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조선 공산당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조선 공산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계급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없는 식민지반봉건 상태라는 조선의 특수성 때문에 이 혁명은 부르주아지가 주체가 될 수 없는 통제 된 혁명이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통제 된 혁명은 곧 노동자 계급의 헤게모니하의 견실한 노·농 동맹을 기초로 하고 여기에 반일적인 혁명적 세력이 동참하는 것이었다. 때문에 조공은 조선혁명의 당면 목표가 소비에트공화국도 부르주아공화국도 아닌 혁명적 인민공화국의 건설이라고 하였다.
결국 이러한 조공의 운동 노선은 노·농 동맹론에 기초한 소비에트 방식보다는 인민 민주주의적 노선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에 표명된 조공 즉 조선공산주의자들의 운동 노선은 곧 이은 '12월 테제'의 영향으로 소비에트노선으로 기울고 말게 된다.
1919년 3·1 운동을 전후한 시기에 식민지 조선에는 러시아혁명의 영향 속에서 사회주의사상이 물밀듯이 도입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주의사상의 도입과 조선공산당이 창건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일본과 더불어 동아시아 유교문화권에 속한 조선에서 유교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던 전통적 지식인들이 식민지 자본주의의 형성, 근대적 사회사상의 도입과 더불어 급격히 민족주의, 무정부주의, 사회주의로 분화되는 과정을 겪게 되었다. 특히 국내에서는 3·1 운동 이후 민족주의의 이론적 무기력함을 경험하면서 민족주의자의 일부가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하게 되었다.
둘째, 한국에서 사회주의사상은 러시아혁명의 직접적 세례를 받은 이동휘 등의 한인사회당, 고려공산당 등 국외에서 당조직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직접적으로 도입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국내 사회주의운동은 발생 초기부터 직접 코민테른의 노선을 수용하게 되었다. 또한 고려공산당과 코민테른의 직·간접적 영향으로 국내 사회주의운동의 분화가 초래되었다.
셋째,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라는 조건 속에서 사회주의운동은 계급해방과 동시에 민족해방을 추구하였다는 것이다. 그들은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하여 표면적으로 사상단체를 조직하였지만 그 내부에 다양한 그룹의 비합법적 '공산주의 그룹'이 존재하여 이를 실질적으로 지도하였다. 이들은 운동 초기부터 목적의식적으로 전위당을 지향하였다.
넷째, 국외 러시아에서 두 개의 고려공산당의 존재 그리고 국내에서 서울파(고려공산동맹), 북풍파(까엔당), 조선노동당(스파르타쿠스당), 화요파(꼬르뷰로 국내부) 등 사회주의 분파와 당건설을 둘러싼 각 분파의 격렬한 대립이 발생했다. 이점은 기존 연구에서 '파벌투쟁'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았지만, 오히려 운동발전의 역동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다섯째, 조선공산당 창당과정에서 화요파가 서울파를 의도적으로 배제한 점이다. 화요파가 코민테른의 지도하에 조선공산당을 창건했다고 할 때, 국내에서 유력한 사회주의 전위조직인 서울파를 제외하고 당창건을 한 점은 이 시기 코민테른의 지도방침에 대한 근본적 문제점을 던지게 한다. 조선공산당 창당과정에서 이러한 문제점은 이후 사회주의운동에서 끊임없는 우여곡절을 생성시키는 원인 가운데 하나가 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9.08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