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전…
Ⅰ. 칼빈의 정치사상에 대한 이해
1. 서론
2. 칼빈의 국가통치
(1)국가 정치의 기원
(2)위정자(The Magistrate)
(3)법(The Laws)
(4)백성-피통치자(people-The Ruled)
(5)두 왕국 이론(Two-Kingdom Doctrine)
3. 칼빈과 저항권 사상
(1)불복종의 근거
(2)저항의 대행자
(3)개인 시민(Private citizens)
(4)권리의 합법적 수호자
4. 칼빈과 그의 저항권 사상의 발전
5. 결론
Ⅱ. 칼빈의 설교와 종말론적 의식
1. 서론
2. 본론
1)종말론적 의식: 시간과 영원 사이의 변증법적 긴장
2)종말론적 의식은 종말론적 영성을 낳는다
3)종말론적 의식은 책임적 윤리를 낳는다
4)종말론적 의식은 역동적인 역사 의식을 낳는다
3. 결론
Ⅰ. 칼빈의 정치사상에 대한 이해
1. 서론
2. 칼빈의 국가통치
(1)국가 정치의 기원
(2)위정자(The Magistrate)
(3)법(The Laws)
(4)백성-피통치자(people-The Ruled)
(5)두 왕국 이론(Two-Kingdom Doctrine)
3. 칼빈과 저항권 사상
(1)불복종의 근거
(2)저항의 대행자
(3)개인 시민(Private citizens)
(4)권리의 합법적 수호자
4. 칼빈과 그의 저항권 사상의 발전
5. 결론
Ⅱ. 칼빈의 설교와 종말론적 의식
1. 서론
2. 본론
1)종말론적 의식: 시간과 영원 사이의 변증법적 긴장
2)종말론적 의식은 종말론적 영성을 낳는다
3)종말론적 의식은 책임적 윤리를 낳는다
4)종말론적 의식은 역동적인 역사 의식을 낳는다
3. 결론
본문내용
들어가기전…
난 칼빈의 두가지 면을 제시할 것이다. 첫째는 정치 사상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그의 설교와 종말론에 관한 것이다. 이 두가지 주제에 대해 짧은 나의 소견과 그리고 다른 많은 의견들을 제시해 보았다. 이제 칼빈... 그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Ⅰ. 칼빈의 정치사상에 대한 이해
1. 서론
종교개혁은 단지 종교적 영역에 국한된 교회의 개혁만은 아니었다. 그 운동은 그 시대의 종교, 정치, 경제, 문화 그리고 세계관에 걸쳐 근본적인 변혁을 가져온 사건이었음에 이의가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하에서 개혁자 칼빈을 보려고 한다. 칼빈은 그의 생전에서 지금까지 수많은 인물, 학자들의 주의를 끌어온 인물이다. 그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신학자로서의 칼빈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그는 결코 교회에만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될 수 없다. 우리가 근대 또는 중세유럽의 정치, 경제, 문화 그리고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칼빈이란 인물을 간과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는 자기가 살던 사회를 변혁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후로 근대로 가는 길목에 문을 열어 준 한 사람으로 평가될 수 있다.
칼빈주의의 혁명적 성격은 현대 지성사가들의 일반적 견해이다. 그렇다면 여기에는 자연히 제기되는 물음들이 있다. 칼빈의 정치사상 안에 혁명적 요소가 정말 존재하는가? 칼빈은 알려진 바와 같이 민주주의의 시조인가? 그렇지 않으면 혹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신정주의인가? 칼빈에게 저항사상은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저항의 근거는 무엇이며 누가 저항할 권리를 가지는가? 나아가서 칼빈과 급진적인 근대 혁명 논리를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들을 연결시켜 주는 핵심 개념은 무엇인가?
계속해서 이런 질문들이 제기된다. 칼빈에게 국민주권 개념이 존재하는가? 그의 저항권 사상이 현대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칼빈은 진정한 칼빈주의자였는가?
본 논문은 위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하여 칼빈의 정치사상 가운데에서도 그의 저항권 사상을 중심으로 논구함으로써 그것의 근대적 발전을 추구하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로, 본 논문의 한계는 칼빈의 저항사상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인 그의 편지들을 많이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논문의 전개는 원리적인 면에서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2. 칼빈의 국가통치
칼빈은 "국가통치(Civil Government)의 주제에 관한 개략적인 언급을 마치면서 다음의 진술을 삽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국가통치의 각부분을 구분하여 논한다면 국가통치라는 전체 주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독자들이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국가통치에는 세 부분이 있다. 법의 보호자요 수호자인 위정자, 위정자가 통치할 때 기준이 되는 법률, 법률에 의해 통치받고 위정자에게 복종하는 백성이다.
우리가 이 주제를 논함에 있어 칼빈이 제시했던 개요를 따라서 연구해 나가는 것은 적잖이 중요하다.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칼빈의 체계가 대단히 조직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국가통치"에 관한 제4권 20장 뿐아니라 4권의 커다란 맥락에서 연구하게 될 것이다
난 칼빈의 두가지 면을 제시할 것이다. 첫째는 정치 사상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그의 설교와 종말론에 관한 것이다. 이 두가지 주제에 대해 짧은 나의 소견과 그리고 다른 많은 의견들을 제시해 보았다. 이제 칼빈... 그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Ⅰ. 칼빈의 정치사상에 대한 이해
1. 서론
종교개혁은 단지 종교적 영역에 국한된 교회의 개혁만은 아니었다. 그 운동은 그 시대의 종교, 정치, 경제, 문화 그리고 세계관에 걸쳐 근본적인 변혁을 가져온 사건이었음에 이의가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하에서 개혁자 칼빈을 보려고 한다. 칼빈은 그의 생전에서 지금까지 수많은 인물, 학자들의 주의를 끌어온 인물이다. 그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신학자로서의 칼빈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그는 결코 교회에만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될 수 없다. 우리가 근대 또는 중세유럽의 정치, 경제, 문화 그리고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칼빈이란 인물을 간과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는 자기가 살던 사회를 변혁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후로 근대로 가는 길목에 문을 열어 준 한 사람으로 평가될 수 있다.
칼빈주의의 혁명적 성격은 현대 지성사가들의 일반적 견해이다. 그렇다면 여기에는 자연히 제기되는 물음들이 있다. 칼빈의 정치사상 안에 혁명적 요소가 정말 존재하는가? 칼빈은 알려진 바와 같이 민주주의의 시조인가? 그렇지 않으면 혹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신정주의인가? 칼빈에게 저항사상은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저항의 근거는 무엇이며 누가 저항할 권리를 가지는가? 나아가서 칼빈과 급진적인 근대 혁명 논리를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들을 연결시켜 주는 핵심 개념은 무엇인가?
계속해서 이런 질문들이 제기된다. 칼빈에게 국민주권 개념이 존재하는가? 그의 저항권 사상이 현대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칼빈은 진정한 칼빈주의자였는가?
본 논문은 위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하여 칼빈의 정치사상 가운데에서도 그의 저항권 사상을 중심으로 논구함으로써 그것의 근대적 발전을 추구하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로, 본 논문의 한계는 칼빈의 저항사상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인 그의 편지들을 많이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논문의 전개는 원리적인 면에서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2. 칼빈의 국가통치
칼빈은 "국가통치(Civil Government)의 주제에 관한 개략적인 언급을 마치면서 다음의 진술을 삽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국가통치의 각부분을 구분하여 논한다면 국가통치라는 전체 주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독자들이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국가통치에는 세 부분이 있다. 법의 보호자요 수호자인 위정자, 위정자가 통치할 때 기준이 되는 법률, 법률에 의해 통치받고 위정자에게 복종하는 백성이다.
우리가 이 주제를 논함에 있어 칼빈이 제시했던 개요를 따라서 연구해 나가는 것은 적잖이 중요하다.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칼빈의 체계가 대단히 조직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국가통치"에 관한 제4권 20장 뿐아니라 4권의 커다란 맥락에서 연구하게 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