 점을 봄
나뭇군이 나무를 지고와 나무 잘 팔릴 곳을 물음
시 도인적 면모가 더욱 부각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봉신연의> 그리고 그 책을 번안한 <강태공실기>와 각각의 내용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대계와 같음
⑶강태공이 나무짐이 열석냥에 팔릴 것이며, 술 석잔, 떡 세개를 먹을 것을 예언했는데 말대로 됨
강태공이 어디로 가면 버드나무 아래 노인을 만나 주식도 배불리 먹고 나무도 비싸게 팔 것을 예언했는데 그대로 됨
강태공이 남쪽으로 가면 버드나무 그늘 아래 노인에게서 120문의 돈을 벌고 네 접시의 안주와 두 잔의 술을 얻어 마실 것이라 예언했는데 그대로 됨
⑷강태공이 자기 때를 만나 결국 벼슬함
강태공의 명성이 알려져 벼슬을 하게 됨
<강태공실기>와 같음
내용상에 약간의 오차가 있기는 하지만 설화 <3>이 <강태공실기>나 <봉신연의>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2.4.3중한비교
이상에서 살핀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강태공은 한국에서 낚시꾼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선견지명이 있는 도인으로 여겨지는데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중국설화 그리고 한국설화를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 보았다.
중국설화에 나타난 강태공은 주나라 국사로서 즉 유능한 신하로서의 면모보다는 도움이 없이는 생계를 잇지 못할 정도로 무능한 면모와 귀신도 두려워하고 신을 부리는 도인적 면모 등 이중적 면모를 보이는데, 도인적 면모를 부각시킴으로써 무능한 면모를 희석시키고 있다. 즉 강태공이 무능한 면모를 보인 이유가 때를 만나지 못했거나 자신의 기량에 맞지 않는 하찮은 일이었기 때문으로 이해하게 한다.
한국설화에 나타난 강태공은 중국설화에서와 같이 도인적 면모도 나타나지만 ‘선비의 처’ 설화의 선비와 같이 오랫동안 수련을 쌓아 출세를 하는 노력형의 면모를 나타내는 설화가 더 많아 강태공의 도인적 면모를 축소시키는 듯한 인상을 준다. 그러나 이 설화 속에서 강태공이 만든 부인의 독무덤이 서낭이 되는 결말을 보여줌으로써 오히려 신을 좌정시킬 수 있는 강태공의 도인적 면모를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결론
중국설화는 강태공 편작 등을 신술을 지닌 신선으로 형성화 한반면에 한국설화에서는 부정적인물로 평가하고 있다.이는 고정적 인식을 파괴하는 서민층의 인식뿐만 아니라 중국인의 인식까지 파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석숭과 주원장이 중국설화에서서는 부와 귀를 남용한 인물로 형상화된 반면 한국설화에서는 미친한 처지에서 남다른 부와귀 획득한 인물로 긍정되고 있다.이는 이들이 한국설화 흥유자에게 파괴할 만한 고정적 인식의 대상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기보다 서민층의 입장에서 부와귀의 과시보다 획득이 더 절실한 문제였기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구체적 분석을 바탕으로 인물의 상징과 고정성 명칭과 상투어 다른 문학과의 관계,증거물 등 중국인물 설화의 특징을 살펴 보았다.한국설화 속의 중국인물은 그 상징으로 인해 여리 유형에 걸쳐 두루 등장하기도 하지만 역사적 실존 인물의 경우 특정 설화에 고정되기도 한다.고정성의 이유는 인식이 비교에서 언급했듯이 고정의 인식의 파괴와 부귀에 대한 서민층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한편, 역사적으로 한국의 서민층과 특별한 관계가 없는 중국인물이 한국설화 에서 꾸준히 구연된데는 명칭의 일반성,상투어가 속담처럼 각인되는 과정.중국인물에 관한 판안소설의 영향.아기가 있는 집에서는 어디에서나 읊었던무가,일반적으로 불려진 가사 그리고 여기에서 다루지는 않았으나 시조,판소리 등이 큰 구실을 했으며 설화에 의해 형성된 증거물은 중국인물 설화의 토착화에 절대적으로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계>에 소개된 강태공 관련 설화는 신하로서의 면모를 중시하고 있지 않다. 논의에 앞서 자료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1353서낭(성황당)의 유래
<2> 14123한번 쏟은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
<3> 14125강태공의 점복(占卜)
<4> 2971 강태공과 참을성 없는 부인
<5> 45923강태공과 마씨부인
<6> 5784 강태공
<7> 6284 구미호와 삼족구
<8> 68323 성황당의 유래
<9> 6121015 강태공할미
<10> 711681 강태공과 나뭇군
위의 설화들은 <봉신연의>와 유사한 설화와 그렇지 않은 설화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봉신연의>의 전래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연의류 소설은 임진왜란 이전에 전래되어 임병양란 기간에 널리 퍼진 것으로 말해진다. <봉신연의>는 특히 <강태공실기> 또는 <강태공전>이라는 고소설로 번안되어 널리 읽혀졌기에 구전 설화에도 그 영향을 끼쳤음을 예상할 수 있는데 설화<6>의 경우는 그런 면모가 다분히 보인다.
필자는 앞 장에서 중국설화를 살피면서 <봉신연의>에 나타난 강태공이 무능한 점이 있지만 선견지명이 있고 神兵을 부리는 도인적 면모를 부각시킴으로써 무능했던 이유가 자신이 역량에 맞는 일이 아니요 때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했는데, 봉신연의와 유사한 한국설화에서는 특히 신병을 부리고 귀신이 두려워하는 도인적 면모보다는 앞일을 예언하는 도인적 면모를 부각시켰고 무능한 면모가 보이는 설화<6>도 역시 도인적 면모가 더욱 부각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봉신연의> 그리고 그 책을 번안한 <강태공실기>와 각각의 내용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대계
<강태공실기>
<봉신연의>
⑴강태공이 아내의 성화에 점집을 차림
대계와 같음.
대계와 같음
⑵부랑자가 나무 짐을 팔러 와서 행패 빌미를 찾으려고 점을 봄
나뭇군이 나무를 지고와 나무 잘 팔릴 곳을 물음
시 도인적 면모가 더욱 부각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봉신연의> 그리고 그 책을 번안한 <강태공실기>와 각각의 내용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대계와 같음
⑶강태공이 나무짐이 열석냥에 팔릴 것이며, 술 석잔, 떡 세개를 먹을 것을 예언했는데 말대로 됨
강태공이 어디로 가면 버드나무 아래 노인을 만나 주식도 배불리 먹고 나무도 비싸게 팔 것을 예언했는데 그대로 됨
강태공이 남쪽으로 가면 버드나무 그늘 아래 노인에게서 120문의 돈을 벌고 네 접시의 안주와 두 잔의 술을 얻어 마실 것이라 예언했는데 그대로 됨
⑷강태공이 자기 때를 만나 결국 벼슬함
강태공의 명성이 알려져 벼슬을 하게 됨
<강태공실기>와 같음
내용상에 약간의 오차가 있기는 하지만 설화 <3>이 <강태공실기>나 <봉신연의>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2.4.3중한비교
이상에서 살핀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강태공은 한국에서 낚시꾼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선견지명이 있는 도인으로 여겨지는데 여기에서는 구체적으로 중국설화 그리고 한국설화를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 보았다.
중국설화에 나타난 강태공은 주나라 국사로서 즉 유능한 신하로서의 면모보다는 도움이 없이는 생계를 잇지 못할 정도로 무능한 면모와 귀신도 두려워하고 신을 부리는 도인적 면모 등 이중적 면모를 보이는데, 도인적 면모를 부각시킴으로써 무능한 면모를 희석시키고 있다. 즉 강태공이 무능한 면모를 보인 이유가 때를 만나지 못했거나 자신의 기량에 맞지 않는 하찮은 일이었기 때문으로 이해하게 한다.
한국설화에 나타난 강태공은 중국설화에서와 같이 도인적 면모도 나타나지만 ‘선비의 처’ 설화의 선비와 같이 오랫동안 수련을 쌓아 출세를 하는 노력형의 면모를 나타내는 설화가 더 많아 강태공의 도인적 면모를 축소시키는 듯한 인상을 준다. 그러나 이 설화 속에서 강태공이 만든 부인의 독무덤이 서낭이 되는 결말을 보여줌으로써 오히려 신을 좌정시킬 수 있는 강태공의 도인적 면모를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결론
중국설화는 강태공 편작 등을 신술을 지닌 신선으로 형성화 한반면에 한국설화에서는 부정적인물로 평가하고 있다.이는 고정적 인식을 파괴하는 서민층의 인식뿐만 아니라 중국인의 인식까지 파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석숭과 주원장이 중국설화에서서는 부와 귀를 남용한 인물로 형상화된 반면 한국설화에서는 미친한 처지에서 남다른 부와귀 획득한 인물로 긍정되고 있다.이는 이들이 한국설화 흥유자에게 파괴할 만한 고정적 인식의 대상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기보다 서민층의 입장에서 부와귀의 과시보다 획득이 더 절실한 문제였기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구체적 분석을 바탕으로 인물의 상징과 고정성 명칭과 상투어 다른 문학과의 관계,증거물 등 중국인물 설화의 특징을 살펴 보았다.한국설화 속의 중국인물은 그 상징으로 인해 여리 유형에 걸쳐 두루 등장하기도 하지만 역사적 실존 인물의 경우 특정 설화에 고정되기도 한다.고정성의 이유는 인식이 비교에서 언급했듯이 고정의 인식의 파괴와 부귀에 대한 서민층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한편, 역사적으로 한국의 서민층과 특별한 관계가 없는 중국인물이 한국설화 에서 꾸준히 구연된데는 명칭의 일반성,상투어가 속담처럼 각인되는 과정.중국인물에 관한 판안소설의 영향.아기가 있는 집에서는 어디에서나 읊었던무가,일반적으로 불려진 가사 그리고 여기에서 다루지는 않았으나 시조,판소리 등이 큰 구실을 했으며 설화에 의해 형성된 증거물은 중국인물 설화의 토착화에 절대적으로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