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대중문화의 개념
2. 본론
1) 과거의 대중문화
2) 현대의 대중문화
3) 대중문화가 나아갈 길
3. 결론
1)매스 컬처, 포퓰러 컬처(mass culture, popular culture)
1)대중문화의 개념
2. 본론
1) 과거의 대중문화
2) 현대의 대중문화
3) 대중문화가 나아갈 길
3. 결론
1)매스 컬처, 포퓰러 컬처(mass culture, popular culture)
본문내용
의 태도를 가지지 못했을 때 우리는 단지 문화의 객체일 뿐이지 주체가 될 수 없다.
현대의 우리는 개성을 강조한다. 개성적인 옷, 머리스타일, 화장을 강조하지만 결국은 모두 똑같은 범주 안에서 개성을 드러낼 뿐이다. 똑같은 옷을 입고 똑같은 스타일로 어떻게 개성이라 할 수 있는가? 문화정책에 참여하지 않고 단지 문화산업에 휘둘리고 있다면 우리는 진정한 문화의 주체가 될 수 없다.
문화의 주체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가장 중요한 일은 자신의 취향과 선택에 대해 스스로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주변의 문화환경 속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게 활동을 선택하고 그 선택에 대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왜 이 영화를 보고 즐거워 했으며 이 음악을 듣고 신나했고 이 드라마를 보고 울었을까?” 생각해 보고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며 대중문화에 대한 비평과 감식안을 만들어 내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라도 조금씩 우리 모두가 함께 문화적 주체로 변해갈 수 있다면 우리 사회의 문화 전반이 그에 맞추어 조금씩 ‘좋은 문화’로 바뀌어 갈 것이다. 수동적 문화소비자가 아닌 문화적 주체가 되는 길이 바로 우리가 대중문화에 대처해야 할 자세이며 좋은 문화로 대중문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길이다.
3. 결론
1) 매스 컬처, 포퓰러 컬처(mass culture, popular culture)
대중문화의 개념은 귀족층에서만 즐기던 문화를 점차 대중들이 즐기게 되면서 모두가 알기 쉽게 바뀐 문화이다. 대중문화는 시대를 막론하고 항상 우리 곁에 있어왔으며 조선시대에는 탈춤과 판소리의 형태로, 현재는 방송매체, 인터넷매체 등 다양한 매체로 우리 곁에 존재한다. 이러한 대중문화를 어떻게 수용하느냐에 따라 대중문화가 저급한 문화로 비춰 질 수도 있고 대중들의 심리를 반영한 문화로 비춰질 수도 있다. 결국은 주체인 우리가 대중문화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데에 있어 어떠한 자세를 취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대중문화를 말하는 용어로 mass culture와 popular culture라는 말이 있다. 이 용어들의 쓰임에 대해 갠즈(Herbert J. Gans)는 그의 Popular Culture and High Culture란 책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매스 컬처(Mass Culture)란 용어는 분명히 경멸적인 어조이다. 이때 매스로서의 대중은 집단의 성원이나 구성하는 개인들이라기보다는 무차별적인 집합체, 심지어는 오합지졸(mob)을 의미한다. 그래서 매스 컬처는 이 무리의 문화부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의 매스 컬처에 대항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포퓰러 컬처(Popular Culture) 나 포퓰러 아트(Popular Arts) 같은 보다 긍정적인 용어이다.
매스 컬처, 저급문화로 분류되고 있는 대중문화를 보다 나은 포퓰러 컬처로 만들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문화의 주체가 되어 대중문화를 저급문화에서 보다 나은 낙관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로 변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의 삶의 질 향상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현대의 우리는 개성을 강조한다. 개성적인 옷, 머리스타일, 화장을 강조하지만 결국은 모두 똑같은 범주 안에서 개성을 드러낼 뿐이다. 똑같은 옷을 입고 똑같은 스타일로 어떻게 개성이라 할 수 있는가? 문화정책에 참여하지 않고 단지 문화산업에 휘둘리고 있다면 우리는 진정한 문화의 주체가 될 수 없다.
문화의 주체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가장 중요한 일은 자신의 취향과 선택에 대해 스스로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주변의 문화환경 속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게 활동을 선택하고 그 선택에 대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왜 이 영화를 보고 즐거워 했으며 이 음악을 듣고 신나했고 이 드라마를 보고 울었을까?” 생각해 보고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며 대중문화에 대한 비평과 감식안을 만들어 내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라도 조금씩 우리 모두가 함께 문화적 주체로 변해갈 수 있다면 우리 사회의 문화 전반이 그에 맞추어 조금씩 ‘좋은 문화’로 바뀌어 갈 것이다. 수동적 문화소비자가 아닌 문화적 주체가 되는 길이 바로 우리가 대중문화에 대처해야 할 자세이며 좋은 문화로 대중문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길이다.
3. 결론
1) 매스 컬처, 포퓰러 컬처(mass culture, popular culture)
대중문화의 개념은 귀족층에서만 즐기던 문화를 점차 대중들이 즐기게 되면서 모두가 알기 쉽게 바뀐 문화이다. 대중문화는 시대를 막론하고 항상 우리 곁에 있어왔으며 조선시대에는 탈춤과 판소리의 형태로, 현재는 방송매체, 인터넷매체 등 다양한 매체로 우리 곁에 존재한다. 이러한 대중문화를 어떻게 수용하느냐에 따라 대중문화가 저급한 문화로 비춰 질 수도 있고 대중들의 심리를 반영한 문화로 비춰질 수도 있다. 결국은 주체인 우리가 대중문화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데에 있어 어떠한 자세를 취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대중문화를 말하는 용어로 mass culture와 popular culture라는 말이 있다. 이 용어들의 쓰임에 대해 갠즈(Herbert J. Gans)는 그의 Popular Culture and High Culture란 책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매스 컬처(Mass Culture)란 용어는 분명히 경멸적인 어조이다. 이때 매스로서의 대중은 집단의 성원이나 구성하는 개인들이라기보다는 무차별적인 집합체, 심지어는 오합지졸(mob)을 의미한다. 그래서 매스 컬처는 이 무리의 문화부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의 매스 컬처에 대항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포퓰러 컬처(Popular Culture) 나 포퓰러 아트(Popular Arts) 같은 보다 긍정적인 용어이다.
매스 컬처, 저급문화로 분류되고 있는 대중문화를 보다 나은 포퓰러 컬처로 만들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문화의 주체가 되어 대중문화를 저급문화에서 보다 나은 낙관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로 변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의 삶의 질 향상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추천자료
[방송]TV드라마속의 여성분석
비너스의 탄생
한국 남성의 성격구조
인터넷 문화 - 인터넷 동호회, 싸이월드(미니홈피), 블로그, 지식검색
자살 예방 프로그램
코미디에 반영된 사회현상 - '웃음을 찾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올드보이' 만화와 영화,두 매체의 표현방식비교
포스트모더니즘
소비사회론-J.보드리야르-소비의 사회, 김문조-과소비의 사회학적 분석
[가치관][가치관교육][가치관조화][가치관혼돈]가치관 심층 분석(가치 개념의 제정의, 가치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여성학]텔레비전 드라마 속의 여성상 연구
[기호학과 미술사][미크 빌, 노만 브라이어슨][컨텍스트][전송자][수용자][차알스 샌더스 퍼...
한국사회문제4C)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풀어가야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