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나이야기를 읽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나이야기를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예수 자신의 비전과 동일하다는 것을 이야기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성경이 전체적으로 일관된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주장하려는 보수적인 학자들에 의한 지나친 일반화가 아닌가 싶다. 위에서 인용한 요나서 마지막의 신의 교훈을 가지고 전 인류가 구원받아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한다고 해석하는 것은 너무 성급하다. 요나서의 저자는 신이 니느웨에 심판을 내리지 않았다고 이야기하지만 그렇다고 구원받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며(심판받지 않는다는 것과 구원받는다는 말은 비슷하긴 하나 완전한 동의어가 아니다) 결국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그러한 신과 요나와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정의되는 요나 자신과 동시에 전체 이스라엘 백성의 정체성이다. 즉, 저자의 하고자 하는 주된 이야기가 이방민족의 구원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이 요나 이야기는 이방민족의 구원을 궁극적으로 이야기하기보다는 전체 이스라엘 백성이 지향해야 할 새로운 지평의 '신 인식(God-knowledge)'을 제시하고 그를 통해 당시 사회·경제적인 면에서 자기만족적 선민의식을 가지고 부패해 있었던 이스라엘 사회에 경종을 울리려는 하나의 저항적 담론으로서 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맺 는 말
요나가 활동하던 시대로부터 약 800여년이 지난 후에 요나보다 사회적 지위 면에서 열등한 위치에 있었던 예수는 요나보다 훨씬 더 강력하게 당시 '아브라함(Abraham)의 자손'이라는 선민의식에 사로잡혀 그에 걸맞는 행위와 믿음을 보여주지 못하던 유대인들을 비판했다.
John 8:31~59 참고.
이와 같이 사회 구조적인 측면에서 지배 계층이 보기에 저항적이면서도 혁명적인 이야기들은 성경의 곳곳에 흐르고 있는 주된 흐름 중에 하나이다.
Richard J. Foster, 박조앤 옮김, Stream of Living Water, 도서출판 두란노, 2001, p.197
요나 이야기와 같은 성경 속의 많은 이야기들은 우리에게 그 시대의 부정적 시류에 저항하고 평범한 사람들에게 힘을 불어넣어 왔다. 인도의 간디(Ghandy)나 미국의 마틴 루터 킹 목사(Martin Luther King)와 같은 사람들이 성경 속에서 그들이 추구했던 '비폭력 저항운동'의 모델을 발견했던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우리나라가 안팎으로 시끄럽다. 대외적으로는 북핵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고 그에 더하여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 중국이 우리나라 역사의 일부인 고구려와 발해를 자기네 역사로 편입하려는 동방공정 등이 우리에게 도전하고 있고 대내적으로는 장기적인 경기 불황으로 인한 실업률의 증가와 그에 따른 사회적 박탈감의 증가와 소득격차 심화,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부모 살해, 유아 유기와 같은 문제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런 최근의 상황에서 해상왕 장보고의 일대기를 다룬 '해신(海神)'이나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다룬 '불멸의 이순신'과 같은 드라마가 시청률 수위를 차지하는 이유는 다른 데에 있지 않다. 지금의 우리나라는 장보고와 이순신과 같은, 현실의 위기를 인식하고 부정적 시류에 저항하며 문제를 해결해 줄 새로운 '영웅 이야기'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
요나 이야기 속의 요나를 이런 식의 '영웅'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요나가 이야기를 통해 그 당시 사람들에게 미쳤을 영향은 그와 비슷하다. 그를 영웅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그는 우리나라 코미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명 정치인을 흉내내어 풍자적으로 이야기하는 개그맨 쪽에 더 가깝다. 우리는 그들을 통해 현실의 어려움이나 문제를 하나의 웃음으로 승화시키는 힘을 느낀다. 요나 역시 마찬가지이다. 선지자라고 보기에는 너무나 도발적인 행동들(신의 명령을 거역하는 것, 그리고 그렇게 하기 위해 수천 km나 떨어진 곳으로 도망가버리는 것)과 니느웨에 가서 신의 명령대로 심판을 선포했다가 다시 신에게 그에 대해 항변하는 변덕스러운 성격 등은 지금의 우리에게도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요나 이야기를 하나의 글로서 만들어낸 저자는 바로 우리 시대의 그런 개그맨들의 대본을 만들어주는 작가와 같은 사람이 아니었을까 하는 추측을 해본다. 지금의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어려움에 봉착해 있던 이스라엘에도 요나 이야기와 같이 흥미진진하면서도 동시에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그런 이야기가 필요했을 것이다. 그리고 요나 이야기의 저자와 같이 우리 시대의 '요나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은 바로 우리들에게 주어진 몫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9.05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