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국의 설화 사례
1. 시체 화생담(屍體化生譚)
1) 설화 1
2) 설화 2
2. 동물담(動物譚)
1) 설화 1
2) 설화 2
3) 설화 3
Ⅱ. 일본의 설화 사례
1. 불교설화
2. 세속설화
Ⅲ. 인도의 설화 사례
Ⅳ. 중국의 설화 사례
참고문헌
1. 시체 화생담(屍體化生譚)
1) 설화 1
2) 설화 2
2. 동물담(動物譚)
1) 설화 1
2) 설화 2
3) 설화 3
Ⅱ. 일본의 설화 사례
1. 불교설화
2. 세속설화
Ⅲ. 인도의 설화 사례
Ⅳ. 중국의 설화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반고(盤古)\'라는 신이 탄생하였다. 처음에는 반고도 천지의 덩어리 속에 갇혀 있었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늘과 땅이 나누어지게 되었다. 반고가 하루에 1장(丈) 자라면 하늘의 높이도 1장만큼 높아지고 땅의 두께도 1장만큼 늘어났다. 이리하여 1만 8천 년 사이에 하늘과 땅은 지금처럼 되었다.
반고는 등의 길이만도 9만리에 이르렀다. 그의 눈물은 양자강과 황하가 되고 그의 숨결은 바람이 되었으며, 목소리는 우뢰가 되고 눈동자는 번개가 되었다. 반고가 즐거우면 하늘이 맑고 노하면 날씨가 흐렸다. 반고가 죽자 머리와 배와 손과 발은 4개의 높은 산이 되고 눈은 해와 달이 되었으며, 지방질은 강과 바닷가 되고 모발은 초목이 되었다. 즉 반고는 혼동가운데 태어나 하늘과 땅을 나누고 자연환경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아직 탄생하지 않았다.
인간을 만든 것은 \'여와\'라는 신이었다. 그녀가 인간을 만든 재료는 황토였다. 이것은 물론 중국 북부 일대를 덮고 있는 흙으로, 이 흙 때문에 강도 황하가 되었다. 천지가 열리고 아직 인간이 탄생하지 않았을 때 여와는 황토를 빚어 인간을 만들고 있었다. 그러나 하나씩 만들었으므로 바쁘기만 하고, 인간의 숫자는 얼른 늘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여와는 황토의 진흙가운데로 새끼줄을 끌고 다니면서, 이 새끼줄에 묻은 진흙덩어리로 인간을 만들었다. 따라서 황토를 빚어 만든 부귀한 사람과 새끼줄에 붙은 진흙덩어리에서 나온 미천한 사람의 두 종류가 생겼다.
이렇게 여와는 인간을 만들어 천하를 지배하고 이었는데 이윽고 난폭한 신이 나타났다. 그것은 물의 신 \'공공(共工)\'이었다. 어느 때 인가 공공은 불의 신 축융과 큰 싸움을 벌였다. 이 싸움에서 진 공공은 화가 났다. 화가 난 나머지 자기의 머리를 부주산에 들이박았다. 부주산은 멀리 중국의 서북지방에 우뚝 솟은 높은 산이었다. 이 산의 정상에는 하늘을 떠받치는 기둥이 있었으며, 그 기슭에는 하늘의 기둥을 대지에 연결시키는 커다란 그물이 있었다. 이제 이 기둥은 부러지고 그물은 찢어졌다. 하늘도 땅도 기울어지고 말았다. 더구나 하늘에는 큰 구멍이 뚫렸다. 이 구멍으로 폭우가 쏟아져 갑자기 땅에는 홍수가 났다. 놀란 여와는 다섯 빛깔의 돌을 골고루 섞고 짓이겨 하늘에 뚫린 구멍을 막았다. 또 큰 거북을 잡아 네 다리를 잘라서 하늘 기둥 대신 사방에 세워 하늘을 떠받쳤다. 그리고 갈대를 베어 불태운 재로 홍수를 막았다. 다시 천하에는 평화가 회복되었다.」
이러한 신들의 이야기는 체계적인 형태로 전해지고 있지는 않다. 여러 고전들 가운데 단편적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다른 민족의 경우, 그리스와 로마, 인도인, 유대인, 게르만인도 체계화된 신화를 갖고 있는 데 비해서 오래된 민족으로서는 한민족(중국인)만이 예외이다. 이것은 아마도 한민족 주변에는 이에 대항할 만한 유력한 민족이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중국의 고대에는 민족의 운명을 걸 정도의 사건이 없어서 신들의 이야기를 체계화할 기회가 없었는지도 모른다. 또 고전이 지금의 형태로 정리될 무렵(춘추전국시대) 옛 신들은 그 무렵의 지식인들에 의해 역사상의 성왕(聖王)으로 바뀌고 말았다. 따라서 중국의 개국설화의 주역을 맡은 것은 이미 천지와 인간을 창조한 신이 아니었다.
참고문헌
김화경 /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손진태 / 한국 민족설화의 연구, 을유 문화사, 1947
설화문학개설, 이우출판사, 1983
조희웅 / 설화학강요, 새문사, 1989
최인학 편저 / 한중일 설화 비교 연구, 민속원, 1999
최래옥 / 설화와 역사, 집문당, 2000
한희정 / 설화의 문학 교육적 수용방안 연구, 교원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반고는 등의 길이만도 9만리에 이르렀다. 그의 눈물은 양자강과 황하가 되고 그의 숨결은 바람이 되었으며, 목소리는 우뢰가 되고 눈동자는 번개가 되었다. 반고가 즐거우면 하늘이 맑고 노하면 날씨가 흐렸다. 반고가 죽자 머리와 배와 손과 발은 4개의 높은 산이 되고 눈은 해와 달이 되었으며, 지방질은 강과 바닷가 되고 모발은 초목이 되었다. 즉 반고는 혼동가운데 태어나 하늘과 땅을 나누고 자연환경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아직 탄생하지 않았다.
인간을 만든 것은 \'여와\'라는 신이었다. 그녀가 인간을 만든 재료는 황토였다. 이것은 물론 중국 북부 일대를 덮고 있는 흙으로, 이 흙 때문에 강도 황하가 되었다. 천지가 열리고 아직 인간이 탄생하지 않았을 때 여와는 황토를 빚어 인간을 만들고 있었다. 그러나 하나씩 만들었으므로 바쁘기만 하고, 인간의 숫자는 얼른 늘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여와는 황토의 진흙가운데로 새끼줄을 끌고 다니면서, 이 새끼줄에 묻은 진흙덩어리로 인간을 만들었다. 따라서 황토를 빚어 만든 부귀한 사람과 새끼줄에 붙은 진흙덩어리에서 나온 미천한 사람의 두 종류가 생겼다.
이렇게 여와는 인간을 만들어 천하를 지배하고 이었는데 이윽고 난폭한 신이 나타났다. 그것은 물의 신 \'공공(共工)\'이었다. 어느 때 인가 공공은 불의 신 축융과 큰 싸움을 벌였다. 이 싸움에서 진 공공은 화가 났다. 화가 난 나머지 자기의 머리를 부주산에 들이박았다. 부주산은 멀리 중국의 서북지방에 우뚝 솟은 높은 산이었다. 이 산의 정상에는 하늘을 떠받치는 기둥이 있었으며, 그 기슭에는 하늘의 기둥을 대지에 연결시키는 커다란 그물이 있었다. 이제 이 기둥은 부러지고 그물은 찢어졌다. 하늘도 땅도 기울어지고 말았다. 더구나 하늘에는 큰 구멍이 뚫렸다. 이 구멍으로 폭우가 쏟아져 갑자기 땅에는 홍수가 났다. 놀란 여와는 다섯 빛깔의 돌을 골고루 섞고 짓이겨 하늘에 뚫린 구멍을 막았다. 또 큰 거북을 잡아 네 다리를 잘라서 하늘 기둥 대신 사방에 세워 하늘을 떠받쳤다. 그리고 갈대를 베어 불태운 재로 홍수를 막았다. 다시 천하에는 평화가 회복되었다.」
이러한 신들의 이야기는 체계적인 형태로 전해지고 있지는 않다. 여러 고전들 가운데 단편적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다른 민족의 경우, 그리스와 로마, 인도인, 유대인, 게르만인도 체계화된 신화를 갖고 있는 데 비해서 오래된 민족으로서는 한민족(중국인)만이 예외이다. 이것은 아마도 한민족 주변에는 이에 대항할 만한 유력한 민족이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중국의 고대에는 민족의 운명을 걸 정도의 사건이 없어서 신들의 이야기를 체계화할 기회가 없었는지도 모른다. 또 고전이 지금의 형태로 정리될 무렵(춘추전국시대) 옛 신들은 그 무렵의 지식인들에 의해 역사상의 성왕(聖王)으로 바뀌고 말았다. 따라서 중국의 개국설화의 주역을 맡은 것은 이미 천지와 인간을 창조한 신이 아니었다.
참고문헌
김화경 /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손진태 / 한국 민족설화의 연구, 을유 문화사, 1947
설화문학개설, 이우출판사, 1983
조희웅 / 설화학강요, 새문사, 1989
최인학 편저 / 한중일 설화 비교 연구, 민속원, 1999
최래옥 / 설화와 역사, 집문당, 2000
한희정 / 설화의 문학 교육적 수용방안 연구, 교원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추천자료
한국 철도공사의 ERP도입 성공 사례와 효과에 대한 발표보고서 다문화 해외사례 (캐나다, 호주, 미국, 일본, 체코)
[국제경영론] 해외자원개발 (해외자원개발의 의미, 필요성, 중요성, 한국사례, 장·단점, 성공...
적대적 M&A(기업인수합병)의 개념, 동기, 적대적 M&A(기업인수합병)의 방식, 기업사...
[한국정부론3공통]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부실패’ 사례 선정, 사례의 내용, 정부실패의 원...
한국정부론3공통)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부실패’ 사례를 하나 선정하여, 사례 내용의 설명,...
(한국정부론 3공통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정부실패 사례(부정부패)를 하나 선정하여 사례 내...
HANSKIN (한스킨) 경영분석과 한스킨 일본진출전략 사례분석과 한스킨 새로운 전략제안
[금융위기관리][예금자보호][위험관리시스템][공적자금]금융위기관리의 예금자보호, 금융위기...
한국가족문제의 특성에 대해 본인의 가족문제 사례를 중심으로 서술 : 한국가족문제
사회적 기업의 정책과 사례(외국과 한국의 사회적 기업, 사회적기업의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