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에밀의 구성과 각 내용에 대한 평가
Ⅲ. 맺음말 -- 『에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Ⅱ. 에밀의 구성과 각 내용에 대한 평가
Ⅲ. 맺음말 -- 『에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본문내용
할 용모라고 하였다. 즉, 여성의 교육은 오로지 남성의 여러 가지 필요에 따라 행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Ⅲ. 맺음말 -- 『에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루소의 교육론은 당시의 시대상에 비추어 전혀 새로운 것이었다. 루소는 어린이를 더 이상 어른을 기준으로 하여 이해하지 않고 어른과는 차이나는 그대로 받아들였고, 어린이의 방식으로 느끼고 생각하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어떤 단계로 간주되던 유아기를 그 나름대로 완성된 삶의 형태로 본 것이다. 이는 오늘날에도 상당히 획기적인 생각으로 보인다. 오늘날에도 아이들의 욕구나 흥미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생각이지만 여전히 유아기를 그 자체의 의미로 인정하기보다는 어떤 단계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루소의 사상은 짧게는 페스탈로찌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고 더 나가서는 현대의 교육사상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오늘날에는 이런 사상이 크게 의미있게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적인 생각들이 아이들을 대하는데 있어서는 커다란 차이를 만들어 낸다.
『에밀』은 교육에 관한 저서지만 루소의 사상의 전반적인 것들을 교육이라는 것을 주제로 폭넓게 저술된 책이라고 생각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신에 대한 문제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갖게 되었다. 루소의 종교관은 교리에 의해서가 아니고 또 책을 공부함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의 감정에 양심의 활동에 의해서 알게되는 것들, 즉, 자연과 이성에서만 기초한 종교교리 일부를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루소는 기적, 계시, 독단, 계율을 부정한다. 그의 종교관은 일종의 정서적인 것인 것 같다. 그는 당시에 기독교라는 커다란 사상의 흐름 속이지만 신에 대한 생각은 오늘날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사고 속에서의 일종의 컨셉의 개념인 것이라고 생각되고는 묘한 동질감이 느껴지기도 하였다.
『에밀』을 통해서 생각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영원한 인간의 화두인 ‘자유’인 것 같다. 『에밀』은 몇 가지 면에서 지나치게 단정적이고, 때로는 실제적이지 못하기는 하지만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사상들을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전개한 글이다. 그러나 더욱 근본적인 부분은 인간이 어떻게 하면 보다 자유하고 평등할 수 있는가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인간이 보다 자유롭고 인간답기 위한 일종의 방법론으로서 자연과 합치되는 교육이 필요한 것이라는 주장이 이 책의 무엇보다 핵심적인 개념일 것이다.
Ⅲ. 맺음말 -- 『에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루소의 교육론은 당시의 시대상에 비추어 전혀 새로운 것이었다. 루소는 어린이를 더 이상 어른을 기준으로 하여 이해하지 않고 어른과는 차이나는 그대로 받아들였고, 어린이의 방식으로 느끼고 생각하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어떤 단계로 간주되던 유아기를 그 나름대로 완성된 삶의 형태로 본 것이다. 이는 오늘날에도 상당히 획기적인 생각으로 보인다. 오늘날에도 아이들의 욕구나 흥미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생각이지만 여전히 유아기를 그 자체의 의미로 인정하기보다는 어떤 단계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루소의 사상은 짧게는 페스탈로찌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고 더 나가서는 현대의 교육사상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오늘날에는 이런 사상이 크게 의미있게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적인 생각들이 아이들을 대하는데 있어서는 커다란 차이를 만들어 낸다.
『에밀』은 교육에 관한 저서지만 루소의 사상의 전반적인 것들을 교육이라는 것을 주제로 폭넓게 저술된 책이라고 생각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신에 대한 문제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갖게 되었다. 루소의 종교관은 교리에 의해서가 아니고 또 책을 공부함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의 감정에 양심의 활동에 의해서 알게되는 것들, 즉, 자연과 이성에서만 기초한 종교교리 일부를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루소는 기적, 계시, 독단, 계율을 부정한다. 그의 종교관은 일종의 정서적인 것인 것 같다. 그는 당시에 기독교라는 커다란 사상의 흐름 속이지만 신에 대한 생각은 오늘날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사고 속에서의 일종의 컨셉의 개념인 것이라고 생각되고는 묘한 동질감이 느껴지기도 하였다.
『에밀』을 통해서 생각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영원한 인간의 화두인 ‘자유’인 것 같다. 『에밀』은 몇 가지 면에서 지나치게 단정적이고, 때로는 실제적이지 못하기는 하지만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사상들을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전개한 글이다. 그러나 더욱 근본적인 부분은 인간이 어떻게 하면 보다 자유하고 평등할 수 있는가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인간이 보다 자유롭고 인간답기 위한 일종의 방법론으로서 자연과 합치되는 교육이 필요한 것이라는 주장이 이 책의 무엇보다 핵심적인 개념일 것이다.
추천자료
로빈손 크루소, 에밀, 루소에 나타난 근대적 개체성
[루소] 에밀
[교육학]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교육사상
[교육학] 루소의 < 에밀 > 을 읽고 (독후감, 교육사상 영향 분석)
<에밀>을 통해 본 루소의 교육론
한편의 연애소설 루소의 `에밀`을 읽고
[도서감상문]루소의 '에밀'을 읽고
2010.05.20 아동학 - (독서감상문 ) 루소 '에밀(emil)'을 읽고
[감상문] 루소의 '에밀'을 읽고
[교육] 루소 '에밀'을 읽고 나서
루소 - 에밀 줄거리및 느낀점
[에밀] 루소, 독후감.요약자료
루소의 ‘에밀’
계몽주의 작가와 작품에 대하여 (장자크 루소 『에밀』 이광수 무정 해풍 심훈 계몽주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