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머릿말
II. 본문
1. 출생
2. 성장과 교육
3. 정치 입문
4. 본격적인 정치 활동
5. 평가
III. 맺음말
IV. 참고 목록
II. 본문
1. 출생
2. 성장과 교육
3. 정치 입문
4. 본격적인 정치 활동
5. 평가
III. 맺음말
IV. 참고 목록
본문내용
미치지 못하는 참패를 당하여 신정부 구성을 포기함으로써 제2위 의석을 차지한 자나타당의 싱이 수상으로 취임하였다. 라지브 간디는 후에 지방 유세 도중 꽃다발 속의 폭탄 테러로 세상을 떠난다.
인디라 간디에 이은 라지브 간디의 암살로 간디가의 비극은 세상 사람들을 안타깝게 했다. 인디라 간디는 조국을 사랑하였고 조국을 위해 여러 가지 정치적 결단을 내려 조국을 위기에서 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인도의 해묵은 문제 중 하나였던 종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결국엔 그 일로 인해 암살까지 당하게 되었다.
골다 메이어 이스라엘 수상은 풍요로운 미국에서의 생활을 포기하고 이스라엘 독립에 대한 집념 때문에 이스라엘 국가 건설을 위해 일생을 바쳤다. 흔히들 그녀를 이스라엘 건국의 어머니라고 부른다. 그녀는 외무부장관, 수상으로재직할 때 아랍 국가들과 전쟁을 치르기도 하였다. 그녀는 인디라 간디와 다르게 수상직에서 스스로 물러난 통치자로 현대 이스라엘을 만드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위대한 통치자로 후세에 기억된다. 은퇴후 바빴던 그녀 인생에서 얼마 안되는 여유로운 생활을 하다가 1978년 80세를 일기로 사망한다. 인디라 간디와는 다르게 평화롭게 마무리된 삶이었다. 골다 메이어의 경우 비록 주변 아랍국들의 위협으로부터 조국의 안녕을 위해 두차례나 전쟁을 치루는 등 험난한 정치 여정을 걸었지만 그래도 국내에서 종교적, 인종적 갈등 때문에 고민할 필요는 없었다. 어찌보면 행운이라 할 수 있다. 한마음으로 뭉친 국민들과 힘을 합칠 수 있다는 것은 큰 힘이 되었고 내부에서 뭉친 힘은 외부의 위협을 막아내는 큰 힘이 될 수 있었다.
두 통치자의 개인적인 면은 많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둘다 자신이 옳다고 믿는 일에 대해 물러서지 않는 강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또한 대중에게 강한 카리스마를 보여준 면 또한 비슷하다. 그러나 사회적,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많았다. 인도는 종교와 계급간의 갈등이 나라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요인이었으며 이스라엘은 주변의 아랍국들이 큰 위협이었다.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 중 어느것이 더 힘들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골다 메이어의 경우 자신을 믿고 따르며 보좌해 주는 주변인들이 많은 상황이 인디라 간디보다는 행운이었다. 적어도 그녀는 내부의 적을 상대로 싸울 필요는 없었기 때문에 외부의 문제에 전력을 다할 수 있었다. 지도자는 개인적인 자질 뿐만 아니라 지도자 주변의 전문가 집단과 사회적 ㆍ제도적인 환경이 어떠냐에 따라 그 운명이 달라진다는 것을 두 수상의 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II. 맺음말
인디라 간디와 골다 메이어는 현대 정치사에서 큰 영향력을 지닌 여성 정치인들이다. 인디라가 아버지와 가문의 후광을 뒤에 없고 정계에 입문하였다면 골다 메이어는 순전히 자신의 의지와 노력으로 정치에 뛰어들었다. 인디라 간디의 경우 부친의 후광이 그녀의 정치 인생에서 큰 면을 차지했다고 볼 수 있다. 정계의 입문도 아버지의 퍼스트레이디 역할로서였으며 정치에 대해서도 아버지 아래에서 수학했다. 아버지 사후 수상이 될 수 있었던 것도 당내의 네루에 대한 영향력에 힘입은 바 크고 수상이 된 후에도 항상 아버지의 정책을 마음 속에 새기며 정치를 해 나갔다. 어찌보면 그녀는 평생 아버지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녀의 뒤를 이은 아들 라지브 역시 어머니가 암살당했다는 것이 동정표로 작용하여 선거에서 유례없이 큰 차이로 승리를 거두었다. 대를 이어 정치인이 되어 선조의 후광을 업고 정치를 한다는 것은 동양이라서 가능한 일이었을까?
실제로 골다 메이어는 집안의 도움없이 자수성가한 인물이다. 그녀는 학교 교육조차 제대로 시켜주지 않는 부모에 맞서 자신의 인생을 개척한 의지의 인물이다. 공직 진출도 스스로의 힘으로 했으며 스스로의 노력에 따라 점차 정치적 입지를 키워나갔다.
그러나 인디라 간디가 아버지의 후광만으로 정치인이 된 것이라면 네 번이나 수상에 오르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녀가 아버지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하지만 사실 네루 수상만큼 훌륭한 스승은 없다. 아버지가 아니더라도 네루 밑에서 정치적 수업을 받았다면 대단히 훌륭한 정치인이 되었을 것이다. 인디라는 운 좋게도 네루의 딸로 태어나 그 옆에서 교육을 충실히 받을 수 있었으므로 어느 누구보다도 자격있는 정치인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수상이 된 후 행한 그녀의 정책과 추진력 등은 그녀 스스로의 노력이 없었다면 결코 나올 수 없는 것이다. 스스로 옳다고 믿는다면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고 추진하는 힘이야말로 인디라 간디를 4번이나 거대한 인도 대륙을 책임지는 수상의 자리에 오르게 한 힘이다.
인디라 간디와 골다 메이어는 모두 집념의 여인들이다. 둘 다 전쟁에 임하며 인도주의적인 측면을 잃지 않으면서도 한치도 망설임없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자신들의 조국을 진심으로 사랑했기에 가능했다. 그녀들은 국가의 위기시에 강한 결단력과 카리스마를 발휘했다.
두 여수상의 정치적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앞서도 언급했지만 강한 집념이였다. 조국의 발전에 대한 강한 집념이 이들의 험난한 정치 생활을 버텨나가는 힘이었다.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이 두 수상만한 여성 정치인이 나오지 않고 있다. 이는 사회적인 분위기상의 이유가 크다. 아직까지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해 곱지 않은 눈으로 바라보고 불신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수상이 자신들을 둘러싼 환경의 불리함 속에서도 의지를 굽히지 않았듯이 우리나라의 여성 정치인들도 집념을 가지고 열심히 일을 해 나간다면 언젠가는 두 수상을 뛰어넘는 뛰어난 정치인이 나오리라 믿는다. 그것이 미래의 우리나라를 책임질 우리 세대의 과제이다.
IV. 참고목록
여사를 바꾼 여성 통치자들, 임용순, 2001, 서울: 도서출판 나무와 숲
집념의 두 여수상, 이현자, 1980, 서울: 신조사
엘레강스 3 도전적 여성을 위하여, 박석일, 1988, 서울: 범한출판사
나의 생애 골다메이어, 골다메이어, 1979, 서울: 한국일보사
전 이스라엘 수상 골다메이어 '유태인 여자', 이일수, 1986, 서울:미래문화사
현대 대통령 연구 I, 김석준, 2002, 서울: 대영문화사
인디라 간디에 이은 라지브 간디의 암살로 간디가의 비극은 세상 사람들을 안타깝게 했다. 인디라 간디는 조국을 사랑하였고 조국을 위해 여러 가지 정치적 결단을 내려 조국을 위기에서 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인도의 해묵은 문제 중 하나였던 종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결국엔 그 일로 인해 암살까지 당하게 되었다.
골다 메이어 이스라엘 수상은 풍요로운 미국에서의 생활을 포기하고 이스라엘 독립에 대한 집념 때문에 이스라엘 국가 건설을 위해 일생을 바쳤다. 흔히들 그녀를 이스라엘 건국의 어머니라고 부른다. 그녀는 외무부장관, 수상으로재직할 때 아랍 국가들과 전쟁을 치르기도 하였다. 그녀는 인디라 간디와 다르게 수상직에서 스스로 물러난 통치자로 현대 이스라엘을 만드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위대한 통치자로 후세에 기억된다. 은퇴후 바빴던 그녀 인생에서 얼마 안되는 여유로운 생활을 하다가 1978년 80세를 일기로 사망한다. 인디라 간디와는 다르게 평화롭게 마무리된 삶이었다. 골다 메이어의 경우 비록 주변 아랍국들의 위협으로부터 조국의 안녕을 위해 두차례나 전쟁을 치루는 등 험난한 정치 여정을 걸었지만 그래도 국내에서 종교적, 인종적 갈등 때문에 고민할 필요는 없었다. 어찌보면 행운이라 할 수 있다. 한마음으로 뭉친 국민들과 힘을 합칠 수 있다는 것은 큰 힘이 되었고 내부에서 뭉친 힘은 외부의 위협을 막아내는 큰 힘이 될 수 있었다.
두 통치자의 개인적인 면은 많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둘다 자신이 옳다고 믿는 일에 대해 물러서지 않는 강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또한 대중에게 강한 카리스마를 보여준 면 또한 비슷하다. 그러나 사회적,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많았다. 인도는 종교와 계급간의 갈등이 나라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요인이었으며 이스라엘은 주변의 아랍국들이 큰 위협이었다.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 중 어느것이 더 힘들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골다 메이어의 경우 자신을 믿고 따르며 보좌해 주는 주변인들이 많은 상황이 인디라 간디보다는 행운이었다. 적어도 그녀는 내부의 적을 상대로 싸울 필요는 없었기 때문에 외부의 문제에 전력을 다할 수 있었다. 지도자는 개인적인 자질 뿐만 아니라 지도자 주변의 전문가 집단과 사회적 ㆍ제도적인 환경이 어떠냐에 따라 그 운명이 달라진다는 것을 두 수상의 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II. 맺음말
인디라 간디와 골다 메이어는 현대 정치사에서 큰 영향력을 지닌 여성 정치인들이다. 인디라가 아버지와 가문의 후광을 뒤에 없고 정계에 입문하였다면 골다 메이어는 순전히 자신의 의지와 노력으로 정치에 뛰어들었다. 인디라 간디의 경우 부친의 후광이 그녀의 정치 인생에서 큰 면을 차지했다고 볼 수 있다. 정계의 입문도 아버지의 퍼스트레이디 역할로서였으며 정치에 대해서도 아버지 아래에서 수학했다. 아버지 사후 수상이 될 수 있었던 것도 당내의 네루에 대한 영향력에 힘입은 바 크고 수상이 된 후에도 항상 아버지의 정책을 마음 속에 새기며 정치를 해 나갔다. 어찌보면 그녀는 평생 아버지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녀의 뒤를 이은 아들 라지브 역시 어머니가 암살당했다는 것이 동정표로 작용하여 선거에서 유례없이 큰 차이로 승리를 거두었다. 대를 이어 정치인이 되어 선조의 후광을 업고 정치를 한다는 것은 동양이라서 가능한 일이었을까?
실제로 골다 메이어는 집안의 도움없이 자수성가한 인물이다. 그녀는 학교 교육조차 제대로 시켜주지 않는 부모에 맞서 자신의 인생을 개척한 의지의 인물이다. 공직 진출도 스스로의 힘으로 했으며 스스로의 노력에 따라 점차 정치적 입지를 키워나갔다.
그러나 인디라 간디가 아버지의 후광만으로 정치인이 된 것이라면 네 번이나 수상에 오르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녀가 아버지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하지만 사실 네루 수상만큼 훌륭한 스승은 없다. 아버지가 아니더라도 네루 밑에서 정치적 수업을 받았다면 대단히 훌륭한 정치인이 되었을 것이다. 인디라는 운 좋게도 네루의 딸로 태어나 그 옆에서 교육을 충실히 받을 수 있었으므로 어느 누구보다도 자격있는 정치인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수상이 된 후 행한 그녀의 정책과 추진력 등은 그녀 스스로의 노력이 없었다면 결코 나올 수 없는 것이다. 스스로 옳다고 믿는다면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고 추진하는 힘이야말로 인디라 간디를 4번이나 거대한 인도 대륙을 책임지는 수상의 자리에 오르게 한 힘이다.
인디라 간디와 골다 메이어는 모두 집념의 여인들이다. 둘 다 전쟁에 임하며 인도주의적인 측면을 잃지 않으면서도 한치도 망설임없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자신들의 조국을 진심으로 사랑했기에 가능했다. 그녀들은 국가의 위기시에 강한 결단력과 카리스마를 발휘했다.
두 여수상의 정치적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앞서도 언급했지만 강한 집념이였다. 조국의 발전에 대한 강한 집념이 이들의 험난한 정치 생활을 버텨나가는 힘이었다.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이 두 수상만한 여성 정치인이 나오지 않고 있다. 이는 사회적인 분위기상의 이유가 크다. 아직까지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해 곱지 않은 눈으로 바라보고 불신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수상이 자신들을 둘러싼 환경의 불리함 속에서도 의지를 굽히지 않았듯이 우리나라의 여성 정치인들도 집념을 가지고 열심히 일을 해 나간다면 언젠가는 두 수상을 뛰어넘는 뛰어난 정치인이 나오리라 믿는다. 그것이 미래의 우리나라를 책임질 우리 세대의 과제이다.
IV. 참고목록
여사를 바꾼 여성 통치자들, 임용순, 2001, 서울: 도서출판 나무와 숲
집념의 두 여수상, 이현자, 1980, 서울: 신조사
엘레강스 3 도전적 여성을 위하여, 박석일, 1988, 서울: 범한출판사
나의 생애 골다메이어, 골다메이어, 1979, 서울: 한국일보사
전 이스라엘 수상 골다메이어 '유태인 여자', 이일수, 1986, 서울:미래문화사
현대 대통령 연구 I, 김석준, 2002, 서울: 대영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