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에 쓰이는 여러 가지 용어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rear projection

2) superimposition

3) trailer commercial(hitchhike commercial)

4) lottery

5) right of likeness :肖像權

6) extempore acting

7) spillover

8) reverberation

9) back-to-back

10) power programming

11) footprint

12) farce

13) claque

14) eyewitness news

15) reading(read through)

16) cumulative audience

17) bridge music

18) gradation

19) high contrast

20) time lapse

본문내용

이 언더 방식은 대역을 합리적으로 사용한다는 점 에서는 우수한 것이지만 색 재현이라는 점에서는 문제를 안고있다. 저역 변환의 과정에서 원래 1.5MHz였던 컬러 대역이 0.5KHz이하로 제한되어있기 때문이다. 컬러의 정보량이
그만큼 줄고, 색번짐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움직임 적응형 3차원 Y/C 분리
입력된 영상신호의 움직임에 따라, Y/C 분리를 행하는 것. 3라인의 빗형 필터(Comb Filter)는 Y/C분리가 비교적 깨끗하게 행해지는 반면, 사선 방향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이 결점을 해소하면서, 분리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프레임 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한 것이 3차원 타입이다. 3차원이란, 1프레임 내의 2차원적인 정보에 더하여 시간축 방향으로 넓혀, 즉 현재의 프레임 뿐만 아니라 전후의 프레임을 비교하는 것이다. 특히 정지화에서는 프레임간에서 완전히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완벽한 Y/C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동화부분에서는 프레임 상관이 없기 때문에 라인 상관(즉 3라인 타입)으로 절환 시키는 것이 좋다. 여기서 입력된 영상신호가 동화인가 정지화인가를 검출(움직임 검출)하고, 움직임에 따라 프레임 상관과 라인상관을 절환 한다. 이것이 "움직임 적응처리"이다. 보다 완벽한 Y/C분리를 하려면 이 "움직임 적응처리"를 능숙하게 행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3차원 필터 라고 해도 동화를 중시하는가, 정지화를 보다 더 처리하는가는, 각 메이커에서 이 "움직임 적응처리"의 부분에 노-하우가 있고, 매뉴얼로 어느쪽을 더할까를 선택 할 수 있는 VTR도 있다.
AFC
Automatic Frequency Control(자동 주파수 조정)의 약자로, 잡음에 의한 수평 동기의 흐트러짐을 막기위해 TV에 내장된 회로를 말한다. 영상신호에 펄스성의 잡음이 들어가면, 동기신호를 깨끗하게 분리할 수 없고, 수평동기가 틀어져 버린다. 여기서, 동기 분리회로에서의 수평동기신호와 수평 출력 회로에서의 비교신호를 위상비교회로에서 비교하고, 그 위상차가 최소가 되게 보정한다. 즉 수평동기의 흐트러짐을 이것으로 억제하는 것이다. 비디오의 지터 보정을 행하기 위한것은 아니지만 지터도 수평동기가 흐트러진 것과 같은 증상이고, 세세한 지터는 이 회로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양은 AFC의 시정수(時定數)로 정한다.
AGC
Automatic Gain Control의 양자로, 자동 이득조정을 말한다. 규정을 오버한 강한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게인(앰프의 증폭도)을 제어하여 신호포화를 막고, 약한 신호의 경우는 규정 레벨까지 올려서 항상 일정한 레벨을 유지한다. 비디오 카메라의 감도조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신호 레벨 조정 등, 극히 여러가지로 활용되고 있다
AWB
Automatic White Balance (control)의 약자로 어떤 장소에서 자동적으로 화이트 밸란스를 조정해주는것 뿐 아니라, 광원 등 색온도의 변화에도 자연스럽게 따라주는 것을 가리킨다. 리얼타임 AWB(풀오토) 등으로 불리는 것도 있지만, 버튼을 눌렀을 때만 화이트발란스를 맞추는 푸쉬오토식과 구별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현재, 일부 기종을 제외하고는 리얼타임식으로 되어있기때문에, 그냥 AWB라고하면 리얼타임식을 말하는 것이다. 이전에는 석양이 하얗게 되어버리는 등 풀오토의 결점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색온도 뿐만아니라 밝기 등 다른 조건도 동시에 고려하는 것으로 극복하고, 그래도 대응하기 힘든 촬영조건에 대해서는, 스위치 절환에 의한 Scene Dial로 대응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놓고 있는 기종도 있다.
A/B Roll 편집
편집시에 있어서, 두개의 소재 테이프를 동시에 재생하면서, 한 개로 모으는 것. 편집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수 있고, 오버랩 이나 크로스페이드 등 다채로운 효과를 컨트롤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로의 세계에서 A/B Roll 편집은 넓게 보급되어있지만, 아마츄어들 사이에서는 아직 여기까지의 방법으로 편집하는 사람은 적다.
Extender
비디오 카메라에 장착하는 컨버젼 렌즈 중 특히 렌즈의 후면측에 장착하는 망원 타입을 말한다. 마스터 렌즈와 조합시키는 것으로, 초점거리가 연장(익스텐드)되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프론트 타입에 비하여 화질 열화가 적고, 업무용에서는 마스터 렌즈 내에 내장된 타입도 있다. 그러나 배율에 따라 어두워져 버리는 단점이 있어서, 2배라면 CCD에 도달하는 빛은 1/4로 되어, 조리개를 2 스텝 열어야한다. 또한, 렌 즈와 바디 사이에 놓이는 타입이라 렌즈를 교환 가능한 기종밖에 장착할 수 없다.
SMPTE 타임코드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미국영화TV기술자협회) 가 규격화한 타임코드. 방송용이나 비디오 스튜디오, 녹음스튜디오 등에서 이 방식의 타임코드가 사용되고 있다. 타임코드는 테이프 시간표시보다도 테이프 상에 기록된 시,분,초,프레임의 절대시간으로, 각각의 절대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영상이나 음성의 편집은 타임코드를 이용하여 행하고, 이것에는 방송용에 사용되는 Drop Frame과 음악용 등에 많이 사용되는 Non Drop Frame이 있다.
NR
Noise Reduc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기기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노이즈를 경감시키는 것. 노이즈 리덕션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인 노이즈 캔슬러가 있지만, 노이즈 리덕션이 신호의 변조, 복조(VTR에서는 녹화, 재생) 양쪽에 노이즈 경감 작용을 하는것에 비해, 노이즈 캔슬러는 복조(재생)에만 노이즈 경감작용을 행하는 회로이다. 노이즈 리덕션은 노이즈의 분포상황과 인간의 지각반응을 기본으로 동작한다. VTR의 경우, 중고역에 걸쳐 분포하는 노이즈는 양이 많고 인간의 눈에도 띄기 쉽다. 여기서, 기록시에 중고역의 신호 레벨을 강조하여 기록하고, 재생시에는 그만큼 레벨을 내린다. 그러면, 레벨을 강조한 만큼만 노이즈 양이 준다고하는 원리이다. 가정용 VTR에서 노이즈 리덕션은 기본이고, S-VHS에서는 논 리니어 앰퍼시스 (입력신호의 레벨과 강조량이 비례하지 않는 노이즈리덕션)가 채용되어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8.26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