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와 일본서기의 편찬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삼국사기

1. 들어가는 말

2. 삼국사기의 편찬과정

3. 삼국사기의 사료적 가치

Ⅱ. 일본서기

1. 일본서기

2. 일본서기의 편찬과정

3. 일본서기 참고서적

Ⅲ. 맺음말

본문내용

과 상표문이 있어서 그 성립, 편찬자를 분명히 알 수 있는데 반해 일본서기에는 서문이나 완성되었을 당시의 상표문도 없고 속일본기가 완성되었을 때는 간단한 기사가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또 고사기의 경우에도, 서문이 있어서 성립과정에 대해서는 알 수 있으나, 그 완성에 대해서는 《속일본기(續日本記)》등에 기록이 없기 때문에 천무천황 이래 사서편찬에 관계되는 기사가 일본서기와 고사기의 어느 쪽에 관한 것인가에 대한 해석이 나누어져서 문제를 복잡하게 하고 있다.
3. 일본서기 참고서적
일본서기는 신대(神代)로부터 지통천왕(持統, 690~697)까지의 역대 황제와 상고의 여러 사실을 가능한 한 많은 사료와 한서를 참고하여 저술하고 있다. 일본서기에 참고 된 것은《백제기》,《백제신찬》,《백제본기》등 백제 관계 서적이 가장 많고, 그 외에는《위지》,《진기거주》증의 중국 관계 문헌이라고 하며《구사》,《제씨》,《가기》등과 사원의 문서, 개인의 기록 등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많은 자료를 참고하였기 때문에 서술에 있어 이설(異說)이 있을 경우 일서(一書), 이서(二書)라는 형태로 병기하기도 하고 주(註)를 달아 부가 설명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가장 많이 인용 되고 있는 것은 바로 “백제기“인데, 이는 고대 백제에서 기록된 역사책이라고 하지만 현존하지 않아서 그 진위 여부를 알 수 없는 책이며 7세기 초인 스이코 여왕이 재위 하던 당시에 백제에서 쓰여 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백제기는 다른 종류의 책과 달라서, 연대를 간지(干支)로 기록했고, 각기 간지 밑에는 간결하게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이 일본서기에서 많이 인용되었다고 해서 당시 백제에서 썼던 것으로 주장하고도 있으나, 과연 그것을 백제에서 썼던 것인지를 알 수 없다. 일본서기의 많은 부분이 실제와는 많이 다른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가운데 백제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밖에 일본서기의 기록에 대해서 일본인 학자의 의견을 적어보면 일본서기에는 수수께끼가 많다고 하는데 기록의 편찬에 한적(漢籍)과 한자(漢字)에 통달한 백제와 신라로부터 건너 온 교양인들이 관계하고 있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부분으로 만요우 가나의 한자 사용에는 갑류와 을류라는 2종류로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2종류는 그 당시 기록에 관계한 사람들의 출신지의 방언의 차이인 것인데 즉, 백제계와 신라계의 2가지 계통이 있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며 곧, 일본서기를 쓴 백제인 안만려 등 한국인(백제인, 신라인)들의 갑류와 을류의 2가지 글투로서 구별이 된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Ⅲ. 맺음말
역사서술은 저자의 다양한 인식체계 아래 서술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의 동기는 현재까지의 사학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사서들의 서술을 통해 가늠해 볼 수 있겠다. 저술 당시의 사회상황과 저자개인의 경험을 통해 획득된 눈을 통해 서술의 방향은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알 수 있는 것은 하나의 사건을 저자의 역량에 따라 보충 또는 삭제를 통해 전말을 제시함으로써 역사는 빛을 발할 수도 있고 잃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삼국사기》와 《일본서기》는 거의 비슷한 시기에 저술되었음에도 당시의 시대배경과 저술 목적, 그리고 저자의 서술 상의 방법차이에 의해 차이를 보인다.
이렇게 우리는 어떠한 사건이나 인물을 평가함에 있어 과거 우리의 역사적 환경을 더듬어 보면서 그 의미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의 두 저술의 장점과 단점을 종합하여 과거의 잃어버린 ‘제대로 된 역사’를 찾아야 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연구와 분석, 그리고 비판을 멈추지 말아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