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궁근종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Medication
4. 진단적 검사
5. 간호과정
2. 간호사정
3. Medication
4. 진단적 검사
5. 간호과정
본문내용
요검사 (U)
R-UA
color straw Bld (-)
Bil(-) UBG (+/-)
keto(-) Alb (-)
Nit(-) Glu (-)
PH 7.0 SG 1.010
Leuk(-)
2. R-CBC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RBC
3.0(감소)
M:4.6-6.2*10ⁿ/㎕
(n=5)
F:4.2-5.4*10ⁿ/㎕
(n=6)
심한 설사, 탈수 급성 약물중독, 폐섬유증, Polycythemia,Secondary polycythemia
빈혈, 골수기능부전,용혈성빈혈,Addison'disease,출혈,Rheumatic fever
WBC
3.8(감소)
4.5-11*10³/㎕
급성감염,Measles외상,Pertussis,악성종양,Serum sickness,순환장애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기능저하
Hb
10.2(감소)
M:13.5-18.0g/㎗
F:12.0-16.0g/㎗
newborn:14-20g/㎗
만성폐색성폐질환
Polycythemia
울혈성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출혈 Hyperthyroidism
HCT
32(감소)
M:40-54%
F:37-47%
newborn:50-62%
Erythrocytosis
Polycythemia
Dehydrartion
Anemia.leukmia,
Hyperthyroidism,Hemolysis,Anemia of pregnancy, Acute massive blood loss,Cirrhosis
PLT
197(정상)
150-400*10³/㎕
암,외상,만성백혈병,
Polycythemia vera, 류마티스관절염,심장병,만성췌장염,경화,결핵
감염,폐렴,알러지,급성백혈병,재생불량성빈혈,암화학요법중,대형수술후
< Vital sign >
4/6
4/7
am 8
pm 1
pm 2
pm 2
pm 4
BP
120/70
110/70
120/70
110/70
110/70
RR
24
24
24
20
20
BT
36.5
36. 8
37.3
36.7
36.6
Pulse
92
64
68
60
64
< 간호과정 >
간호진단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주관적 자료
(S)
“배가 아파요”(계속 신음소리를 내시며 고통스런 얼굴)
(혈압을 재려고 손을 대니) “배는 건드리지 않게 조심해 주세요.”
객관적 자료
(O)
신음소리를 낸다.
눈썹을 찌푸리고 얼굴을 찡그리고 계셨다.
지친 표정을 하고 계셨다.
손이 배위에 놓여져 있다.
가급적 조금씩 움직이셨다.
앉아 계실 때 팔로 상체를 지지하고 않아 계셨다.
안절부절 못하셨다.
수술부위에 손대지 못하게 한다.
호흡시 깊이 숨을 쉬지 못하고 얕은 호흡을 하셨다.
분당 호흡수가 24회로 증가 하였다.
OP Vital이 잦은 것에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셨다.(짜증)
간호목표
대상자가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계획
환자의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한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고 효과를 관찰한다.
관의 꼬임이 있는지 사정한다.
통증 부위를 적절히 지지해 주고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심호흡과 마사지 등의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통증을 증가 시키는 요인을 사정하고 제거한다.
수행
환자를 옮길때 구겨진 환의나 시트를 펴드렸고, 꼬인 도뇨관을 풀어 드렸다.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했다.
(대상자의 얼굴 표정을 관찰하고 직접 물어본다 )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심호흡을 하시라고 교육해 드렸다. (심호흡은 환자에게 안위감을 증진시켜 진통의 효과를 나타낼수 있다.)
이동시 보조난간을 사용하게 했다.
편안한 체위를 취할수 있도록 도와드렸다.
조용한 환경을 제공해 드렸다. 가급적 자극을 주지 않았다.
평가
통증이 완화되어 참을 만하다고 말씀 하셨다.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잠재된 감염 위험성
주관적 자료(S)
“너무 추워요”
“기운이 없어요...”
객관적 자료(o)
복부의 4부위에 침습적 수술을 하셨다.
Foley 를 꽂고 계심(4/6일 수술당일)
미열이 있다.(체온 : 37.3C)
오한이 있다.(춥다고 이불을 더 갖다 달라고 하심)
다인실을 쓰셔서 감염의 위험이 높다
가스가 나오지 않아 NPO 상태
Hb 수치가 10.2 g/dl
WBC 수치가 3.6 k/ul
간호사 및 학생간호사가 처치하러 다님.
간호 목표
수술과 관련된 감염증상이 없다
체온을 정상범위로 유지한다.
계획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심호흡 및 기침을 하도록 도와준다
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도뇨관을 무균적으로 다룬다.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수행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op vital)
대상자 간호시 손을 깨끗이 씻었다.
심호흡 및 기침을 하도록 격려했다.
운동을 하도록 격려했다.
평가
체온과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 하였다.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불안
주관적 자료
(s)
“ 수술 처음 해보는 건데 괜찮겠죠... ?”
“ 아유.. 너무 떨리네....”
객관적 자료
(o)
환자분의 얼굴이 경직 되었고, 안절부절 못하셨다.
눈동자를 굴려 주위를 두리번 거림.
수면을 잘 취하시지 못함. (수면제 요구)
호흡수가 24 로 증가.
맥박수 92회로 증가 (평소 60~70회 )
가끔 손가락을 깨뭄
구강이 건조.. (입마름을 호소)
완전 배뇨가 되지 않아 배뇨 횟수가 잦음 ( 2시간 동안 소변 횟수 3회)
지친 표정을 하고 계심.
떨림(손이 떨림)
보호자분이 외출 중이심.
간호 목표
불안이 감소되어 편안하다고 말한다.
격심한 불안증상 없이 수술과정에 임한다.
수술에 대한 이해를 표현한다.
계획
환자가 느끼는 불안의 정도, 종류를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먼저 수술한 환자를 소개한다.
수술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다.
필요시 진정제를 투여한다.
환자의 말을 주의깊게 경청하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상담해준다.
수행
환자가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 후, 느낌을 말하도록 격려하였다.
먼저 수술한 환자가 무사히 수술한 것을 설명하였다.
수술 전후 처치, 수술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극도의 불안을 경험하고 있을 때 환자 곁에서 자주 의사소통 하며 곁에 있어 주었다.
손이 떨릴 때 손을 잡아 드렸다.
평가
다소 불안이 안정 되었다.
호흡수가 20회로 정상으로 돌아옴. 맥박수도 76회로 안정.
R-UA
color straw Bld (-)
Bil(-) UBG (+/-)
keto(-) Alb (-)
Nit(-) Glu (-)
PH 7.0 SG 1.010
Leuk(-)
2. R-CBC
검사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RBC
3.0(감소)
M:4.6-6.2*10ⁿ/㎕
(n=5)
F:4.2-5.4*10ⁿ/㎕
(n=6)
심한 설사, 탈수 급성 약물중독, 폐섬유증, Polycythemia,Secondary polycythemia
빈혈, 골수기능부전,용혈성빈혈,Addison'disease,출혈,Rheumatic fever
WBC
3.8(감소)
4.5-11*10³/㎕
급성감염,Measles외상,Pertussis,악성종양,Serum sickness,순환장애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기능저하
Hb
10.2(감소)
M:13.5-18.0g/㎗
F:12.0-16.0g/㎗
newborn:14-20g/㎗
만성폐색성폐질환
Polycythemia
울혈성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출혈 Hyperthyroidism
HCT
32(감소)
M:40-54%
F:37-47%
newborn:50-62%
Erythrocytosis
Polycythemia
Dehydrartion
Anemia.leukmia,
Hyperthyroidism,Hemolysis,Anemia of pregnancy, Acute massive blood loss,Cirrhosis
PLT
197(정상)
150-400*10³/㎕
암,외상,만성백혈병,
Polycythemia vera, 류마티스관절염,심장병,만성췌장염,경화,결핵
감염,폐렴,알러지,급성백혈병,재생불량성빈혈,암화학요법중,대형수술후
< Vital sign >
4/6
4/7
am 8
pm 1
pm 2
pm 2
pm 4
BP
120/70
110/70
120/70
110/70
110/70
RR
24
24
24
20
20
BT
36.5
36. 8
37.3
36.7
36.6
Pulse
92
64
68
60
64
< 간호과정 >
간호진단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주관적 자료
(S)
“배가 아파요”(계속 신음소리를 내시며 고통스런 얼굴)
(혈압을 재려고 손을 대니) “배는 건드리지 않게 조심해 주세요.”
객관적 자료
(O)
신음소리를 낸다.
눈썹을 찌푸리고 얼굴을 찡그리고 계셨다.
지친 표정을 하고 계셨다.
손이 배위에 놓여져 있다.
가급적 조금씩 움직이셨다.
앉아 계실 때 팔로 상체를 지지하고 않아 계셨다.
안절부절 못하셨다.
수술부위에 손대지 못하게 한다.
호흡시 깊이 숨을 쉬지 못하고 얕은 호흡을 하셨다.
분당 호흡수가 24회로 증가 하였다.
OP Vital이 잦은 것에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셨다.(짜증)
간호목표
대상자가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계획
환자의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한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고 효과를 관찰한다.
관의 꼬임이 있는지 사정한다.
통증 부위를 적절히 지지해 주고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심호흡과 마사지 등의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통증을 증가 시키는 요인을 사정하고 제거한다.
수행
환자를 옮길때 구겨진 환의나 시트를 펴드렸고, 꼬인 도뇨관을 풀어 드렸다.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했다.
(대상자의 얼굴 표정을 관찰하고 직접 물어본다 )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심호흡을 하시라고 교육해 드렸다. (심호흡은 환자에게 안위감을 증진시켜 진통의 효과를 나타낼수 있다.)
이동시 보조난간을 사용하게 했다.
편안한 체위를 취할수 있도록 도와드렸다.
조용한 환경을 제공해 드렸다. 가급적 자극을 주지 않았다.
평가
통증이 완화되어 참을 만하다고 말씀 하셨다.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잠재된 감염 위험성
주관적 자료(S)
“너무 추워요”
“기운이 없어요...”
객관적 자료(o)
복부의 4부위에 침습적 수술을 하셨다.
Foley 를 꽂고 계심(4/6일 수술당일)
미열이 있다.(체온 : 37.3C)
오한이 있다.(춥다고 이불을 더 갖다 달라고 하심)
다인실을 쓰셔서 감염의 위험이 높다
가스가 나오지 않아 NPO 상태
Hb 수치가 10.2 g/dl
WBC 수치가 3.6 k/ul
간호사 및 학생간호사가 처치하러 다님.
간호 목표
수술과 관련된 감염증상이 없다
체온을 정상범위로 유지한다.
계획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심호흡 및 기침을 하도록 도와준다
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도뇨관을 무균적으로 다룬다.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수행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op vital)
대상자 간호시 손을 깨끗이 씻었다.
심호흡 및 기침을 하도록 격려했다.
운동을 하도록 격려했다.
평가
체온과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 하였다.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불안
주관적 자료
(s)
“ 수술 처음 해보는 건데 괜찮겠죠... ?”
“ 아유.. 너무 떨리네....”
객관적 자료
(o)
환자분의 얼굴이 경직 되었고, 안절부절 못하셨다.
눈동자를 굴려 주위를 두리번 거림.
수면을 잘 취하시지 못함. (수면제 요구)
호흡수가 24 로 증가.
맥박수 92회로 증가 (평소 60~70회 )
가끔 손가락을 깨뭄
구강이 건조.. (입마름을 호소)
완전 배뇨가 되지 않아 배뇨 횟수가 잦음 ( 2시간 동안 소변 횟수 3회)
지친 표정을 하고 계심.
떨림(손이 떨림)
보호자분이 외출 중이심.
간호 목표
불안이 감소되어 편안하다고 말한다.
격심한 불안증상 없이 수술과정에 임한다.
수술에 대한 이해를 표현한다.
계획
환자가 느끼는 불안의 정도, 종류를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먼저 수술한 환자를 소개한다.
수술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다.
필요시 진정제를 투여한다.
환자의 말을 주의깊게 경청하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상담해준다.
수행
환자가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 후, 느낌을 말하도록 격려하였다.
먼저 수술한 환자가 무사히 수술한 것을 설명하였다.
수술 전후 처치, 수술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극도의 불안을 경험하고 있을 때 환자 곁에서 자주 의사소통 하며 곁에 있어 주었다.
손이 떨릴 때 손을 잡아 드렸다.
평가
다소 불안이 안정 되었다.
호흡수가 20회로 정상으로 돌아옴. 맥박수도 76회로 안정.
추천자료
모성간호학중에서 자궁수축검사(OCT)에 대한 조사
<간호실습레포트> OR - LAVH (복강경을 이용한 질식 자궁적출술)
자궁절제술 간호
항암요법 환자 간호와 자궁암환자 방사선 요법 간호
[모성간호학]자궁탈출(uterine prolapse)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실습일지
[모성간호, 여성건강간호학] 자궁경부암(cevix cancer)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학-환자사례 간호과정] 자궁경부 이형성증 (moderate cervical dysplasia) 케이스
여성간호학실습 자궁탈수 Uterine Prolapse 케이스
TA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복식 전 자궁 절제술 (간호과정 포함)
모성간호학 IIOC STUDY CASE - 자궁목 무력증 ; 자궁경부 무력증 ; 자궁경관 무력증 (Incompe...
[간호] 복식 자궁 적출술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상피내암, 자궁경부암정의, 자궁경부암병태생리, 자궁경부암치료, 자궁...
자궁외임신 케이스(Ectopic pregnancy 케이스, Ectopic pregnancy 간호과정, 자궁외 임신, 자...
여성간호학 임상실습 자궁내막증 케이스자궁내막증 간호과정자궁내막증 간호진단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