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한류 패러다임의 변화
2. 한류의 가치 관리 필요성
3. 한류의 정의와 의의
Ⅱ. 본론
1. 최근 한류 현상
1-1.한류의 개요
1-2.국별 현황 및 주요 사례
2.한류에 대한 평가
3.한류 열풍의 요인
4.한류 현상의 특징 분석
4-1. 한류의 선두주자 대중가요
4-2. 유구한 문화의 결실
5.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5-1.문화 산업적으로 가치 있는 아이템 개발
5-2. 인적자원 개발
5-3. 정책적 대외 개방
5-4. 정부의 적절한 제도적 지원
Ⅲ. 결론
참고문헌
1. 한류 패러다임의 변화
2. 한류의 가치 관리 필요성
3. 한류의 정의와 의의
Ⅱ. 본론
1. 최근 한류 현상
1-1.한류의 개요
1-2.국별 현황 및 주요 사례
2.한류에 대한 평가
3.한류 열풍의 요인
4.한류 현상의 특징 분석
4-1. 한류의 선두주자 대중가요
4-2. 유구한 문화의 결실
5.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5-1.문화 산업적으로 가치 있는 아이템 개발
5-2. 인적자원 개발
5-3. 정책적 대외 개방
5-4. 정부의 적절한 제도적 지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떤 의도된 계획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내적, 외적, 개인적, 정책적 요인들이 우연히 합류하면서 발생한 복합적 현상이다. 한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일단 한국의 대외적 이미지가 크게 개선되고 수출 증진이라는 경제적 효과도 상당하다는 점에서 전반적으로 한류의 긍정적 측면이 더욱 부각되는 분위기이다. 이 때문에 최근의 한류 열기가 계속 이어지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많이 제기되고 있기에 문화산업정책에서 한류화 지속방안으로 ①문화 산업적으로 가치 있는 아이템 개발, ②인적자원 개발, ③정책적 대외 개방, ④정부의 적절한 제도적 지원 을 제안하며, 대중문화의 시대인 21세기는 우리에게 아시아에서의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고, 이는 과거의 팽창주의 시대와는 달리 서로 도움을 주고받고 모두가 풍요로운 삶을 구가하도록 도움을 주는 문화적인 기회라는 점에서 한류열풍은 그 가치 또한 새로운 것이다. 하지만 이 기회는 내적인 충실함이 없는 상태로는 결코 우리 것으로 만들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스크린쿼터제에 대한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제 문화 육성과 보호 차원에서의 스크린쿼터제는 그 명분을 잃었다고 보아도 무방할 듯 하다.
참고문헌
김휴종(2004), 한류(韓流)와 한국 문화·관광산업, 한류관광세미나 자료집, pp. 19-28.
------, "문화산업 윈도우 효과의 이론과 실증",『문화정책논총』, 제11집, 1999
------, 『북경올림픽의 한국 문화산업에 대한 효과 분석』, 문화관광부, 2001
김석종(2004), 한류관광세미나 자료집, p. 33.
김정수(2002), '한류'현상의 문화산업정책적 함의, 한국정책학회보 11(4), p. 3.
김정수, "미녀와 야수 : 문화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행정연구』, 11:1, 2002
------, "스크린 쿼터와 딴따라:대중문화에 대한 정부 개입과 문화산업 경쟁력에 관한 시론",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3호, 1999
무역연구소, 2004, 최근의 한류현황과 활용전략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산업정책연구원, 2005, 한류 통합적 경제효과 분석연구
한국은행, 2004, 최근의 수출입 동향과 시사점
다키야마 스스무 저, 곽해선 역, 『할리우드 거대미디어의 세계전략』, 도서출판 중심, 2001
강헌, "'별중의 별' 조용필", 『조선일보』, 1998.7.
강현두 편,『현대사회와 대중문화』, 나남 출판사, 1998.
구문모 외, 『문화산업의 발전 방안』, 을유 문화사, 2000.
김문조, 『문민정부의 문화정책 평가와 새로운 문화정책방법의 모색』,
문화정책학회 '98 춘계세미나 발표논문 ,1998
김용호, 『문화폭발과 문화전략』, 박영률출판사, 1996
김창남, 『한국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199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류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시사점에 관한 설문조사", KIEP동향분석 속보, 제01-38호, 2001.9.17
문화관광부, 『2001 문화산업백서』, 2001
문화관광부 (2001), 문화컨텐츠산업 지원정책.
안경환, "中華와 한류의 본질", 『조선일보』, 2002.5.
양성희, "가요에 밀려 해마다 음반매출 격감", 『문화일보』, 1998.8.
유진룡, "문화산업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동북아포럼 학술세미나 『한류의 정체와 지속가능성』, 2001.10.11
이경희, "가요 반세기, 『독립만세』", 『국민일보』, 1998.
이대희, 『문화산업론』, 대영문화사, 2001
이은경, "H.O.T와 '타이타닉'의 차이, 『국민일보』, 2000.2.
이케가미 준 외 공저, 황현탁 역, 『문화경제학』, 나남출판사, 1999
이형삼, "한류 비즈니스 주역 김윤호의 중국체험: 한류 대박 중국인이 먼저 몸달게 하라", 『신동아』, 2001년 10월 459쪽
임연철, "작은 영웅 '조용필", 『동아일보』, 1998. 6.
정흥익, "문화정책의 정치경제학과 자기 성찰적 비판", 한국문화정책학회 2001년도 학술심포지움, 『한국 문예진흥정책의 평가와 전망』2001.11
한국문화정책개발원, 『한국 대중문화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 한류의 지속화 방안을 중심으로』, 2001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류 지속화 연구 기본 계획 수립:최종 보고서 요약본』,2001. 12.
한흥석, "한류는 대도시 청소년들 주축 '오빠부대'에 불과", 『주간조선』, 2001. 9.
황현탁, 『한국 영상 산업론』, 서울 : 나남출판, 1995
매일경제(2004), 욘사마 경영학, 2004년 12. 21
"한류속에 길이 있다" 『조선일보』, 2001. 8.
"현란한 춤, 강력한 사운드로 중국대륙 강타:베이징의 H.O.T", 『조선일보』, 2000. 3.
"H.O.T, S.E.S 이렇게 키웠어요", 『국민일보』, 1999. 5.
Cohen, Michael D. , James G. March, and Johan P. Olsen, "A Garbage Can Model of Organizational Choi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7:1, 1972
Kingdon, John W., Agenda,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Boston : Little, Brown and Company, 1984
Kraemer, Kenneth L. and John Leslie King, "Order Without Design : NII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Computerization Agency,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 Comparison of Visions and Realities in France, Japan, Korea,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1996
Simon, Herbert A., Administrative Behavior, New York : The Free Press, 1976
참고문헌
김휴종(2004), 한류(韓流)와 한국 문화·관광산업, 한류관광세미나 자료집, pp. 19-28.
------, "문화산업 윈도우 효과의 이론과 실증",『문화정책논총』, 제11집, 1999
------, 『북경올림픽의 한국 문화산업에 대한 효과 분석』, 문화관광부, 2001
김석종(2004), 한류관광세미나 자료집, p. 33.
김정수(2002), '한류'현상의 문화산업정책적 함의, 한국정책학회보 11(4), p. 3.
김정수, "미녀와 야수 : 문화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행정연구』, 11:1, 2002
------, "스크린 쿼터와 딴따라:대중문화에 대한 정부 개입과 문화산업 경쟁력에 관한 시론",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3호, 1999
무역연구소, 2004, 최근의 한류현황과 활용전략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산업정책연구원, 2005, 한류 통합적 경제효과 분석연구
한국은행, 2004, 최근의 수출입 동향과 시사점
다키야마 스스무 저, 곽해선 역, 『할리우드 거대미디어의 세계전략』, 도서출판 중심, 2001
강헌, "'별중의 별' 조용필", 『조선일보』, 1998.7.
강현두 편,『현대사회와 대중문화』, 나남 출판사, 1998.
구문모 외, 『문화산업의 발전 방안』, 을유 문화사, 2000.
김문조, 『문민정부의 문화정책 평가와 새로운 문화정책방법의 모색』,
문화정책학회 '98 춘계세미나 발표논문 ,1998
김용호, 『문화폭발과 문화전략』, 박영률출판사, 1996
김창남, 『한국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199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류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시사점에 관한 설문조사", KIEP동향분석 속보, 제01-38호, 2001.9.17
문화관광부, 『2001 문화산업백서』, 2001
문화관광부 (2001), 문화컨텐츠산업 지원정책.
안경환, "中華와 한류의 본질", 『조선일보』, 2002.5.
양성희, "가요에 밀려 해마다 음반매출 격감", 『문화일보』, 1998.8.
유진룡, "문화산업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동북아포럼 학술세미나 『한류의 정체와 지속가능성』, 2001.10.11
이경희, "가요 반세기, 『독립만세』", 『국민일보』, 1998.
이대희, 『문화산업론』, 대영문화사, 2001
이은경, "H.O.T와 '타이타닉'의 차이, 『국민일보』, 2000.2.
이케가미 준 외 공저, 황현탁 역, 『문화경제학』, 나남출판사, 1999
이형삼, "한류 비즈니스 주역 김윤호의 중국체험: 한류 대박 중국인이 먼저 몸달게 하라", 『신동아』, 2001년 10월 459쪽
임연철, "작은 영웅 '조용필", 『동아일보』, 1998. 6.
정흥익, "문화정책의 정치경제학과 자기 성찰적 비판", 한국문화정책학회 2001년도 학술심포지움, 『한국 문예진흥정책의 평가와 전망』2001.11
한국문화정책개발원, 『한국 대중문화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 한류의 지속화 방안을 중심으로』, 2001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류 지속화 연구 기본 계획 수립:최종 보고서 요약본』,2001. 12.
한흥석, "한류는 대도시 청소년들 주축 '오빠부대'에 불과", 『주간조선』, 2001. 9.
황현탁, 『한국 영상 산업론』, 서울 : 나남출판, 1995
매일경제(2004), 욘사마 경영학, 2004년 12. 21
"한류속에 길이 있다" 『조선일보』, 2001. 8.
"현란한 춤, 강력한 사운드로 중국대륙 강타:베이징의 H.O.T", 『조선일보』, 2000. 3.
"H.O.T, S.E.S 이렇게 키웠어요", 『국민일보』, 1999. 5.
Cohen, Michael D. , James G. March, and Johan P. Olsen, "A Garbage Can Model of Organizational Choi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7:1, 1972
Kingdon, John W., Agenda,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Boston : Little, Brown and Company, 1984
Kraemer, Kenneth L. and John Leslie King, "Order Without Design : NII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Computerization Agency,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 Comparison of Visions and Realities in France, Japan, Korea,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1996
Simon, Herbert A., Administrative Behavior, New York : The Free Press, 1976
추천자료
한국대중문화와 중국대중문화
대중문화와 스타, 한국의 스타시스템-스타, 대중문화의 중핵-
일본 대중문화 개방과 한국의 대중문화 진출방향 모색
[일본어][일본문화]일본어와 일본문화의 이해(일본어 기초어휘, 일본어 시점, 일본어의 종조...
<문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현대문화분석 - 문화산업 (계몽의 변증법) & 문화연구의 두개의 패러다임 (현대사회와 대...
[스타][연예인][팬클럽][백댄서][연예산업][대중문화]스타(연예인)와 문화, 스타(연예인)와 ...
<대중문화속의 힙합문화> 힙합문화가 춤문화에 미치는 영향
[문화예술][문화예술진흥법][문화예술단체]문화예술의 개념,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진흥법, 문...
[판소리][연주형태][웃음양상][대중문화][광대문화]판소리의 정의, 판소리의 특징, 판소리의 ...
대중문화의 개념 및 특징과 과거와 현대의 대중문화 조사분석과 나아가야 할 길
[대중문화] 아이돌 팬덤(fandom)문화의 변질에 대한 비판적 분석 - 국내 대중가수 팬덤을 중...
[대중문화와 기독교] 대중 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