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Mind Map 조화섭교육학(상) - 서양교육사 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ew Mind Map 조화섭교육학(상) - 서양교육사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절. 원시시대의 교육

제2절. 그리스의 교육

제3절. 로마의 敎育

제4절. 중세의 敎育

제5절. 문예부흥기 교육(15C ~ 16C) : 인문주의 → 종교개혁

제6절. 실학주의 교육(17C)

제7절. 계몽주의와 자연주의, 범애주의 교육(18C)

제8절. 19C 신인문주의 교육

제9절. 20C 신교육운동과 교육

본문내용

= 타고난 성장력
※ Dewey의 진보주의 교육
- 진보주의 교육의 집대성자
- 시카고 대학의 '실험학교'를 세우고, '나의 교육 신조'를 발표하여 진보주의 교육의 시발점이 됨
- '민주주의와 교육'을 저술하여, 진보주의 교육원리의 철학적 뒷받침을 제공
▶ 교육은 사회회의 과정 : Dewey, Durkheim, Natorp
5-3) Dilthey(딜타이) :: '인간은 자연의 학생이고, 지구는 인간의 교사' , 무의도적교육 중시
5-4) Natorp(나토르프) :: 교육은 사회화의 과정 - Durkheim. Dewey
- '사회를 떠난 개인, 개인을 떠난 사회는 없으며, 사람은 오직 사회를 통해서만 사림이된다.'
5-5) Kerschensteiner :: Pestalozzi 의 영향을 받음 :: 국가시민교육 = 국민교육 강력 추진
- 국민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노작교육을 채택
- 교육목적 : 자율적이고 도덕적 품성을 지닌 자율적 인격의 완성
- 국민교육의 특징 : 이론적이어서는 안된다. 경제·정치·기술교육이 아니다.
사회교육과 혼돈되어서 안된다. 다른 교과목표와 차원을 달리해야 한다.
5-6) Kilpatrick (킬패트릭)
- Dewey의 사상을 계승, 교육방법으로 구안법을 계발
- 교육방법으로서의 구안법(조.상.400)
. 듀이의 시카고 실험학교에 도입한 문제해결학습을 발전시킨 이론
. Throndike의 준비성의 법칙, 연습의 법칙, 효과의 법칙에 의거했다.
. 교육의 중심개념으로 생활·인격·문화·지성을 제시
. 교육이란 목적지향적 활동을 통한 인격교육을 말한다.
. 교육은 문제해결의 태도와 능력을 갖도록 도와주는 일이다.
※ 구안법 : 학습자가 마음속에 계획한 것을 자기 스스로가 계획·실천·평가하는 方法
- 구성적 또는 창조적 구안 : 이상이나 계획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함
- 감상 또는 즐거움을 위한 구안 : 심미적 경험을 향유하기 위함
- 문제 구안 : 지적인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
- 연습 혹은 특수학습 구안 : 기술, 지식을 획득하는데 목적
5-7) Krieck : 현상학적 인식방법에 의거 현상학적 교육학을 개척
※ 현상학 : 행위주체자가 환경에 부여하는 의미의 관점에서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려는 학문
5-8) Spranger :: 문화교육파
- 교육의 본질 : 문화의 번식, 전달, 유지, 창조
- 교육 목적 : 인격적인 가치의식을 각성시키는 일
- 도야의 3단계 : 기초적 도야, 전문적 도야, 일반적 도야
- 도야의 단계를 개체성·보편성·전체성으로 구분, 이황의 氣의 人, 理의 人, 敬의 人에 상응
- 교육의 본질적 3대 기능 : 내면적 세계 각성, 인격적 자아 각성, 문화적 책임각성
<<< 분류 >>>
▣ 원리
▶ Pestalozzi 합자연의 원리 (조.上.312)
ⓐ 자발성의 원리 ⓑ 방법의 원리 ⓒ 직관의 원리 ⓓ 조화적 발전의 원리 ⓔ 사회의 원리
▶ Pestalozzi 합자연의 원리 (조.上.313)
ⓐ 자연성의 원리 ⓑ 방법의 원리 ⓒ 직관의 원리 ⓓ 조화적 발전의 원리 ⓔ 사회의 원리
▣ 교수 단계설
- 이색의 교수 5단계설 :: 본문강의 → 의문논란 → 이동의 분석과 판별 → 이체에 적합하도록 절충 → 주지에 합치하도록 힘씀
- Herbart 교수 4단계설 : 명료 → 연합 → 계통 → 방법
- Herbart 학파의 교수 5단계설 : 예비 → 제시 → 비교 → 개괄 → 적용(조.상.316)
▶ Rousseau 교육의 4단계 : 필요→ 활동 → 경험 → 지식
▣ 교육방법
▶ Commenius : 합자연의 원리, 직관의 원리, 훈련주의 원리
▶ Rousseau : 합자연의 원리, 주정주의, 실물교육, 소극적 교육, 실학적 단련주의, 형식적 도야주의
▶ Peatalozzi : 합자연의 원리, 직관교육, 노작교육
▶ Herbart : 관리, 교수, 훈련(조.상.315)
▶ Frobel 의 교육방법 : 통일의 원리, 연속적 자기활동의 원리, 은물을 통한 유희의 원리,
연속적 발달의 원리 (조.상.318)
▶ Dewey의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문제해결법
. 문제 인식 → 가설의 형성 → 현 사태 조사 → 가설의 정련 → 가설의 검증
. 성장하는 경험의 4가지 요소 : 지속성(계속성), 통합성, 가치성, 후속경험에 대한 통제력
▶ 조기교육 : Comenius, Bruner, 퀸틸리아누스, Erasmus
▶ 교육의 기회 균등 : 서당, 경외학교절목, 실학파(유형원 : 향상, 방상), 학무아문 고시,
임시정부의 삼균제도, 인문주의의 Vittorino(조.상.p,268), 에라스무스의 '아동자유교육론'
18C 프랑스 계몽기 교육의 "콩도르세 교육안"
▶ 의무교육 (제도)
- 초등 교육의 의무화 및 공교육 제도의 기초 마련 : 15C 종교개혁 "카알대제 교육령"
- (16C 종교개혁) 루터, 고타교육령, 메사추세츠 교육령
- 계몽주의(18C) : 독일의 '의무취학령'
▶ 노작교육 : 루소(에밀), Pestalozzi
▶ 3육론(지육, 덕육, 체육) : 로크, 교육입국조서, 이기(일부벽파론), 안창호
▶ 공자의 육예와 로마의 7자유학과의 공통점 : 자유교육의 강조
▶ 아동중심, 개성존중 교육 : 퀸틸리아누스, Vittornino, Erasmus, Comenius, Rousseau
▶ 평생교육 주장 : 코메니우스, 이이
▶ 자유주의 교육 : 그리스, 로마의 7자유학과, 인문주의(Erasmus)
▶ 전인교육 : Socrates, Platon(4육론), 로크, 교육입국조서, 이기(일부벽파론), 안창호
Montaigne, Pestalozzi
▶ 실학교육 사상가 : Locke, Bacon, Comenius
▶ 조기교육 : Comenius, Bruner
▶ 시청각 교육 : Comenius의 '세계도회', 원효, 권근의 '입학도설'
▶ 영국의 Lancaster 조교제도 = 서당의 접장제도
▶ 문답법(희화법) : Socrates, 이익의 "서독질의", 안창호 , 중세 기독교 교육(조.上.P.255), 루터
▶ 세계 최초의 교사 양성 학교 : (중세) 고급문답학교(문답교사학교)
▶ 아래로부터의 필요에 의한 교육 : 중세의 시민교육, 원산학사, 미국의 주립대학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8.31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3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