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내 성희롱의 실태와 문제점 및 예방대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개념 및 유형
A. 개념
B. 유형
2. 직장 내 성희롱의 실태
A. 발생정도 및 인식정도
B. 직장 내 성폭력의 가해자 및 피해장소
C. 피해결과 및 피해 대응 방법의 실태
3. 성희롱의 발생원인
4. 직장내 성희롱의 영향
A.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B. 조직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5. 예방, 대처를 위한 대책
A. 기업이나 회사의 역할
B. 노조의 역할
C. 피해자의 법적 대처 방안
6. 법적 규제 및 판례
A. 법적 규제
B. 판례
7. 문제점
A. 권력을 가진 가해자의 편을 들어주는 사회
B. 나서기를 두려워하는 피해자들
C. 성희롱 사건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Ⅲ. 결론

본문내용

는 채용과정에서부터 채용 후 직장생활에서까지 자신의 의사에 상관없이 남성들의 성과 관련된 언동으로 인해 불쾌하고 굴욕적인 느낌을 갖거나 고용상의 불이익을 당하는 등 성희롱의 무법지대에서 여성들은 피해자일 수밖에 없었다. 신교수(우조교) 사건 이후 성희롱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1999년 「남녀고용평등법」이 개정되고, 「남녀차별 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직장내 성희롱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규정하고, 기업체의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에 대해 의무화시키긴 하였지만, 여러 연구에서 보여지듯이 여성들은 여전히 직장 내 성희롱이 빈번하게 일어난다고 인식하고 있고, 이에 비해 대부분의 경우 가해자인 남성들은 이를 여성들만큼 지각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성희롱이 법적으로 그것을 당하는 당사자의 느낌을 중시하는 만큼, 여성들이 성희롱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들은 성희롱을 발생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하는 사회구조와 그러한 구조에 얽매여 용기를 내지 못하는 개인이 함께 변화해야 한다.
사실 관련법에서 예방교육에 대해 기업체의 의무를 강조하고 있지만, 이행실태를 조사해 보면 예방교육을 아예 실시하지 않는 기업들도 많이 있고, 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하더라도 매우 형식적인 수준에서 머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관련법 시행이후 성희롱 예방교육을 받은 집단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변화를 인정하고 있어서, 직장내 성희롱 개선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예방교육을 더욱 활성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방교육을 위해서 한정자(2001)의 연구 성희롱 예방교육 실태 및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0년 7월 1일 이전까지 1년간 성희롱 예방과 관련된 정보를 어떤 경로를 통해 획득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중복 응답의 결과 TV 및 방송이 81.9%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신문이 47.1%로 나타나 대중매체의 영향력을 실감케 하고 있다. 다음은 ‘친구나 주위사람들’로부터 24.5%, ‘직장내 교육’을 통해서가 24.1%로 나타나 약 4명 가운데 1명만이 직장 내 교육을 통해 성희롱과 관련된 정보를 접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에서 보여지듯이, 대중매체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성희롱 예방교육의 효과를 제고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피해자를 도와줄 수 있는 법적 규제 및 기업 내 고충처리 위원회나 상담소 등의 제도장치들이 정부기업사회적 차원에서 계속적으로 만들어 져야 함은 물론, 여성들로 하여금 남성중심적인 사회에 순응하게끔 만들고, 남성들로 하여금 그러한 사회를 계속 지속시켜 나가도록 하는 사회풍토를 개혁하기 위해 좀 더 적극적이고 근본적인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국내문헌
경남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2000). 경남지역신문 장원 성추행 보도-시민운동가라고 면죄부주나. 『신문과 방송』(2000년 7월). pp.170-171.
공미혜(1995). 직장 내 성희롱의 실태와 영향요인. 『한국여성학』11, pp.110-137.
김선남(1996). 성폭력 관련 보도-사회문제 아닌 개인적 ‘성윤리’로 규정. 『신문과 방송』(1996년 9월). pp.36-40.
김양희(1995). 직장 내 성희롱 경험과 관련정책에 관한 인식. 『여성연구』(1995년 12월), pp.37-56.
노순규(1999). 직장 내 성희롱 사례와 예방법. 『재정』(1999년 4월), pp.74-79.
박천오, 민가람(2002). 조직 내 성희롱과 조직 생산성에 관한 실증 조사: 지방 여성공무원의 인식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14, pp.63-84.
심창교(2002). 2001년도 개정된 직장 내 성희롱. 『산업보건』(2002년 2월). pp. 51-55.
엄현택(1999). 직장 내 성희롱 규제. 『나라경제』(1999년 4월), pp.71-73.
유나니(2002). 성추행 남성들도 떨고 있다. 『주간조선』(2002년 5월), pp.60-62.
유선영(1994). 성희롱 사건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신문과 방송』(1994년 7월), pp.22-26.
이성은(1995). 직장 내 성희롱의 순응과 저항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임동진(2000).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임창희, 홍용기(1996). 직장여성의 성희롱 태도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1996년 8월), pp.145-166.
진수희(1995). 또 하나의 고용차별, 직장 내 성희롱의 실태와 대책. 『여의도 정책논단』(1995년 12월), pp.122-130.
최동주(2000).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법적 대책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한국여성민우회(2000). 『성희롱, 당신의 직장은 안전합니까』. 서울 : 21세기북스
한정자(2001). 법적 규제에 따른 직장 내 성희롱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여성연구』(2001년 겨울), pp.95-122.
2. 인터넷 사이트
http://www.koreawoman.or.kr (한국노총평등센타)
http://www.sisters.or.kr (한국성폭력상담소)
http://hotline.jinbo.net (서울여성의전화)
http://womenlink.or.kr (한국여성민우회)
http://www.jobnlaw.com ((주)로쿰스)
http://www.kwtu.or.kr (전국여성노동조합, 부산지부)
http://www.SayNo.or.kr (성희롱예방캠페인)
http://www.equaline.or.kr (평등의전화)
http://www.binbe.com (안내@성폭력)
http://www.moge.go.kr (여성부)
http://www.mokpowomen.or.kr (목포여성상담센터)
http://www.miraewomen.com (미래여성연구원)
http://www.chwhl.or.kr (창원여성의전화)
http://www.womanlaws.co.kr (이명숙변호사 홈페이지)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5.08.26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